[2008/12/23] 우리말) 호질기의(護疾忌醫)

조회 수 3446 추천 수 160 2008.12.23 14:06:10
우리 삶에도 익은말(속담)은 수두룩합니다. 우리 삶의 모든 것을 비유할 수 있을 만큼 넘치게 많습니다.
"쇠귀에 경 읽기"라고 해도 호질기의의 뜻을 알릴 수 있다고 봅니다. 아니, 오히려 더 쉽게 알릴 수 있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 7:33, MBC 뉴스, 앵커 어깨 쪽에 있는 화면에
'스프링쿨러'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다행히 몇 초 뒤에 화면 아래에 나온 자막에는 '스프링클러'라고 나왔습니다.
'쿨러'는 냉방기입니다. 물을 뿌리는 것은 쿨러가 아니라 클러입니다.

7:42, KBS1,
기자가 마늘주사 이야기를 하면서 '피로회복'이라고 했습니다.
좋지도 않은 피로를 회복해서 어디에 쓰시려고 그러시는지 모르겠습니다.

이왕 삐딱선을 탔으니 죽 나가 볼게요.

어제 교수신문에서 올해를 대표하는 사자성어로 호질기의(護疾忌醫)를 뽑았다네요.
호질기의는 "병이 있는데도 의사한테 보여 치료받기를 꺼린다"는 뜻으로,
자기 결점을 감추고서 고치지 않으려는 태도를 꼬집는 말이라고 합니다.
호질기의를 추천한 교수님은  
정치권이 국민의 비판과 충고를 겸허히 받아들이려는 자세가 부족해서 이 낱말을 골랐다고 합니다.

2003년엔 방향 제시를 못 한 채 이리저리 헤매는 우왕좌왕(右往左往)을,
2004년엔 무리를 지어 상대를 공격하는 당동벌이(黨同伐異)를,
2005년엔 사물이 함께하지 못하고 이반, 분열된다는 상화하택(上火下澤)을,
2006년엔 구름만 많고 비는 내리지 않아 암울한 상황을 표현한 밀운불우(密雲不雨)를,
2007년엔 자기도 속이고 남도 속인다는 자기기인(自欺欺人)을 뽑았습니다.

이런 사자성어를 볼 때마다 저는 가슴이 아픕니다.
어리석은 백성이 이런 어려운 한자를 공부해서 익혀야 한다는 말씀인지,
교수는 보통사람과 격이 다르니 교수님 하시는 것 보고 부러워하라는 뜻인지...
그런 뜻이 아니라면
왜 남들이 다 아는 속담을 두고 이런 어려운 한자말을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우리 삶에도 익은말(속담)은 수두룩합니다. 우리 삶의 모든 것을 비유할 수 있을 만큼 넘치게 많습니다.
"쇠귀에 경 읽기"라고 해도 호질기의의 뜻을 알릴 수 있다고 봅니다. 아니, 오히려 더 쉽게 알릴 수 있다고 봅니다.
소의 귀에 대고 경을 읽어 봐야 단 한 마디도 알아듣지 못하니,
아무리 알려주려고 해도 알아듣지 못하는 정치권을 두고 할 수 있는 말이라고 봅니다.
말 귀에 염불이나 쇠코에 경 읽기도 같습니다.

오늘 편지도 제가 꾸중 들을 만 하네요.
감히 교수님을 빗대서 이야기 한 거나,
정치권에 대고 한 소리를 감히 따다 쓴 거나,
좋게 써도 될 것을 삐딱하게 비틀고 꽈서 쓴 거나...

오늘 글을 읽고 꾸중하신다면 그냥 그대로 받겠습니다.
오늘 글을 읽고 수신거부 하신다고 해도 그냥 그대로 받겠습니다.

오늘 편지는 우리말을 아끼자는 이야기를 한 것뿐이지,
기자를 욕한 것도, 교수님을 흉본 것도 아니고, 정치권 이야기를 한 것도 아닙니다.

글을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오늘은 시를 하나 소개할게요.
조영희 님의 열 번째 시집 16부터 17쪽에 실린 시입니다.


우리말은

조영희

누천년 동안
갈고 닦아서
배달 겨레가
써 온
우리말은
우리 겨레의 밥이다.
지금의
우리말은
우리 겨레의 얼이다.
배달의 공용어인
한국어
우리말은
우리 겨레 문화의 색인이다.
그리고 우리말은
우리 겨레 생명중이라 그런
우리말이 만약 병들면
우리 온 겨레는 중병을 앓는다.
우리 겨레는 죽는다.
영원한 민족 정기가 소멸되고
국가 정체성이 훼손하여
망국으로 치닫는다.
어리석은 한 남아
후회막급할 따름이다.
우리말은
우리 겨레의 문화 정수다.
총체적 문화의 핵이다.
생기 넘치는 민족의 활로다.
우리말은
우리의 미래다.
영구불변할 역사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694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521
656 [2008/12/31] 우리말) 중동무이 id: moneyplan 2008-12-31 3778
655 [2008/12/30] 우리말) 보다 빠르게... id: moneyplan 2008-12-30 4932
654 [2008/12/29] 우리말) 광명역 주차장에... id: moneyplan 2008-12-29 3028
653 [2008/12/28] 우리말) 고향에 다녀왔습니다 id: moneyplan 2008-12-29 2985
652 [2008/12/26] 우리말) 흥청거리다와 흔전거리다 id: moneyplan 2008-12-26 3648
651 [2008/12/24] 우리말) 내년과 이듬해 id: moneyplan 2008-12-24 3458
» [2008/12/23] 우리말) 호질기의(護疾忌醫) id: moneyplan 2008-12-23 3446
649 [2008/12/22] 우리말) 마음고름 id: moneyplan 2008-12-22 3390
648 [2008/12/20] 우리말) 노무현 전 대통령은 저와 사진을 찍어주셔야 합니다. ^^* id: moneyplan 2008-12-22 3382
647 [2008/12/19] 우리말) 억장이 무너지다 id: moneyplan 2008-12-19 3540
646 [2008/12/1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2-18 2957
645 [2008/12/17] 우리말) 땅보탬 id: moneyplan 2008-12-17 3436
644 [2008/12/16] 우리말) 부룩이 뭔지 아세요? id: moneyplan 2008-12-16 3228
643 [2008/12/15] 우리말) 개발과 계발 id: moneyplan 2008-12-15 3591
642 [2008/12/13] 우리말) 제가 누구냐고요? id: moneyplan 2008-12-13 2961
641 [2008/12/12] 우리말) 거북하다와 보깨다 id: moneyplan 2008-12-12 3484
640 [2008/12/11] 우리말) 밥맛없다와 밥맛 없다 id: moneyplan 2008-12-11 3539
639 [2008/12/10] 우리말)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지나, 새우 싸움에 고래 등 터지나? id: moneyplan 2008-12-10 3518
638 [2008/12/09] 우리말) 잔불과 뒷불 id: moneyplan 2008-12-09 3119
637 [2008/12/08] 우리말) 숫눈 id: moneyplan 2008-12-08 2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