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말정산 시즌…꼭 살펴봐야 할 절세 방법
국세청이 지난 15일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홈페이지(www.yesone.go.kr)를 개통하면서 지난해분
연말정산을 위한 근로자들의 손길도 분주해졌다. 연말정산은 세법이 복잡한 만큼 근로자들로서도 쉽지 않은 내용이
많다. 그러나 조금만 더 꼼꼼하게 공제 항목 및 자신의 적용 여부를 살피면 그만큼 '13월의 월급'을 더
받을 수 있다고 세법 전문가들은 조언하고 있다. ◇소득과 소득금액은 다르다 ◇ 맞벌이 부부 전략이 환급 좌우
◇ 동생?처제 등록금도 교육비 공제 가능 [최이락 기자]
[연합뉴스] 기사 더 보기
■ 2014년초부터 가파르게 치솟는 서울 전셋값.. 과천·산본·고양시도 상승
새해 들어서도 전셋값 상승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 전세 매물이 부족한 상황에서 겨울방학 학군 수요와 기존
세입자들의 조기 계약 갱신 등이 겹치면서 서울을 중심으로 상승폭이 확대될 기미를 보이고 있다. 부동산114는
올 들어 17일까지 서울의 누적 전셋값 상승률이 0.47%로 지난해 같은 기간 상승률(0.35%)보다
0.12% 포인트 높았다고 19일 밝혔다. 서울은 3주 동안 주 단위로 각 0.1%, 0.15%, 0.15%
오르면서 전국 상승률(0.04%, 0.07%, 0.06%)과 큰 격차를 보였다. 한국감정원이 13일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도 지난해 말과 비교해 서울의 전셋값은 0.52% 상승했다. [김현길 기자]
[국민일보] 기사 더 보기
■ 연구기관들 부동산 전망 잘 맞나 봤더니..
지난 연말과 연초에 공공?민간 연구기관들은 앞다퉈 올해 부동산시장 전망을 내놓았다. 대체로 집값은 지난해보다
소폭 오르고 전세금 상승폭은 다소 둔해질 것이란 '긍정적' 의견이다. 지난해에도 상황은 비슷했다. 하지만
이같은 전망을 믿고 주택을 구입했다가 피해를 봤다는 일부의 불만도 있었다. 그렇다면 연구기관들과 전문가들의
실제 부동산시장 전망은 얼마나 적중했을까. 최근 2년간 전망치와 실제 결산 자료를 비교해 봤다. [송학주
기자]
[머니투데이] 기사 더 보기
■ 개인회생 신청 39%가 의사… 문닫는 병원 급증
의사나 한의사가 되면 돈을 잘 번다는 것은 옛말이다. 경쟁이 심해지고 비싼 의료장비와 임대료 부담에 허덕이는
경우가 늘고 있다. 결국 쌓인 빚을 갚지 못해 개인회생을 신청하는 의사와 한의사가 전체 개인회생 신청자의
40%에 육박한다. 금융권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고등법원 담당 지역(인천?수원?춘천을 제외한 수도권 및
강원도)의 개인 회생 신청은 지난 5년간 1145건이다. 직업별로 보면 회사 대표가 226명(19.7%)으로
가장 많다. 이어 의사 207명(18.1%), 개인 사업자 157명(13.7%), 한의사
130명(11.4%), 치과의사 112명(9.8%) 등이다. 의사?치과의사?한의사가 449명으로 전체에서
39.2%를 차지한다. [전경하 기자]
[서울신문] 기사 더 보기
■ 1000cc대 차량, 중고차 시장 비중 첫 1위
지난해 중고차 시장에서 배기량 1000cc대의 차량 매물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중고차 전문기업 SK엔카는
지난해 자사 홈페이지에 등록된 중고차 매물 중 1000~2000cc 차량의 비중이 1위를 차지했다고 19일
밝혔다. 1000~2000cc 차급이 1위를 차지한 것은 조사를 시작한 2009년 이후 처음이다.
1000~2000cc 비중은 2009년 27.8%였으나 2010년 29.3%, 2011년 31.4%,
2012년 40.2%를 기록하며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해는 45.4%를 기록하며
2000~3000cc를 제치고 처음으로 1위를 차지했다. 중고차로 거래되는 차량 2대 중 1대 가량은
1000~2000cc인 셈이다. [김남이 기자]
[머니투데이] 기사 더 보기
■ 근로자 10명중 8명 퇴직금 1천만원도 안된다
퇴직자들의 퇴직 소득도 양극화 현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년퇴직 시기인 50대 근로자들의 평균 퇴직급여액은
1천600만원 가량에 불과해 은퇴 후 생활을 위한 시드머니(종자돈)로는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세청의 '퇴직소득 원천징수 신고현황'에 따르면 2012년 국세청에 퇴직급여 지급명세표를 제출한 것을
기준으로 한 퇴직자는 281만1천892명이었다. 전체 퇴직 근로자의 84.9%인 238만6천582명은
퇴직급여가 1천만원 이하였지만 1억원을 초과하는 근로자도 전체의 1.3%인 3만6천570명에 달했다.
퇴직급여 편차가 큰 것은 기간제, 파견직 근로자들의 경우 1~2년 사이에 계약 종료와 함께 낮은 수준의
퇴직금 정산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최이락 기자]
[연합뉴스] 기사 더 보기
■ "외국인, 코스닥 주식 사들인다"…시총 비중 10% 돌파
코스닥 시가총액에서 외국인 보유액 비율이 2년 반 만에 10% 선을 넘어섰다. 외국인의 코스닥 주식 보유량
비중도 지난 2007년 8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에 달했다. 최근 코스닥시장에 외국인 자금이 꾸준히 유입된
결과다. 한국거래소와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7일 현재 외국인의 코스닥주식 보유액은 12조5천858억원으로
시총(123조8천825억원)의 10.16%를 차지했다. 1년 전(8.27%)보다 1.89%포인트가량 높아졌고
지난해 폐장일(9.87%)보다도 0.29%포인트 오른 수치다. 시총 내 외국인 보유액 비중이 10%를 넘어선
것은 지난 7일(10.03%)부터다. 2011년 8월 26일(10.02%) 이후로는 처음이다. [정준영
기자]
[연합뉴스] 기사 더 보기
■ 카드사 고객정보, 제휴사에 마음대로 못넘긴다
카드 고객이 잘 모르는 제휴사로 개인 정보가 넘어가 부적절 마케팅이나 금융사기에 이용되는 행위가 엄격히
제한된다. 금융그룹 자회사들끼리 고객 정보를 함부로 공유하는 행위도 엄격히 통제된다. 카드사들이 자사
계열사를 포함해 1천여 제휴업체에 대규모 고객 정보를 제공하면서도 정작 사후 관리는 엉망인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카드 제휴업체인 신용평가사 직원이 1억여건의 카드 고객 정보를 유출한 것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는 지적까지 나올 정도다. [심재훈/김태종 기자]
[연합뉴스] 기사 더 보기
■ 개인정보 삭제 한다더니… 탈회 고객 정보까지 유출
이번에 유출된 고객정보에 카드 해지 고객은 물론 탈회(脫會) 회원의 정보도 다수 포함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지금까지 금융회사들은 "해지가 아니라 탈회를 하면 고객 정보를 모두 삭제한다"고 밝혀 왔는데, 이번 사건으로
카드사들이 탈회 고객 정보까지 보관하고 있음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탈회를 한다고 해도 무조건 고객 정보를
완전히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는 게 카드사의 설명이다. 고객의 별다른 요청이 없으면 카드사는 탈회 신청한
날부터 개인정보보호법 등에 따라 최대 5년간 ▲계약 또는 청약철회 등에 관한 기록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신용정보의 수집ㆍ처리 및 이용 등에 관한 기록 ▲본인확인에 관한 기록 ▲웹사이트 방문기록
등을 보관할 수 있다. 고객이 탈회 신청을 하면서 개인정보 완전 삭제를 요청하는 경우에만 즉시 삭제를 할
뿐, 아무런 요청이 없으면 카드사 측이 자의적으로 5년간 정보를 보유한다는 얘기다. [강지원 기자]
[한국일보] 기사 더 보기
■ 카드사 이외 전화는 무시하고 롯데·농협카드는 재발급 받아야
Q. 정보가 유출됐는지 확인은? A. KB국민카드(www.kbcard.com) 롯데카드(www.lottecard.co.kr)
NH농협카드(card.nonghyup.com) 등 유출된 신용카드사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Q.
해당 카드사의 카드가 없는데도 정보가 유출될 수 있나. A. 가능하다. 금융지주회사들이 개인정보를 마케팅에
이용하기 위해 공유해왔는데 이 과정에서 카드사가 가져다 사용했을 수 있다. Q. 결제계좌에서 돈이 빠져나갔을
가능성은. A. 거의 없다. Q. 카드가 복제될 수준으로 정보가 나갔나. A. 아니다. Q. 유출된 정보로
카드결제가 될 수도 있나. A. 카드번호와 유효기간이 함께 유출된 롯데, 농협카드라면 피해 가능성을 100%
배제할 수 없다. Q. 카드를 재발급 받아야 하나. A. 카드번호와 유효기간이 동시에 빠져 나간 경우라면
재발급 신청을 하는 것이 안심할 수 있는 방법이다. Q. 비밀번호를 바꿀 필요는 없나. A. 주민번호,
전화번호, 주소 등이 유출됐기 때문에 여기에서 유추할 수 있는 비밀번호 사용자라면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
Q. 2차 피해를 막으려면. A. 스미싱이나 보이스피싱이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금융회사 이름을
팔면서 정보를 물어보는 경우를 조심해야 한다. Q. 피해 발생시 대응 요령은. A. 정보 유출로 피해가
발생했다면 카드사와 금융감독원 신고센터에 신고하면 된다. 고객정보를 유출한 회사들은 2차 피해가 나타났을 때
100% 보상해준다. [박종서 기자]
[한국경제] 기사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