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6/04] 우리말) 간인과 사잇도장

조회 수 4064 추천 수 158 2007.06.04 09:01:01
함께 묶인 서류의 종잇장 사이에 걸쳐서 찍는 도장을 간인(間印)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 낱말은 국립국어원에서
'사잇도장', '거멀도장', '걸침 도장', '이음 도장'으로 다듬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지금 다른 나라에 있습니다. 회사일로 잠시 나왔습니다.

과제 협약을 혼자 하느라 고생이 많으실 해진 씨!
가서 맛있는 점심 대접할게요. ^^*

해진 씨가 요즘 농촌진흥청 현장협력기술개발사업 과제를 협약하고 있습니다.
흔히 연구협약서를 받을 때는 협약서 앞장과 뒷장 사이에 도장이 찍혀 있는지를 꼭 확인하는데요.
그런 도장,
함께 묶인 서류의 종잇장 사이에 걸쳐서 찍는 도장을 간인(間印)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 낱말은 국립국어원에서
'사잇도장', '거멀도장', '걸침 도장', '이음 도장'으로 다듬었습니다.
따라서 중요한 서류는 간인을 해야 한다가 아니라
중요한 서류는 사잇도장을 찍어야 한다고 해야 맞습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국민이 낸 세금으로 이런 좋은 일도 많이 하고 계십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계인(契印)은
"두 장의 문서에 걸쳐서 찍어 서로 관련되어 있음을 증명하는 '계(契)' 자를 새긴 도장."으로
이 역시 '거멀도장'으로 다듬었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한창/한참]

며칠 전에 보내기가 한창이라면서 벼농사 이야기를 보내드렸는데요.
오늘은 그때 쓴, '한창'과 '한참'을 구별해 볼게요.

'한창'은,
'어떤 일이 가장 활기 있고 왕성하게 일어나는 때. 또는 어떤 상태가 가장 무르익은 때.'를 말합니다.
'공사가 한창인 아파트, 요즘 앞산에는 진달래가 한창이다.'처럼 씁니다.
'한참'은,
'시간이 상당히 지나는 동안.'을 뜻합니다.
'한참 뒤, 한참 동안 기다리다, 그는 한참 말이 없었다.'처럼 씁니다.

이렇게 '한창'과 '한참'은 발음은 비슷해도 뜻은 전혀 다릅니다.

잘 구별해서 쓰셔야 합니다.

요즘 논에서는 모내기가 '한참이다'고 하면 안 되고, 모내기가 '한창이다'고 해야 합니다.

새로운 월요일입니다.
이번 주도 좋은 생각 많이 하시고,
좋은 일 많이 만드시길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694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516
256 [2007/06/27] 우리말) 선거철이 벌써 시작되었나 봅니다 id: moneyplan 2007-06-27 3302
255 [2007/06/26] 우리말) 판사는 ㄷㄹ지고 ㄷㄸ야합니다 id: moneyplan 2007-06-26 3240
254 [2007/06/25] 우리말) 제 아들이 ㄴㄱ네요 id: moneyplan 2007-06-25 3659
253 [2007/06/24] 우리말) 놀금 id: moneyplan 2007-06-25 3415
252 [2007/06/22] 우리말) 넘지 말아야 할 금도? id: moneyplan 2007-06-22 3629
251 [2007/06/21] 우리말) '몽골어'와 '몽골 어' id: moneyplan 2007-06-21 3790
250 [2007/06/20] 우리말) 벼룩시장 id: moneyplan 2007-06-20 3297
249 [2007/06/19] 우리말) 가족과 식구 id: moneyplan 2007-06-19 4101
248 [2007/06/19] 우리말) 다대기가 아니라 다지기입니다 id: moneyplan 2007-06-19 3613
247 [2007/06/18] 우리말) 맏과 맏이 id: moneyplan 2007-06-18 3357
246 [2007/06/14] 우리말) 담합이 아니라 짬짜미 id: moneyplan 2007-06-15 3450
245 [2007/06/14] 우리말) 암돼지가 아니라 암퇘지입니다 id: moneyplan 2007-06-14 3399
244 [2007/06/13] 우리말) 기일 엄수가 아니라 날짜를 꼭 지키는 겁니다 id: moneyplan 2007-06-14 3372
243 [2007/06/12] 우리말) 산통을 깨다 id: moneyplan 2007-06-12 3710
242 [2007/06/11] 우리말) 오늘은 수수께끼가 있습니다 id: moneyplan 2007-06-11 3520
241 [2007/06/08] 우리말) 버벅거리다 id: moneyplan 2007-06-08 3317
240 [2007/06/07] 우리말) 함박꽃 id: moneyplan 2007-06-07 3450
239 [2007/06/05] 우리말) 최대값과 최댓값 id: moneyplan 2007-06-05 3288
» [2007/06/04] 우리말) 간인과 사잇도장 id: moneyplan 2007-06-04 4064
237 [2007/06/01] 우리말) 쌩얼과 민낯 id: moneyplan 2007-06-01 3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