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24] 우리말) 등소평과 덩 샤오핑

조회 수 7653 추천 수 80 2007.10.24 09:25:05
중국의 수도(北京)를 뭐라고 읽으세요?
북경? 베이징?
일본의 수도(東京)는 어떻게 읽으세요?
도쿄? 동경?


안녕하세요.

요즘 뉴스에 중국 이야기가 많이 나오네요.
오늘은 중국 이야기로 시작해 볼까요? ^^*

중국의 수도(北京)를 뭐라고 읽으세요?
북경? 베이징?
일본의 수도(東京)는 어떻게 읽으세요?
도쿄? 동경?

임진왜란을 일으켜 우리나라를 쳐들어온 일본 장수 이름(豊臣秀吉)은
풍신수길인가요, 도요토미 히데요시인가요?

중국 개혁의 선도자 鄧小平은 등소평인가요, 덩 샤오핑인가요?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 孔子는 공자로 읽어야 하나요, 꽁쒸로 읽어야 하나요?

헷갈리시죠?

외래어 표기법을 좀 보죠.
외래어 표기법, 인명, 지명 표기의 원칙, 제2절 동양의 인명, 지명 표기를 보면,
제1항 중국 인명은 과거인과 현대인을 구분하여 과거인은 종전의 한자음대로 표기하고, 현대인은 원칙적으로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제2항 중국의 역사 지명으로서 현재 쓰이지 않는 것은 우리 한자음대로 하고, 현재 지명과 동일한 것은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제3항 일본의 인명과 지명은 과거와 현대의 구분 없이 일본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제4항 중국 및 일본의 지명 가운데 한국 한자음으로 읽는 관용이 있는 것은 이를 허용한다.  

뭐가 뭔지 무척 헷갈리시죠?

어쨌든 그 규정에 따라,
북경/베이징 모두 쓸 수 있고,
도쿄/동경도 아무거나 써도 됩니다.

豊臣秀吉은 풍신수길이라고 하면 안 되고 '도요토미 히데요시'라고 해야 하고,
鄧小平도 덩 샤오핑이라고 해야 합니다.
그러나 孔子는 공자라고 합니다.

이렇게 어렵고 복잡하게 만들어 놓고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쓰라고 하면 제대로 따라 쓸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요?

또,
여기서 꼭 짚어볼 게,
외래어 표기법을 왜 만들었죠?
외국인들에게 우리글을 어떻게 쓰는지 알려주고자 함인가요?
아니면 우리나라 사람에게 외래어를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알려주고자 함인가요?

제 생각에, 짧은 제 생각에,
외래어 표기법은,
다른 나라에서 들어온 말인 ? 柄±低?우리글로 어떻게 쓰면 되는지를 정해놓은 방법일 겁니다.
곧, 우리를 위한 규정이지 다른 나라 사람을 위한 규정이 아닙니다.
그렇게 본다면,
鄧小平은 등소평이라고 해야지 덩 샤오핑이라고 하면 안 됩니다.
그렇지 않나요?
아마 제가 중국 사람을 만나 '덩 샤오핑' 어쩌고저쩌고 해도 그 사람은 제가 한 말을 못 알아들을 겁니다.

아래 누리집에 한번 들어가 보세요.
http://news.media.daum.net/culture/art/200710/23/yonhap/v18572553.html

저는 오늘 나주까지 바람 쐬러 갑니다.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에게, 에...]

날씨가 꽤 풀렸죠?

언젠가 제가 보내드린 편지 내용 중,
‘닭 쫓던 개’와
‘행복을 좇는 사람들’에서
‘쫓’과 ‘좇’이 다르다고 말씀드렸죠?
‘쫓’은 공간이동이 있어야 하고,
‘좇’은 공간이동이 없을 때 쓴다고...

오늘은 조사 ‘에, 에게’입니다.
‘에’는 움직이지 않는 것에 쓰고,
‘에게’는 움직이는 것에 씁니다.

따라서
‘나무에게 물을 줘라’가 아니라 ‘나무에 물을 줘라’가 맞고,
‘아이에 물을 줘라’가 아니라 ‘아이에게 물을 줘라’가 맞습니다.
나무는 움직이지 못하고,
아이는 움직일 수 있으므로...
쉽죠?

늘 좋은 생각만 하세요.

좀 다른 이야긴데,
아침에 뉴스를 들으니,
어떤 미친 여자는 애인과 결혼하기 위해 엄마와 애를 납치하고,
교사는 학생의 시험지를 고치고,
어떤 노조는 돈을 받고 직원을 뽑고...
연예인들 사생활을 공개하고, 그걸 두고 고소하고...
대통령은 부총리를 두 번이나 잘못 뽑고,
머리가 멍하네요.
정신이 혼미해질 정도입니다.

정신 바짝 차리고 삽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4360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49260
356 [2007/11/05] 우리말) 안다니와 안다미로 id: moneyplan 2007-11-05 7454
355 [2007/11/03] 우리말) 푹 고은 게 아니라 푹 곤 id: moneyplan 2007-11-05 7299
354 [2007/11/02] 우리말) 강추위와 强추위 id: moneyplan 2007-11-02 7413
353 [2007/11/01] 우리말) 문제입니다. 바닷가에 쌓인 굴 껍데기를 뭐라고 하죠? id: moneyplan 2007-11-01 7871
352 [2007/10/31] 우리말) 가시버시 id: moneyplan 2007-10-31 5299
351 [2007/10/30] 우리말) 가리산지리산 id: moneyplan 2007-10-30 5933
350 [2007/10/29] 우리말) 비거스렁이 id: moneyplan 2007-10-29 7550
349 [2007/10/27] 우리말) 오늘은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7-10-27 7433
348 [2007/10/26] 우리말) 구리다 id: moneyplan 2007-10-26 5809
347 [2007/10/25] 우리말) 여덟 시 삼 분 id: moneyplan 2007-10-25 6757
» [2007/10/24] 우리말) 등소평과 덩 샤오핑 id: moneyplan 2007-10-24 7653
345 [2007/10/23] 우리말) 도저를 살려 쓰자고요? id: moneyplan 2007-10-23 6721
344 [2007/10/22] 우리말) 포장도로와 흙길 id: moneyplan 2007-10-22 6833
343 [2007/10/19] 우리말) 구설과 구설수 id: moneyplan 2007-10-19 6775
342 [2007/10/18] 우리말) 누룽지와 눌은밥 id: moneyplan 2007-10-18 6669
341 [2007/10/17] 우리말) 가풀막지다 id: moneyplan 2007-10-17 7270
340 [2007/10/16] 우리말) 발쇠 id: moneyplan 2007-10-16 5611
339 [2007/10/15] 우리말) 지난주, 이번 주, 다음 주 id: moneyplan 2007-10-15 8920
338 [2007/10/12] 우리말) 짬짜미 id: moneyplan 2007-10-13 5615
337 [2007/10/11] 우리말) 부리나케, 부랴부랴 id: moneyplan 2007-10-11 5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