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5/07] 우리말) 족적과 발자취

조회 수 3077 추천 수 89 2008.05.08 11:21:56
궁금한 게 있습니다.
왜 뉴스에서는 '발자취'라는 말을 쓰지 않고 다들 '족적'이라는 낱말을 쓸까요?
선생님은 분명히 현대 문학에 큰 '발자취'를 남기셨는데 왜 언론에서는 '족적'을 볼까요?


안녕하세요.

아침 7:05 MBC 뉴스에서 '시비거리'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옳으니 그르니 하는 말다툼의 내용이 될 만한 것."은 '시빗거리'가 맞습니다.

7:17 KBS 뉴스에서는
"많이 더워졌다"라고 했습니다.
추위나 더위의 정도를 나타내는 어찌씨(부사)는 '많이, 적게'가 아니라,
'상당히' 나 '꽤'를 써야 바릅니다.

며칠 전에 박경리 님이 돌아가셨습니다.
우리나라 문학의 큰 별이 지셨네요.
현대 문학에 큰 발자취를 남기고 가신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궁금한 게 있습니다.
왜 뉴스에서는 '발자취'라는 말을 쓰지 않고 다들 '족적'이라는 낱말을 쓸까요?
선생님은 분명히 현대 문학에 큰 '발자취'를 남기셨는데 왜 언론에서는 '족적'을 볼까요?

언론이 이러니 철없는 학자들도 따라가
사전에 '독서'는 올리고 '책읽기'는 올리지 않으며,
'비포장도로'는 올리고 '흙길'은 빼는 바보 같은 짓을 한 거겠죠.

우리나라, 대한민국 국어사전에 '책읽기'와 '흙길'은 없습니다.
쩝...

박경리 님의 명복을 빕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씨, 님’ 띄어쓰기]

맞춤법에서 띄어쓰기가 참 어렵죠.

사실 원리는 쉬운데 막상 그것을 적용하면 어렵더군요.
차분히 시간 날 때마다 하나씩 풀어가기로 하죠.
그게 어디 도망가기야 하겠어요?

오늘은 호칭어 띄어쓰기를 설명 드릴게요.
며칠 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에서,
‘홍길동의원님’이라고 쓰면 안 되고, ‘홍길동 의원님’이라고 써야한다고 말씀드렸죠?
그 근거로, 한글 맞춤법 제48항에 있는,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어 쓴다.”라는 구절을 들었고요.

이를 좀더 자세히 보면,
1. 성과 이름은 ‘홍 길동’으로 띄어 쓰면 안 되고 ‘홍길동’으로 붙여 쓴다.
2. 관직명과 호칭은 앞에 오는 고유 명사와 별개의 단위이므로, ‘홍길동 과장’처럼 띄어 쓴다.
로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씨’나 ‘님’은 어떨까요?
‘홍길동 씨’할 때의 ‘씨’는 호칭이므로 ‘홍길동 씨, 홍 씨, 길동 씨’처럼 띄어 써야 합니다.
‘님’은 어떨까요?
씨와 마찬가지로 띄어 씁니다. ‘홍길동 님’이 맞습니다.

다만, 성이나 이름이 아닌
직위나 신분을 나타내는 명사 뒤에 붙는 ‘님’은 접미사이므로 붙여 씁니다.
‘사장님, 청장님, 과장님, 계장님, 실장님’처럼 써야 합니다.

사람이 아닌 일부 명사 뒤에 그 대상을 인격화하여 높여 부르는
‘달님, 해님, 별님, 토끼님’의 ‘님’도 접미사이므로 붙여 써야 합니다.

좀 정리가 되셨나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2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00
496 [2008/05/23] 우리말) 본데와 본때 id: moneyplan 2008-05-28 3548
495 [2008/05/16] 우리말) 게와 개 가르기 id: moneyplan 2008-05-23 3807
494 [2008/05/14] 우리말) 저승꽃과 검버섯 id: moneyplan 2008-05-15 3128
493 [2008/05/15]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id: moneyplan 2008-05-15 3228
492 [2008/05/13] 우리말) 졸리다와 졸립다 id: moneyplan 2008-05-13 3010
491 [2008/05/10] 우리말) 제가 누구냐고요? id: moneyplan 2008-05-10 3291
490 [2008/05/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5-10 3493
489 [2008/05/08] 우리말) 안전선 안과 밖 id: moneyplan 2008-05-08 3374
» [2008/05/07] 우리말) 족적과 발자취 id: moneyplan 2008-05-08 3077
487 [2008/05/06]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8-05-07 3887
486 [2008/05/02] 우리말) 몰강스럽다 id: moneyplan 2008-05-02 3526
485 [2008/05/01] 우리말) 짜뜰름짜뜰름 id: moneyplan 2008-05-02 3418
484 [2008/04/30] 우리말) 팽개치다 id: moneyplan 2008-04-30 3716
483 [2008/04/29] 우리말) 맑다와 곱다 id: moneyplan 2008-04-29 3524
482 [2008/04/28] 우리말) 옥수수와 강냉이 id: moneyplan 2008-04-28 3722
481 [2008/04/25] 우리말) 가르치다의 말뿌리 id: moneyplan 2008-04-27 3769
480 [2008/04/24] 우리말) 북돋우다 id: moneyplan 2008-04-24 3636
479 [2008/04/23] 우리말) 꽃잎이 떨어지더라도 아쉬워 말자 id: moneyplan 2008-04-23 3399
478 [2008/04/22] 우리말) 저는 9시에 연속극을 봅니다 ^^* id: moneyplan 2008-04-22 3231
477 [2008/04/21]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id: moneyplan 2008-04-22 3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