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8/02] 우리말) 매기단하다

조회 수 3562 추천 수 108 2010.08.02 09:51:28
우리말에 '매기단하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일의 뒤끝을 깨끗하게 맺다"는 뜻입니다.
정부에서 잘 매기단해서
이번에 하회마을과 양동마을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브라질에서 기분 좋은 소식이 날아왔습니다.
하회마을과 양동마을이 우리나라에서 열 번째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는 기분 좋은 소식입니다.
6백 년을 고스란히 지켜온 우리 문화가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우리 문화는 이렇게 아름답고 소중한 것인데, 우리가 너무 모르고 있지 않나 반성해 봅니다.

제가 알기에는 하회마을과 양동마을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신청했다가 처음에는 떨어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다시 철저히 준비하고 관계기관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이번에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우리말에 '매기단하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일의 뒤끝을 깨끗하게 맺다"는 뜻입니다.
정부에서 잘 매기단해서
이번에 하회마을과 양동마을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성대모사/성대묘사/목소리 흉내]

안녕하세요.

어제저녁에 노래방에 갔습니다.
노랫말이 나오는 화면에 '스포츠 하일라이트'라는 게 보이더군요.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따로 설 수 있는 말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복합어는
그것을 이루는 말이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대로 적는다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곧, 외래어 단어 두 개가 모여 하나의 단어가 되었을 때는 각각의 단어 발음을 그대로 쓰는 것이죠.
그래서 sunglass '선그라스'가 아닌 '선글라스'가 맞고,
highlight도 '하일라이트'가 아니라 '하이라이트'가 맞습니다.

오늘은 '성대모사'를 좀 알아볼게요. 노래방에서 노래 부르는 것을 생각하면서...
일단, 성대모사(聲帶模寫)는 국어사전에 오른 표준어입니다.
자신의 목소리로 다른 사람의 목소리나 새, 짐승 따위의 소리를 흉내 내는 일을 뜻합니다.
표준말이니 떳떳하게 쓸 수 있는 낱말입니다.

여기에 딴죽을 좀 쳐보죠.

모사(模寫)는 "사물을 형체 그대로 그림. 또는 그런 그림"을 뜻합니다.
또, 원본을 베끼어 씀, 어떤 그림의 본을 떠서 똑같이 그린 그림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이렇게 모든 뜻이 그리거나 쓰는 것과 관련되지 소리와는 상관이 없습니다.
차라리 묘사(描寫)가 더 나을지도 모릅니다.
묘사는 "어떤 대상이나 사물, 현상 따위를 언어로 서술하거나 그림을 그려서 표현함."이라는 뜻으로 '언어'가 들어가 있거든요.
그러나 '성대모사'는 표준어이지만, '성대묘사'라는 낱말은 없습니다.
성대모사를 '말소리 흉내'나 '목소리 흉내'라고 하면 촌스러운가요?

문화재(文化財)를 아시죠?
"문화 활동으로 창조된 가치가 뛰어난 사물"을 뜻합니다.
사람이 아니라 사물입니다.
그런데도 인간문화재라는 말을 씁니다.
중요 무형 문화재 보유자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로 국어사전에도 올라 있습니다.
문화재는 사물인데 인간문화재로 써서 사람을 일컫습니다.
이 또한 '기릴 사람'으로 하면 이상한가요?

'기리다'가
뛰어난 업적이나 바람직한 정신, 위대한 사람 따위를 추어서 말하는 거잖아요.
선열의 뜻을 기리다, 스승의 은덕을 기리다처럼 쓰니
'기릴 사람'이라고 하면 인간문화재의 뜻을 담을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우리말은, 깨끗하고 아름다운 우리말은
우리가 일부러 찾아 부려 써야 빛이 난다고 봅니다.
모든 것에서 한자를 버리고 순 우리말을 쓰자 거나,
일본어투 말을 한꺼번에 몽땅 버리자는 뜻은 아닙니다.
다만, 우리말로, 깨끗한 우리말로 바꿀 수 있는 것은 바꿔쓰자는 것입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102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16650
1056 [2010/08/11] 우리말) 너나들이 moneybook 2010-08-12 3072
1055 [2010/08/10] 우리말) 끄물끄물과 들큰거리다 moneybook 2010-08-10 3337
1054 [2010/08/09] 우리말) 엉터리 자막 몇 개 moneybook 2010-08-09 3788
1053 [2010/08/06] 우리말) 알림창 moneybook 2010-08-06 3102
1052 [re] 아침에 드린 편지에 틀린 내용이 있습니다 moneybook 2010-08-08 3153
1051 [2010/08/05] 우리말) 물쿠다 moneybook 2010-08-05 3099
1050 [2010/08/04] 우리말) 비가 내리네요 moneybook 2010-08-04 3095
1049 [2010/08/03] 우리말) 미덥다와 구덥다 moneybook 2010-08-03 2864
» [2010/08/02] 우리말) 매기단하다 moneybook 2010-08-02 3562
1047 [2010/07/30] 우리말) 스리와 쓰리 moneybook 2010-07-30 2828
1046 [2010/07/29] 우리말) 뙤약볕 moneybook 2010-07-29 3245
1045 [2010/07/28] 우리말) 시르죽다 moneybook 2010-07-28 3460
1044 [2010/07/27]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moneybook 2010-07-27 3096
1043 [2010/07/26]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moneybook 2010-07-26 3100
1042 [2010/07/23] 우리말) 워크샵과 워크숍 moneybook 2010-07-23 3044
1041 [2010/07/22] 우리말) '내 힘들다'를 거꾸로 하면? moneybook 2010-07-22 4039
1040 [2010/07/21] 우리말) 후더분한 날씨 moneybook 2010-07-21 3247
1039 [2010/07/20] 우리말) 금슬과 금실 moneybook 2010-07-20 3205
1038 [2010/07/19] 우리말) 광화문 현판을 한글로 moneybook 2010-07-19 3391
1037 [2010/07/16] 우리말) 날개짓과 날갯짓 moneybook 2010-07-19 3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