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1/22] 우리말)

조회 수 8221 추천 수 0 2017.11.23 16:59:53

.

안녕하세요.

눈이 내릴듯하더니 비만 조금 내리고 마네요.

오늘은 정재환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병자호란은 왜 '난'이고 6·25는 왜 '변'인가?
입니다.
http://www.newstof.com/news/articleView.html?idxno=412

세상을 어지럽게 하면 난(亂)
고려 인종 4년(1126년) 예종과 인종에게 자신의 딸을 왕후로 들이며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던 이자겸을 인종이 제거하려 하자 이자겸은 척준경의 군사력을 동원하여 난을 일으켰다. 왕궁을 침범하여 국왕파 신료를 제거한 다음 정치를 독단하였지만, 인종이 척준경을 이자겸과 갈라서게 해야 된다는 최사전의 계략을 수용한 결과, 이자겸은 척준경의 군사들에 의해 진압되었다. '이자겸의 난'이다.
인종 13년(1135년)에는 신채호가 조선 역사 천 년의 대사건이라고 한 '묘청의 난'이 일어났다. 묘청은 고려가 어려움을 겪는 것은 개경의 지덕이 쇠한 때문이라며 서경 천도를 주장하였다가 김부식을 비롯한 반대 세력에 의해 수포로 돌아가자, 난을 일으켰다. 김부식이 진압 책임자가 되었고, 반란군의 실권자인 조광은 형세가 불리해지자 묘청의 목을 베어 개경으로 보냈다.
무신 정권기에는 무신들이 번갈아 난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다. 문존무비의 풍조 속에서 문신의 횡포에 시달리며 온갖 수모를 감수하던 무신들의 분노가 1170년 의종의 보현원 나들이에서 폭발했고, 정중부 이의방 이고 등은 지위 고하를 떠나 수백의 문신을 살육했다. 이로써 무신들의 천하가 되었다.
명종 3년(1173년) 동북면병마사 김보당이 의종을 다시 세우려고 난을 일으켰다. 정중부는 이의민과 이의방으로 하여금 김보당 이경직 등을 참살하였고, 이의민이 의종마저 살해함으로써 난은 실패했다. '김보당의 난'이라 부르며, 명종 4년(1174년)에는 문신 조위총이 정중부 이의방 등 무신 정권을 타도하기 위해 군사를 일으켜 정부군을 상대로 2년 가까이 싸우다 패했으니, '조위총의 난'이라 한다.
조선 시대의 난은 왕위를 놓고 형제들끼리 피비린내 나는 권력 투쟁을 벌였던 두 차례 '왕자의 난'으로 시작되었고, 1453년 발생한 계유정란(癸酉靖難)은 수양대군이 단종의 보좌 세력이자 원로대신 황보인 김종서 등 수십 인을 살해한 다음, 어린 단종으로부터 선위를 받아 자신이 왕좌에 오른 사건이었다.
그런데 다른 난들이 어지럽다는 의미의 '난(亂)'을 쓰는 것과는 달리 어려움이나 재앙을 의미하는 '난(難)'을 쓰고 '정란(靖難)'이라 한 것이 이채롭다. 흔히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 한다. '계유정난'은 어려움이나 재앙을 바로 잡았다는 뜻으로서 승자 세조 즉위의 당위성을 주장한다.
앞에서 언급하지 않은 고려 시대 대표적인 천민의 난으로 '망이-망소이의 난'이나 '만적의 난' 그리고 1592년의 '임진왜란', 1636년의 '병자호란' 등이 모두 어지러울 '난(亂)을 써서 망이-망소이, 만적, 왜와 호(오랑캐) 등이 세상을 어지럽게 했음을 의미하는 것과 사뭇 다르다. 과거 동학도들이 봉기하여 세상을 어지럽게 했다는 의미로 동학란(東學亂)이라고도 했지만, 이제 이 말은 더 이상은 쓰지 않고 '동학농민항쟁' 또는 '동학혁명'이라고 부른다.

급작스러운 정치적 변동이나 재앙은 변(變)
그럼 이제 '변(變)'으로 넘어가 보자. 1884년 김옥균, 서재필, 박영효 등 급진 개혁 세력이 우정국 낙성식 날 일으킨 사건은 '난'이라고 하지 않고 '변(變)' 자를 써서 '갑신정변(甲申政變)'이라고 한다. 이날 수구파 한규직 윤태준 이조연 민태호 민영목 등이 처참한 죽음을 당했다.
'정변'의 사전적 의미는 '혁명이나 쿠데타 따위의 비합법적인 수단으로 생긴 정치상의 큰 변동이 발생하는 것'이다. '변'만 놓고 보면, '갑자기 생긴 재앙이나 괴이한 일'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정'과 '변'의 합성어인 '정변'은 비합법적인 정치적 수단에 의해 갑자기 발생한 재앙 또는 괴이한 일로 인해 생기는 변동을 의미한다.
10년 후 우리는 또 한 번 '변'자가 붙는 전대미문의 엽기적인 사건을 마주하게 된다. 1895년 발생한 명성황후 시해사건인 '을미사변(乙未事變)'인데, 여기서 사변(事變)은 다양한 뜻을 갖고 있다.
1. 사람의 힘으로는 피할 수 없는 천재(天災)나 그 밖의 큰 사건.
2. 전쟁에까지 이르지는 않았으나 경찰의 힘으로는 막을 수 없어 무력을 사용하게 되는 난리.
3. 한 나라가 상대국에 선전 포고도 없이 침입하는 일. (예) 우리나라의 가정은 사변 때 식구들의 생사조차 서로 모를 정도로 파괴되었다. <김승옥, 역사>

동트기 직전인 새벽 5시경에?애당초 야습을 기도했으나 시간이 지체되었다-허락도 없이 궁궐에 침입한 일본 군인들과 낭인들에 의해 국모가 무참히 살해당했으니, 위 3번에 해당할 것이다.
예문에 등장한 '사변'은 지금은 한국 전쟁, 6·25 전쟁 등으로 부르는 '6·25 사변'을 가리킨다. 따라서 '6·25 사변'이라 하면, 북이 선전 포고도 없이 침입한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돌이켜 보면 '한국동란(韓國動亂)'이란 용어도 사용했었는데, 이게 뜻밖에도 같은 동포끼리 난을 일으켰다는 '동란(同亂)'이 아니고, '폭동, 반란, 전쟁 따위가 일어나 사회가 질서를 잃고 소란해진다'는 의미의 '동란(動亂)'이다.
사건 규모나 지속시간으로 구분되지만 명확하지 않아
그럼 이제 정리를 좀 해 보자. 묘청, 정중부, 만적, 왜, 호 등 사건에는 '세상을 어지럽게 했다'는 의미로 난(亂)을 썼다. 같은 글자를 쓰고 있으므로 '한국동란'도 여기에 넣어야겠다. 그러나 계유정란은 어지러움이나 재앙적인 상황을 바로잡았다는 정반대의 의미로 '정난(靖難)'이라 했다. 난이 아닌 변을 쓴 것은 '갑신정변', '을미사변' 그리고 '6·25사변' 등이다.

정치적인 성격의 사건이라 해도 어떤 것은 난이고 어떤 것은 변이다. '이자겸의 난'과 '갑신정변'이 그렇고, 같은 '변(變)' 자를 쓰고 있지만, 을미사변과 갑신정변은 사뭇 다르고, '6·25 사변' 또한 앞의 두 '변'과 같지 않다. '6·25 사변'은 임진왜란, 호란, 한국동란과 마찬가지로 규모가 큰 전쟁이었다. 그러므로 난과 변의 뚜렷한 차이를 파악하기 어렵다.
사건의 규모를 고려해 볼 수도 있다. 갑신정변과 을미사변은 소수에 의해 일어나고 희생자 수도 많은 인원이 관계된 여타의 난과 비교하면 적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6·25 사변'에는 한국군, 인민군, 유엔군, 중국군, 소련군 등이 참전 또는 관계했고, 3년 동안에 군인과 민간인을 포함해 400~500만의 희생되었으니 한국사에서 가장 규모가 큰 비극적 사건이었다.
굳이 난과 변이 대별되는 것을 찾는다면 사건 지속 시간이랄 수 있다. 난은 사건 발생에서 종료까지 시간이 좀 걸렸다. 묘청의 난(1135.1~1136.2)은 2년, 임진왜란은 정유재란과 합쳐 7년간 지속되었다. 1173년 8월에 일어난 김보당의 난은 두 달이 안 돼 종료되었으니 비교적 짧지만, 갑신정변은 3일, 을미사변이 밤사이 시작되고 끝난 것에 비하면 긴 시간이었다. 그렇지만, 이미 언급했듯이 '6·25 사변'은 3년간 지속됐다. 따라서 사건의 성격이든 규모든 기간이든 난과 변을 뚜렷한 기준을 갖고 명쾌하게 구분하기는 쉽지 않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지난 2011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안갚음과 치사랑]

안녕하세요.

어제 어린이날 잘 쉬셨나요?
저는 두 애와 같이 남양주종합운동장에서 얼굴이 새까맣게 타도록 뛰어놀았습니다.
고등학교 동문모임에서 어린이날 잔치를 준비했었거든요. ^^*

이번 주말에는 어버이날입니다. 일요일이니까 될 수 있으면 꼭 부모님을 찾아뵈면 어떨까요?
저는 석가탄신일이 아버님 제사라 그날 고향에 갈 생각입니다. 


1.
반포지효(反哺之孝)라는 고사성어가 있습니다.
다 자란 까마귀가 거동할 수 없는 늙은 어미 까마귀에게 먹을 것을 물어다 준다는 뜻입니다.
이 말에 해당하는 우리말이 바로 '안갚음'입니다.
'앙갚음'과 소리가 비슷하지만 뜻은 전혀 다릅니다.
'안갚음'은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다는 뜻으로
자식이 커서 부모를 봉양하는 것을 이릅니다.

2.
'내리사랑'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손윗사람이 손아랫사람을 사랑함 또는 그런 사랑입니다.
특히 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을 이릅니다.
'치사랑'이라는 낱말도 있습니다.
손아랫사람이 손윗사람을 사랑함 또는 그런 사랑입니다.


3. 
누리집에 떠도는 글이 있어 붙입니다.
http://www.simsimhe.com/bbs/?bo_table=emotion&wr_id=15472


♣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영수증!!!

             어느날 저녁
             어린 딸 아이가 부엌으로 들어와서
             저녁 준비하고 있는 엄마에게
             자기가 쓴 글을 내밀었다.

             이번 주에 내방 청소한 값   →   → 2000원
             가게에 엄마 심부름 다녀온 값   → 1000원
             엄마가 시장간 사이 동생봐준 값→ 3000원

             쓰레기 내다 버린 값    →   →  → 1000원
             아빠 구두 4켤레 닦은 값   →    → 4000원
             마당 청소하고 빗자루질 한 값   → 2000원

             전부 합쳐서→ 13000원

             엄마는 기대에 부풀어 있는
             딸 아이의 얼굴을 쳐다보았다.

             잠시후, 엄마는 연필을 가져와
             딸 아이가 쓴 종이 뒷면에 이렇게 적었다.

             너를 내 뱃속에
             열 달 동안 데리고 다닌 값   → 무료!

             네가 아플 때 밤을 세워가며
             간호하고 널 위해 기도한 값 → 무료!

             널 키우며 지금까지 여러 해 동안
             힘들어 하고 눈물 흘린 값   → 무료!

             장난감, 음식, 옷 
             그리고 네 코 풀어 준것도  → 무료!

             너에 대한 내 사랑의 정까지 모두 → 무료!! 

             딸 아인 엄마가 쓴 글을 다 읽고 나더니
             갑자기 눈물을 뚝뚝 흘리며
             엄마에게 말했다.

             "엄마 사랑해요♡~!"


             그러더니 딸 아인 연필을 들어
             큰 글씨로 이렇게 썼다.

             "전부 다 지불되었음"



             어느날
             조물주께서 이르시되

             햇빛도 무료
             공기도 무료
             4철도 무료
             단비도 무료
             새들도 무료
             꽃도 무료
             ..............

             온 누리 삼라만상을 무료로 주노라
             내리 사랑으로 결산을 끝냈는지

             우리들은 조물주께 얼마나
             감사하며 사는가?

             다시 계산해야할 때가 되었다.

    
        
            부모는 아무리 주어도 아깝지 않고
            어떠한 대가도 바라지 않건만
            자식들은 부모에게 대가를 요구한다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것은
            마땅한 것이로되 

            아래에서 위로 흐름은
            순리에 어긋나는 줄 아나보다

            부모에게 손 내미는 것은
            떳떳하고 마땅하나

            자식에게 손 내미는 것은
            부끄러워야 하는가?


            효자 불효자는 부모가 만든다는 말이 있다
            손 내미는대로 들어주다 보니
            과보호가 되고

            과보호는 불효자를 만든다 하던가

            참으로 부모 노릇하기 어려운 세상



위 글을 읽고 먹먹해졌습니다.
오늘은 안갚음과 치사랑을 생각하며 하루를 보내고 싶습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4528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50961
2676 그 동안 연재하던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을 종료 합니다. 머니북 2017-11-28 9784
2675 [2017/11/27] 우리말) 오늘까지만 우리말 편지를 보냅니다 머니북 2017-11-27 8715
2674 [2017/11/24] 우리말) 엄중과 엄정 머니북 2017-11-24 8469
2673 [2017/11/23] 우리말) 비닐·마지노선·헹가래 중 순우리말은? 머니북 2017-11-23 9804
» [2017/11/22] 우리말) 머니북 2017-11-23 8221
2671 [2017/11/20] 우리말) 롱 패딩 머니북 2017-11-20 8334
2670 [2017/11/17] 우리말) 패러다임 머니북 2017-11-17 8372
2669 [2017/11/16] 우리말) 통음 머니북 2017-11-16 8300
2668 [2017/11/15] 우리말) ‘오’가 ‘우’로 바뀐 말들 머니북 2017-11-16 8319
2667 [2017/11/14] 우리말) 시 감상 머니북 2017-11-16 8377
2666 [2017/11/13] 우리말) 금도 머니북 2017-11-16 8157
2665 [2017/11/10] 우리말) 곡우와 우전 머니북 2017-11-10 8455
2664 [2017/11/09] 우리말) 사열 머니북 2017-11-10 8199
2663 [2017/11/08] 우리말) 제기? 머니북 2017-11-08 8290
2662 [2017/11/06] 우리말) 우리나라와 저희나라 머니북 2017-11-06 8316
2661 [2017/11/03] 우리말) 제가 누구냐고요? 머니북 2017-11-06 8295
2660 [2017/11/02] 우리말) 차담회 머니북 2017-11-06 8594
2659 [2017/11/01] 우리말) 비명과 환호성 머니북 2017-11-06 8215
2658 [2017/10/31] 우리말) '세종대왕과 소통' 발표자료 머니북 2017-11-06 8423
2657 [2017/10/30] 우리말) 문안 인사 머니북 2017-11-06 8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