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89/02/17(조선 성종 20)  도학자 화담 서경덕 태어남.

1600/02/17  지동설 주장했던 지오다노 브루노, 이단의 죄명으로 교황 앞에서 화형 당함.

1766/02/17  <인구론> 저자 맬더스 태어남.
                 “인구는 억제하지 않으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식량은 겨우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할 뿐이다.”

1827/02/17  스위스 교육자 페스탈로치 세상 떠남.

1856/02/17  독일 낭만파 시인 하이네 세상 떠남

1869/02/17(조선 고종 6)  독립운동가 이동녕 태어남.

1876/02/17(조선 고종 13)  최익현, 강화조약 교섭 반대 척사소 올림

1907/02/17  국채보상운동 시작.
                 부녀자들은 가락지, 비녀까지 헌납하면서 적극 가담하는 등 거국적으로 전개된 이 운동은
                 일본 통감부의 저지로 큰 결실을 맺지 못했다.
                 “2천만 동포가 담배를 석 달만 끊고… 국채 1300만원을 갚을 터인데…
                 어찌 힘 안드는 담배 석 달이야 못 끊을 자 있으며 설혹 못 끊더라도 1원에서 천백원까지 낼 사람이 많을지니
                 무엇을 근심하리요"-1907.2.17 <대한매일신보>에 실린 서상돈의 글

1988/02/17  남극과학기지인 세종기지 준공.

1992/02/17  미국의 뉴키즈온더블록 내한공연 중 1명 숨지고 40여명 부상.
                 서울 올림픽공원에서 열린 공연에서 10대 청소년 관객들의 열광으로 일어난 사건

1998/02/17  대만여객기 추락, 203명 목숨 잃음.

2007/02/17  파키스탄 법원에 폭탄테러, 13명 목숨 잃음.

2008/02/17  아프가니스탄 칸다하르서 자살폭탄 테러로 100명 이상 목숨 잃음.

2008/02/17  코소보, 세르비아로부터 독립선언



오늘은 정월대보름.

대보름의 풍습=부럼; 대보름날 아침에 일어나 밤, 호도, 잣, 은행 등을 깨물어 소리를 낸다. 나이 수대로 깨뜨리기도 하나 나이 먹은 이는 몇 개만 깬다. 일년 내내 까탈이 생기지 말라는 기원

대보름의 풍습=귀밝이 술; 대보름날 아침에 귀가 잘 들리라고 마시는 술, 좋은 소식을 잘 듣게 됨. 약밥; 14일이나 대보름날 아침에 찹쌀 대추 밤 잣 꿀을 섞어 찜. 오곡밥; 쌀 보리 콩 팥 조 다섯 가지 곡식으로 지은 밥. 세 집의 밥을 먹어야 좋다고

대보름의 풍습=더위팔기; 아침 일찍 더위를 판다. 그 해 무더위를 신선하게 보낼 수 있다. 지신밟기; 영남지방에서 지신을 위로하는 놀이. 여럿이 풍물 치며 뛰고 놈. 달맞이; 대보름날 저녁 뜨는 달 맞으며 횃불 꽂고 합장하고 소원을 빈다

대보름의 풍습=산제(동신제); 동리 수호신인 산신에 산제당에서 제사 지낸다. 답교; 종각의 종소리를 듣고 광통교나 수표교를 내왕한다. 일년 동안 다리가 아프지 않다고 함. 군중들은 퉁소를 불고 북을 쳐서 흥을 돋운다

대보름의 풍습=편싸움; 보름날 동서남대문밖 사람들과 애오개 사람들이 두 패가 되어 몽둥이나 돌을 들고 만리재에서 편싸움. 문밖사람들이 이기면 경기지방에 풍년이 들고 애오개편이 이기면 다른 지방에 풍년이 든다고. 고구려는 패수가에서 싸웠는데 임금이 친히 심판 봄

대보름의 풍습=줄다리기; 집집에서 짚을 내 줄을 만들어 두 패로 나누어 승패를 가른다. 횃불싸움; 홰를 들고 청소년이 두 패로 갈라져 전쟁 연습하듯이 싸우는 놀이. 사자놀이; 사자 탈을 쓰고 농악대를 앞세우고 마을 부잣집을 돌면서 대접받으며 추고 논다

대보름의 풍습=놋다리 놀이; 안동 지방에서 하는 놀이. 놋다리밟기, 기와 밟기, 여인들이 늘어서 허리 구부린 위로 걸어가는 놀이. 공민왕의 파천으로부터 비롯되었다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98 [역사 속 오늘] 2023(4356). 9. 13(수) 음력 7.29 갑술 머니북 2023-09-18 921
297 [역사 속 오늘] 2023(4356). 6.20(화) 음력 5.3 기유 세계난민의 날 머니북 2023-06-22 921
296 [역사 속 오늘] 2023(4356). 9. 21(목) 음력 8.7 임오 세계 평화의 날 세계 치매극복의 날 머니북 2023-09-21 920
295 [역사 속 오늘] 2023(4356). 3. 4(토) 음력 2.13 신유 머니북 2023-03-04 920
294 [역사 속 오늘] 2022(4355).10. 5(수) 음력 9.10 신묘 자연보호헌장선포일 세계교사의날 세계한인의날 세계자연재해감소의 날((International Day for Disaster Reduction) 머니북 2022-10-05 920
293 [역사 속 오늘] 2024(4357). 3. 4(월) 음력 1.24 정묘 머니북 2024-03-04 918
292 [역사 속 오늘] 2022(4355).12.16(금) 음력 11.23 계묘 머니북 2022-12-16 918
291 [역사 속 오늘] 2022(4355).12. 3(토) 음력 11.10 경인 소비자의 날 세계 장애인의 날 머니북 2022-12-05 918
290 [역사 속 오늘] 2022(4355).11.30(수) 음력 11. 7 정해 머니북 2022-11-30 918
289 [역사 속 오늘] 2024(4357). 4.22(월) 음력 3.14 병진 정보통신의 날 자전거의 날 새마을의 날 지구의 날(Earth Day) 국제 대지의 날(International Mother Earth Day) 머니북 2024-04-22 917
288 [역사 속 오늘] 2024(4357). 2.11(일) 음력 1.2 을사 첫뱀날 세계 환자의 날(World Day of the Sick) 머니북 2024-02-13 917
287 [역사 속 오늘] 2022(4355). 8.22(월) 음력 7.25 정미 에너지의 날 머니북 2022-08-22 917
286 [역사 속 오늘] 2023(4356). 2.23(목) 음력 2.4 임자 머니북 2023-02-23 916
285 [역사 속 오늘] 2023(4356). 8.25(금) 음력 7.10 을묘 머니북 2023-08-28 915
284 [역사 속 오늘] 2023(4356). 2. 4(토) 음력 1.14 계사 입춘 세계 암의 날(World Cancer Day) 머니북 2023-02-05 915
283 [역사 속 오늘] 2023(4356). 1.18(수) 음력 12.27 병자 머니북 2023-01-18 915
282 [역사 속 오늘] 2023(4356). 9. 15(금) 8.1 병자 인천상륙작전기념일 국제민주주의의 날 머니북 2023-09-18 914
281 [역사 속 오늘] 2023(4356). 9. 6(수) 음력 7.22 정묘 자원순환의 날 여군창설의 날 머니북 2023-09-08 914
280 [역사 속 오늘] 2023(4356). 6. 6(화) 음력 4.18 을미 망종 현충일 머니북 2023-06-06 914
279 [역사 속 오늘] 2023(4356). 4. 3(월) 음력 윤2.13 신묘 4.3희생자추념일 머니북 2023-04-03 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