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89/02/17(조선 성종 20)  도학자 화담 서경덕 태어남.

1600/02/17  지동설 주장했던 지오다노 브루노, 이단의 죄명으로 교황 앞에서 화형 당함.

1766/02/17  <인구론> 저자 맬더스 태어남.
                 “인구는 억제하지 않으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식량은 겨우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할 뿐이다.”

1827/02/17  스위스 교육자 페스탈로치 세상 떠남.

1856/02/17  독일 낭만파 시인 하이네 세상 떠남

1869/02/17(조선 고종 6)  독립운동가 이동녕 태어남.

1876/02/17(조선 고종 13)  최익현, 강화조약 교섭 반대 척사소 올림

1907/02/17  국채보상운동 시작.
                 부녀자들은 가락지, 비녀까지 헌납하면서 적극 가담하는 등 거국적으로 전개된 이 운동은
                 일본 통감부의 저지로 큰 결실을 맺지 못했다.
                 “2천만 동포가 담배를 석 달만 끊고… 국채 1300만원을 갚을 터인데…
                 어찌 힘 안드는 담배 석 달이야 못 끊을 자 있으며 설혹 못 끊더라도 1원에서 천백원까지 낼 사람이 많을지니
                 무엇을 근심하리요"-1907.2.17 <대한매일신보>에 실린 서상돈의 글

1988/02/17  남극과학기지인 세종기지 준공.

1992/02/17  미국의 뉴키즈온더블록 내한공연 중 1명 숨지고 40여명 부상.
                 서울 올림픽공원에서 열린 공연에서 10대 청소년 관객들의 열광으로 일어난 사건

1998/02/17  대만여객기 추락, 203명 목숨 잃음.

2007/02/17  파키스탄 법원에 폭탄테러, 13명 목숨 잃음.

2008/02/17  아프가니스탄 칸다하르서 자살폭탄 테러로 100명 이상 목숨 잃음.

2008/02/17  코소보, 세르비아로부터 독립선언



오늘은 정월대보름.

대보름의 풍습=부럼; 대보름날 아침에 일어나 밤, 호도, 잣, 은행 등을 깨물어 소리를 낸다. 나이 수대로 깨뜨리기도 하나 나이 먹은 이는 몇 개만 깬다. 일년 내내 까탈이 생기지 말라는 기원

대보름의 풍습=귀밝이 술; 대보름날 아침에 귀가 잘 들리라고 마시는 술, 좋은 소식을 잘 듣게 됨. 약밥; 14일이나 대보름날 아침에 찹쌀 대추 밤 잣 꿀을 섞어 찜. 오곡밥; 쌀 보리 콩 팥 조 다섯 가지 곡식으로 지은 밥. 세 집의 밥을 먹어야 좋다고

대보름의 풍습=더위팔기; 아침 일찍 더위를 판다. 그 해 무더위를 신선하게 보낼 수 있다. 지신밟기; 영남지방에서 지신을 위로하는 놀이. 여럿이 풍물 치며 뛰고 놈. 달맞이; 대보름날 저녁 뜨는 달 맞으며 횃불 꽂고 합장하고 소원을 빈다

대보름의 풍습=산제(동신제); 동리 수호신인 산신에 산제당에서 제사 지낸다. 답교; 종각의 종소리를 듣고 광통교나 수표교를 내왕한다. 일년 동안 다리가 아프지 않다고 함. 군중들은 퉁소를 불고 북을 쳐서 흥을 돋운다

대보름의 풍습=편싸움; 보름날 동서남대문밖 사람들과 애오개 사람들이 두 패가 되어 몽둥이나 돌을 들고 만리재에서 편싸움. 문밖사람들이 이기면 경기지방에 풍년이 들고 애오개편이 이기면 다른 지방에 풍년이 든다고. 고구려는 패수가에서 싸웠는데 임금이 친히 심판 봄

대보름의 풍습=줄다리기; 집집에서 짚을 내 줄을 만들어 두 패로 나누어 승패를 가른다. 횃불싸움; 홰를 들고 청소년이 두 패로 갈라져 전쟁 연습하듯이 싸우는 놀이. 사자놀이; 사자 탈을 쓰고 농악대를 앞세우고 마을 부잣집을 돌면서 대접받으며 추고 논다

대보름의 풍습=놋다리 놀이; 안동 지방에서 하는 놀이. 놋다리밟기, 기와 밟기, 여인들이 늘어서 허리 구부린 위로 걸어가는 놀이. 공민왕의 파천으로부터 비롯되었다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3976 [역사 속 오늘] 2021(4354). 6.17(목) 음력 5.8 병신 사막화와 가뭄 방지의 날 머니북 2021-06-25 1135
3975 [역사 속 오늘] 2021(4354). 6.16(수) 음력 5.7 을미 국제가사노동자의 날 머니북 2021-06-16 1379
3974 [역사 속 오늘] 2021(4354). 6.15(화) 음력 5.6 갑오 세계 노인학대 인식의 날(World Elder Abuse Awareness Day) 머니북 2021-06-16 2724
3973 [역사 속 오늘] 2021(4354). 6.14(월) 음력 5.5 계사 단오 씨름의 날 세계헌혈자의 날(World Blood Donor Day) 머니북 2021-06-14 2059
3972 [역사 속 오늘] 2021(4354). 6.13(일) 음력 5.4 임진 머니북 2021-06-14 1329
3971 [역사 속 오늘] 2021(4354). 6.12(토) 음력 5.3 신묘 세계 아동노동반대의 날(World Day Against Child Labour) 머니북 2021-06-14 1178
3970 [역사 속 오늘] 2021(4354). 6.11(금) 음력 5.2 경인 머니북 2021-06-14 1328
3969 [역사 속 오늘] 2021(4354). 6.10(목) 음력 5.1 기축 6.10만세기념일 6.10민주항쟁기념일 머니북 2021-06-14 1280
3968 [역사 속 오늘] 2021(4354). 6. 9(수) 음력 4.29 무자 이의 날 철의 날 머니북 2021-06-14 1272
3967 [역사 속 오늘] 2021(4354). 6. 8(화) 음력 4.28 세계해양의 날(World Ocean Day) 머니북 2021-06-08 1452
3966 [역사 속 오늘] 2021(4354). 6. 7(월) 음력 4.27 병술 머니북 2021-06-08 2565
3965 [역사 속 오늘] 2021(4354). 6. 6(일) 음력 4.26 을유 현충일 머니북 2021-06-08 1223
3964 [역사 속 오늘] 2021(4354). 6. 5(토) 음력 4.25 갑신 망종 세계 환경의 날 머니북 2021-06-05 2269
3963 [역사 속 오늘] 2021(4354). 6. 4(금) 음력 4.24 계미 세계 침략희생 어린이의 날 머니북 2021-06-05 1316
3962 [역사 속 오늘] 2021(4354). 6. 3(목) 음력 4.23 임오 머니북 2021-06-05 3913
3961 [역사 속 오늘] 2021(4354). 6. 2(수) 음력 4.22 신사 머니북 2021-06-02 1292
3960 [역사 속 오늘] 2021(4354). 6. 1(화) 음력 4.21 경진 의병의 날 국제아동의 날 머니북 2021-06-01 1144
3959 [역사 속 오늘] 2021(4354). 5.31(월) 음력 4.20 기묘 바다의 날 세계금연의 날 머니북 2021-05-31 1126
3958 [역사 속 오늘] 2021(4354). 5.30(일) 음력 4.19 무인 머니북 2021-05-31 1281
3957 [역사 속 오늘] 2021(4354). 5.29(토) 음력 4.18 정축 유엔평화유지군의 날(International Day of UN Peace Keepers) 머니북 2021-05-31 1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