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9/07] 우리말) 휭하니 >> 힁허케

조회 수 5983 추천 수 87 2006.09.07 02:38:02
안녕하세요.

어젯밤에 한 축구 보셨나요?
시원한 경기였습니다.
특히 전반 3분쯤에 설기현 선수가 쏜살같이 힁허케 달려가 넣은 골이 참 멋있었습니다.

배구나 축구 따위의 공을 다루는 경기에서,
지체함이 없이 재빠른 동작으로 공격함. 또는 그런 공격을 '속공'이라고 합니다.

속공할 때는 공을 몰고 쏜살같이 달려가죠?
"중도에서 지체하지 아니하고 곧장 빠르게 가는 모양."을 뜻하는 우리말이 '힁허케'입니다.
한눈팔지 말고 힁허케 다녀오너라처럼 쓰죠.

이 단어를
'휭하니'로 알고 계시는 분이 많습니다.
휭하니 밖으로 나가버렸다, 휭하니 다녀오거라...

그러나 이 휭하니는 '힁허케'를 잘못 쓰고 있는 겁니다.
힁허케 밖으로 나가버렸다, 힁허케 다녀오거라처럼 쓰셔야 합니다.

어젯밤에 설기현 선수가 힁허케 달려들어 첫 골을 넣은 거죠.

다음 경기에서도 우리 선수가 공을 잡자마자 상대편을 향해 힁허케 달려가 멋진 골을 넣길 빕니다. ^^*

우리말123 ^^*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넥타이 매고 왔어요]

오늘은 제가 근무하는 회사 본관건물 개관식이 있는 날입니다.
덕분에 저도 오랜만에 넥타이를 매고 왔습니다.
일 년에 몇 번 매지 않는 넥타이라서 좀 거추장스럽네요 ^^*

오늘은 ‘매다’와 ‘메다’의 차이에 대해 말씀드릴게요.

간단하게,
‘매다’는 무엇을 묶는 행위를 가리키고,
‘메다’는 무엇을 어깨에 얹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물건을 어깨에 걸치거나 올려놓을 때,
책임을 떠맡을 때,
목구멍이 막히거나 무엇이 가득 찰 때는 ‘메다’를 씁니다.
핸드백을 어깨에 메다.
총을 메다,
너는 이 회사의 장래를 메고 갈 사람이다.
하수도 구멍이 메었다.
가슴이 메어 말을 잇지 못했다.
처럼 쓸 수 있습니다.

반면,
‘매다’는
주로 끈이 풀리지 않게 묶는 일에 사용하고,
저 같은 사람이 논밭의 잡풀을 뽑는다는 뜻도 있습니다.
넥타이를 매다.
신발 끈을 매다.
그는 그 일에 목을 매고 있다.
김을 매다.
처럼 쓸 수 있습니다.

두 가지를 한꺼번에 쓰면,
‘가방을 메고, 신발끈을 맨 후 출근했다’가 되겠죠.

항상 행복하게 보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6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33
2656 [2006/08/14] 우리말) 주니 id: moneyplan 2006-08-14 13743
2655 [2012/08/28] 우리말) 초속 40미터 바람 세기 머니북 2012-08-28 13596
2654 [2011/12/05] 우리말) 땐깡과 지다위 그리고... 머니북 2011-12-05 13228
2653 [2011/04/28] 우리말) 빙부와 빙모 moneybook 2011-04-28 12979
2652 [2012/07/19] 우리말) '갓길' 댓글 머니북 2012-07-19 12922
2651 [2012/08/01] 우리말) 뭔가 야로가 있는 거 같죠? 머니북 2012-08-01 12821
2650 [2007/02/15] 우리말) 남동풍? 동남풍? id: moneyplan 2007-02-15 12096
2649 [2015/06/01] 우리말) 우리다 머니북 2015-06-01 12022
2648 [2012/07/12] 우리말) 한글로 된 국회의원 선서문 머니북 2012-07-12 11653
2647 [2008/01/14] 우리말) 띄어쓰기 틀린 것 몇 개 id: moneyplan 2008-01-14 11516
2646 [2010/12/06] 우리말) '착하다'의 뜻 moneybook 2010-12-06 11481
2645 [2010/08/20] 우리말) 올림과 드림 moneybook 2010-08-20 11233
2644 [2016/07/15] 우리말) 안경을 쓰다/안경을 끼다 머니북 2016-07-15 11123
2643 [2011/12/07] 우리말) 질기둥이 머니북 2011-12-07 10775
2642 [2007/09/04] 우리말) 상가, 상갓집, 상가집 id: moneyplan 2007-09-04 10644
2641 [2013/03/25] 우리말) 비몽사몽과 어리마리 머니북 2013-03-25 10412
2640 [2011/11/22] 우리말) 아름되 머니북 2011-11-22 10135
2639 [2007/02/09] 우리말) 개조식/서술식 id: moneyplan 2007-02-09 10011
2638 [2006/08/26] 우리말) 공중화장실 ‘여성 변기’ 늘린다 id: moneyplan 2006-08-28 9906
2637 [2006/12/21] 우리말) 기여가 아니라 이바지입니다 id: moneyplan 2006-12-21 98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