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9/27] 우리말) 유감에 유감?

조회 수 4850 추천 수 84 2006.09.28 12:13:24
안녕하세요.

어제치 조선일보(2006. 9. 26.) A2 맨 아래 오른쪽에 보면,
'바로잡습니다'라는 꼭지의 작은 기사가 있습니다.
내용은
'22일자 A1면 기사 중 '검찰총장이 21일 공개적으로 유감(有感)의 뜻을 밝히고'에서 '유감'의 한자는 '有感'이 아니라 '遺憾'이므로 바로잡습니다.'입니다.

어이가 없더군요.
좋게 한글로 쓰면 될 것을 뭐 잘 보일 게 있다고 굳이 한자를 덧붙여서 그런 망신을 자초하는지...

이런 게 바로 멍청한 짓입니다.

국어사전을 뒤져보면 유감은
"마음에 차지 아니하여 섭섭하거나 불만스럽게 남아 있는 느낌."으로,
유감을 품다, 유감의 뜻을 표하다, 내게 유감이 있으면 말해 보아라,
우리는 불미스러운 일이 생긴 데 대해 유감으로 생각합니다처럼 쓴다고 나와 있습니다.
더 나아가
유감천만(遺憾千萬)을 실어놓고,
"섭섭하기 짝이 없음"이라 풀어놨습니다.
곧, 유감은
어떠한 상황이 마음에 차지 않아 섭섭하거나 불만스럽게 남아 있는 느낌이 있을 때 쓰는 말이라는 겁니다.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에 그런 풀이가 있으니,
떨떠름하기는 해도 써도 되는 말이기는 합니다.

좀 삐딱하게 나가볼까요?
유감은 흔히 정치인들이 쓰는 말입니다.
이 유감은
앞에 보인 것처럼 내가 남에게 섭섭한 마음이 있을 때도 쓰고,
남이 나에게 그런 마음이 있을 때도 씁니다.
바로 이런 점 때문에 정치하는 사람들이 이 유감이란 말을 언죽번죽 지껄이며
서로 대충 봐주고 일을 흐리멍덩하게 넘기는 것이죠.
이런 것을 보면
한자말은 남을 속이고 자기를 감추는 데 잘도 쓰입니다.
그러면서 그런 한자를 쓰는 게 무슨 대단한 것이나 된것처럼 행세하죠.
지나가던 개가 웃을 일입니다.

잘못한 것이 있으면 두루뭉술하게 돌리지 말고 솔직하게 사과하면 됩니다.
일부러 이상한 한자말을 써서
어떻게 보면 사과하는 것처럼 보이면서도 또 어떻게 보면 자기 위신을 세우려 하면 안 됩니다.

저 같으면 유감을 이렇게 바꿔쓰겠습니다.

우리말 홀대, 외래어 홍수 유감 -> 우리말 홀대, 외래어 홍수 씁쓸
대법원장 '검찰.변호사 비하성 발언'관련 유감표명 -> 대법원장 '검찰.변호사 비하성 발언'관련 사과
국민에게 비쳐질 수 있어 유감으로 생각한다 -> 국민에게 비칠 수 있어 미안하게 생각한다
자신들의 느낌에 의해 기사를 쓴 것은 유감 -> 자신들의 느낌에 따라 기사를 쓴 것에 불만
보도에 대해 유감의 뜻을 표하면서 -> 보도에 대해 섭섭함을 나타내며
유감을 표명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 사과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장삿속 시정 유감천만 -> 장삿속 시정 떨떠름

요즘 우리말편지가 자꾸 길어지네요.
될 수 있으면 짧게 쓰려고 하는데, 글을 쓰다 보면 저도 모르게 길어집니다. 할 말이 많아서...
저도 모르게 우리말편지가 길어진 데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
아니, 아니, 다시 할게요.
저도 모르게 우리말편지가 길어져서 죄송합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18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778
56 [2013/04/26] 우리말) 군대 간 아들에게 책 소개 머니북 2013-04-26 9030
55 [2007/03/13] 우리말) 숫자 읽기 id: moneyplan 2007-03-13 9043
54 [2010/04/05] 우리말) 박진감 id: moneyplan 2010-04-05 9058
53 [2008/06/18] 우리말) 방귀 뀌다와 방구 끼다 id: moneyplan 2008-06-18 9125
52 [2006/08/21] 우리말) 저는 농촌진흥청에서 일합니다. id: moneyplan 2006-08-21 9172
51 [2006/08/22] 우리말) 잔치는 벌리는 게 아니라 벌이는 겁니다 id: moneyplan 2006-08-22 9272
50 [2012/09/24] 우리말) 착한 남자 머니북 2012-09-24 9317
49 [2006/08/24] 우리말) 그게 희귀병이라고요? id: moneyplan 2006-08-24 9378
48 [2007/09/20] 우리말) 기울이다와 기우리다 id: moneyplan 2007-09-20 9462
47 [2006/08/15] 우리말) 갈마들다 id: moneyplan 2006-08-17 9474
46 [2011/08/04] 우리말) 들뜨다와 달뜨다 머니북 2011-08-04 9496
45 [2006/08/16] 우리말) 고참의 구타 id: moneyplan 2006-08-17 9529
44 [2006/08/17] 우리말) 연루보다는 관련이, 관련보다는 버물다가 낫습니다 id: moneyplan 2006-08-17 9532
43 [2013/03/20] 우리말) '가사 피고가 경락을 경료해'가 무슨 뜻인지 아시나요? 머니북 2013-03-20 9629
42 [2015/05/26] 우리말) 끝물과 맏물 머니북 2015-05-28 9658
41 [2013/02/28] 우리말) 짐벙지다 머니북 2013-02-28 9758
40 [2006/08/26] 우리말) 공중화장실 ‘여성 변기’ 늘린다 id: moneyplan 2006-08-28 9837
39 [2006/12/21] 우리말) 기여가 아니라 이바지입니다 id: moneyplan 2006-12-21 9845
38 [2007/02/09] 우리말) 개조식/서술식 id: moneyplan 2007-02-09 9981
37 [2011/11/22] 우리말) 아름되 머니북 2011-11-22 1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