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0/19] 우리말) 명란젓과 창난젓

조회 수 4421 추천 수 78 2006.10.19 12:29:24
안녕하세요.

어제는 어머니와 점심을 같이했습니다.
마침 아내가 밖에 나가고 어머니 혼자 점심을 드시게 되어 제가 모시고 밖으로 나왔죠.
돌솥 비빔밥을 먹었는데 어머니가 참 좋아하시더군요.
오랜만에 명란젓을 먹어보신다면서 비빔밥 한 그릇을 다 비우셨습니다.
명란젓을 이렇게 좋아하실 줄 알았으면 더 일찍 해 드릴걸......

오늘은 어머니에게 죄송한 마음을 갖고 명란젓을 알아볼게요.
명란젓은 "명태의 알을 소금에 절여 담근 젓."입니다.
明卵에 젓이 붙어서 된 낱말입니다.
卵이 알 란 자 이므로 明卵은 '명란'이 맞습니다.
만약 이 卵 자가 낱말 맨 앞에 오면 두음법칙에 따라 '란'이 아니라 '난'이 되겠죠.

난포, 난막, 난상 따위 입니다.
어쨌든 명태 알로 담근 젓은 '명란젓'입니다.

창난젓이라는 게 있습니다.
이 창난젓이 (명태의) 창자(창)와 알(卵, 란)로 만든 젓이라면
창란젓이라고 해야 맞습니다.
卵 자가 낱말 맨 앞에 온 게 아니니 '란'이라고 해야겠죠.

그러나
창난젓은 창자와 알로 만듯 젓이 아닙니다.
"명태의 창자."를 '창난'이라고 하는데 바로 이것으로 만든 젓입니다. 순 우리말입니다.
'창자와 알'과는 상관없습니다.
순 우리말 '창난'으로 만든 젓이니 당연히 '창란젓'이 아니라 '창난젓'이죠.

정리하면,
명란젓은 명태의 알로 담은 젓이니 '명란젓'이 맞고,
창난젓은 명태의 창자인 '창난'으로 담은 젓이니 '창난젓'이 맞습니다.

그나저나,

명란젓과 창난젓 중 어떤 게 더 맛있어요? ^^*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편지입니다.


[운명을 달리하다/유명을 달리하다]

안녕하세요.

휴가 중 쌓인 편지 중에,
‘OOO가 운명을 달리하셨습니다’라는 편지가 있네요.
제가 잘 아는 분인데,
이번에 지병으로 돌아가셨군요.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OOO가 운명을 달리하셨습니다’라는 이 전자우편의 제목은 잘못되었습니다.
‘운명(殞命)’은,
“사람의 목숨이 끊어짐”을 뜻합니다.
‘운명을 달리했다’고 하면,
‘목숨이 끊어진 것을 달리했다’는 말인데,
좀 이상하잖아요.

운명을 달리한 게 아니라, ‘유명’을 달리했다고 해야 합니다.
‘유명(幽明)은,
“어둠과 밝음을 아울러 이르는 말” 또는,
“저승과 이승을 아울러 이르는 말”입니다.

누군가 돌아가시면,
당연히,
‘유명을 달리했다’고 해야지,
‘운명을 달리했다’고 하면 안 됩니다.

굳이 ‘운명’을 쓰고 싶으면,
‘운명했다’고 하시면 됩니다.

그 선배님의 명복을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19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758
76 [2017/06/19] 우리말) 미닫이와 빼닫이 머니북 2017-06-22 5243
75 [2017/06/20] 우리말) 비슷한 말 꾸러미 사전 머니북 2017-06-22 3896
74 [2017/06/21] 우리말) 거덜나다 머니북 2017-06-22 3306
73 [2017/06/22] 우리말) 서식 머니북 2017-06-22 3674
72 [2017/06/23] 우리말) 천장인가 천정인가 머니북 2017-06-24 3902
71 [2017/06/26] 우리말) 뒷담화 머니북 2017-06-28 3700
70 [2017/06/28] 우리말) 한판과 한 판 머니북 2017-06-29 3844
69 [2017/06/30] 우리말) 7월에 놀러가기 좋은 곳 머니북 2017-06-30 3176
68 [2017/07/03] 우리말) 태풍 난마돌 머니북 2017-07-04 3454
67 [2017/07/04] 우리말) 장애인과 불구 머니북 2017-07-06 3725
66 [2017/07/05] 우리말) 잔주름 머니북 2017-07-06 3942
65 [2017/07/06] 우리말) 희귀병 머니북 2017-07-07 3856
64 [2017/07/07] 우리말) 눈그늘, 멋울림 머니북 2017-07-07 3469
63 [2017/07/10] 우리말) 토마토 머니북 2017-07-11 4066
62 [2017/07/11] 우리말) 부처님 오신 날 머니북 2017-07-11 3814
61 [2017/07/12] 우리말) 오늘 자, 오늘 치 머니북 2017-07-13 4370
60 [2017/07/14] 우리말) 아닐 수 없다 머니북 2017-07-17 3763
59 [2017/07/17] 우리말) 때마침 머니북 2017-07-17 3336
58 [2017/07/21] 우리말) 붇다 머니북 2017-07-21 3330
57 [2017/07/24] 우리말) 중소벤처기업부 머니북 2017-07-24 3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