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1/21] 우리말) 첫과 처음

조회 수 5221 추천 수 115 2006.11.21 01:24:06
안녕하세요.

김연아 선수가 시니어피겨 사상 첫 금메달을 땄군요.
한국 선수가 그랑프리에서 금메달을 딴 것은 피겨가 한국에 도입된 지 100년 만에 처음이라고 하네요.
축하할 일입니다.

저도 덩달아 축하하면서,
'처음'과 '첫'을 좀 갈라볼게요.

'첫'은
"맨 처음의" 라는 뜻의 관형사로 뒤에 오는 명사와 띄어 써야 합니다.
첫 경험/첫 시험/첫 월급/첫 사건처럼 띄어 쓰죠.
첫 삽을 뜨다처럼 쓰시면 됩니다.

가끔은 첫이 접두사로 쓰이기도 하는데요.
이런 경우는 한 단어로 봐서 붙여씁니다.
첫걸음, 첫나들이, 첫날, 첫날밤, 첫눈, 첫돌, 첫딸, 첫마디, 첫머리, 첫사랑, 첫새벽, 첫서리, 첫술, 첫인사, 첫인상, 첫차 따위입니다. 당연히 사전에 한 단어로 올라 있습니다.

'처음'은 명사로
"시간적으로나 순서상으로 맨 앞."을 뜻합니다.
곧, 어떤 일이나 행동을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것임을 나타냅니다.
처음과 나중/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다/처음이라서 일이 서툴다, 이런 일은 생전 처음이다처럼 씁니다.

명사니까 앞 말과 띄어 씁니다.

다시 앞으로 가 보면,
김연아 선수가 시니어피겨에서 맨 처음으로 금메달을 땄으므로 '첫 금메달'이 맞고,
피겨가 한국에 도입된 지 100년 동안 그런 일이 없었으므로,
그런 상을 받는 것은 '처음'이 맞습니다.

김연아 선수가 우리나라에서 피겨사상 처음으로 첫 금메달을 딴 것을 거듭 축하합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축복]

탤런트 심은하 씨가 결혼한다고 하네요.
저야 뭐 이미 결혼한 사람으로서 연예인이 결혼하건 말건 별 상관없지만,
예쁜 연예인 바라보고 있다 헛물켠 사람도 좀 있겠군요.

심은하 씨가 결혼을 발표하면서,
팬들에게도 한 마디 남겼습니다.
“언제나 반듯하고 성실하게 사랑과 믿음을 지켜가는 삶을 살아갈 것입니다.
진심으로 저희들 축복해주시고 사랑으로 지켜봐 주세요.”

글 내용도 참 좋고 맞춤법도 잘 맞네요.
아무쪼록 그 약속을 꼭 지켜 아름다운 가정 꾸리시길 빕니다.

위에서,
‘저희들 축복해주시고’라는 문구가 있는데요.
이는 ‘축복’을 제대로 쓴 겁니다.

축복(祝福)은,  
복을 빈다는 뜻입니다.
빌 축 자, 복 복 자이잖아요.
저희가 결혼해서 잘 살도록 빌어달라는 의미겠죠.

그러나 흔히 쓰는,
“축복받으세요.”라는 말은 말이 안 됩니다.
앞에서 말했듯이 축복은 복을 빈다는 뜻인데,
‘복(복 복)을 비는(빌 축) 것’을 어떻게 받아요?
그냥 “복 받으세요”하면 됩니다.

심은하 씨가 팬들에게 남긴 글 중,
굳이 맞춤법에 어색한 부분을 찾자면,
‘저희들 축복해주시고’라는 문구에서,
‘저희’가 복수이므로 굳이 ‘저희들’로 쓸 필요는 없습니다.
그냥 ‘저희를 축복해주시고’하면 됩니다.

아무쪼록 심은하 씨가,
동료의 축복 속에서 결혼식을 올리고,(‘동료들’이 아닌 이유도 위와 같습니다. )
행복한 가정 꾸려가길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17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739
96 [2017/05/16] 우리말) 농식품부에서 만든 책 머니북 2017-05-16 3509
95 [2017/05/17] 우리말) 색깔과 관련된 우리말 머니북 2017-05-18 8436
94 [2017/05/18] 우리말) 해찰하다/헤찰하다 머니북 2017-05-18 5915
93 [2017/05/19] 우리말) 업 머니북 2017-05-19 3424
92 [2017/05/23] 우리말) 육교 머니북 2017-05-24 3678
91 [2017/05/25] 우리말) 우와기와 한소데 머니북 2017-05-26 3932
90 [2017/05/26] 우리말) ㅍ 받침을 쓰는 말들 머니북 2017-05-29 4958
89 [2017/05/29] 우리말) 잘못 쓴 한국어 바로잡기 머니북 2017-05-31 3836
88 [2017/05/30] 우리말) 무고하다 머니북 2017-05-31 3438
87 [2017/05/31] 우리말) 멀찌가니/멀찌거니 머니북 2017-05-31 4071
86 [2017/06/01] 우리말) 예초와 풀베기 openmind 2017-06-03 3667
85 [2017/06/02] 우리말) 갑질 openmind 2017-06-03 3856
84 [2017/06/05] 우리말) 답 그리고 정답 머니북 2017-06-05 3736
83 [2017/06/07] 우리말) 가뭄 해갈 머니북 2017-06-08 3434
82 [2017/06/08] 우리말) 초콜릿 머니북 2017-06-08 5353
81 [2017/06/09]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머니북 2017-06-13 4897
80 [2017/06/12] 우리말) 빈손으로 남에게 베풀 수 있는 일곱 가지 일 머니북 2017-06-13 3494
79 [2017/06/13] 우리말) 괘념 머니북 2017-06-13 3539
78 [2017/06/14] 우리말) 우둥우둥 머니북 2017-06-14 3109
77 [2017/06/16] 우리말) 기억과 생각의 차이 머니북 2017-06-19 57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