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오늘은 오랜만에 저희 집 아이들 이야기 좀 할게요.

아시는 것처럼 저는 네 살배기 딸과 두 살배기 아들이 있습니다.
어제는 애들과 함께 이천 누나 집에 가서 김장을 도와드리고 덕분에 김치 몇 포기 얻어왔습니다.
저는 밖에서 김장독 묻을 구덩이를 파고,
아내는 안에서 김장을 돕는데
애들은 둘이서 배추를 뜯고 흙에서 뒹굴면서 잘도 놀더군요.
찬찬히 보고 있노라면,
누나가 동생을 그느르는 것이 보통이 아닙니다.
(그느르다 : 돌보고 보살펴 주다.)
그럴 때 보면 딸내미가 참 듬쑥하고 너볏합니다.
(듬쑥하다 : 됨됨이가 가볍지 않고 속이 깊게 차 있다.)
(너볏하다 : 몸가짐이나 행동이 번듯하고 의젓하다.)

언젠가 밖에서 둘이만 집을 찾아가라고 한 적이 있습니다.
당연히 저는 뒤에서 바람만바람만 따라갔죠.
(바람만바람만 : 바라보일 만한 정도로 뒤에 멀리 떨어져 따라가는 모양)
누나가 동생의 손을 꼭 잡고 잘도 찾아가더군요.
집에서는 동생을 구박해도,
어른이 없으면 동생을 참 잘 챙깁니다.
그런것을 보면 저희 집 애들은 띠앗이 무척 좋습니다.
(띠앗 : 형제자매 사이의 두터운 정)
그런 정이 평생 가도록 잘 키우고 싶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여기에 쓴 낱말은 모두 국어사전에 있는 겁니다.
고어가 아닙니다.
상황에 맞게 부려쓰면 좋을 아름다운 우리말입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돐 --> 돌]

창밖으로 소리 없이 내리는 가을비가 보이네요.
왠지 스산해 보이는...
아마도 제 마음이 그런가 봅니다.

어제 오후에 서울에 다녀왔습니다.
서울에 가니까 역시 높은 건물도 많고 사람도 많더군요.
한 호텔 앞에 보니,
‘축 OOO돐!!!’이라고 써진 현수막이 걸려 있었습니다.

얼마나 귀한 자식이기에 저렇게 큰 호텔에서 돌잔치를 할까...
하는 생각도 들면서,
아무리 그래도 맞춤법이나 좀 맞게 쓰지...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몇 년 전에는 ‘돌’과 ‘돐’을 구별했습니다.
‘돌’은 생일을, ‘돐’은 주기를 나타내는 말이었습니다.
그러나 새 표준어 규정에서는 생일, 주기를 가리지 않고, ‘돌’로 쓰도록 규정하였습니다.
‘축 돐’, ‘돐잔치’ 따위의 낱말은 이제 우리말에 없습니다.
모두 ‘돌’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18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743
96 [2017/05/16] 우리말) 농식품부에서 만든 책 머니북 2017-05-16 3509
95 [2017/05/17] 우리말) 색깔과 관련된 우리말 머니북 2017-05-18 8436
94 [2017/05/18] 우리말) 해찰하다/헤찰하다 머니북 2017-05-18 5916
93 [2017/05/19] 우리말) 업 머니북 2017-05-19 3424
92 [2017/05/23] 우리말) 육교 머니북 2017-05-24 3678
91 [2017/05/25] 우리말) 우와기와 한소데 머니북 2017-05-26 3932
90 [2017/05/26] 우리말) ㅍ 받침을 쓰는 말들 머니북 2017-05-29 4958
89 [2017/05/29] 우리말) 잘못 쓴 한국어 바로잡기 머니북 2017-05-31 3836
88 [2017/05/30] 우리말) 무고하다 머니북 2017-05-31 3438
87 [2017/05/31] 우리말) 멀찌가니/멀찌거니 머니북 2017-05-31 4071
86 [2017/06/01] 우리말) 예초와 풀베기 openmind 2017-06-03 3667
85 [2017/06/02] 우리말) 갑질 openmind 2017-06-03 3856
84 [2017/06/05] 우리말) 답 그리고 정답 머니북 2017-06-05 3736
83 [2017/06/07] 우리말) 가뭄 해갈 머니북 2017-06-08 3434
82 [2017/06/08] 우리말) 초콜릿 머니북 2017-06-08 5353
81 [2017/06/09]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머니북 2017-06-13 4897
80 [2017/06/12] 우리말) 빈손으로 남에게 베풀 수 있는 일곱 가지 일 머니북 2017-06-13 3494
79 [2017/06/13] 우리말) 괘념 머니북 2017-06-13 3539
78 [2017/06/14] 우리말) 우둥우둥 머니북 2017-06-14 3109
77 [2017/06/16] 우리말) 기억과 생각의 차이 머니북 2017-06-19 57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