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2/22] 우리말) 외골수/외곬

조회 수 4528 추천 수 66 2006.12.22 10:11:53
안녕하세요.

어제 행사 뒤풀이가 꽤 치열했습니다.
낮에는 분명히 목에 있었던 넥타이가 밤에는 이마에서 춤을 추고 있더군요. ^^*

어제 있었던 농촌진흥청 종합보고회에서는
농업관련 직원들만 상을 받는 게 아니라,
농민이나 소비자 단체도 상을 받았습니다.

농업인은 역시 한길만 계속 걸어오신 분들이 상을 많이 받으셨습니다.
여기저기 유혹이 있었을 텐데도 꾸준히 농업을 해 오시면서 성과를 거두신 분들께 상을 드린 것 같습니다.

흔히,
한 길만 파는 사람을 '외골수'라고도 하고 '외곬수'라고도 합니다.

그러나 외곬수라는 낱말은 없습니다.
"단 한 곳으로만 파고드는 사람"은 '외골수'입니다.
외골수 학자, 외골수 농업인처럼 쓰실 수 있습니다.

이와 비슷한 '외곬'은 "단 한 곳으로만 트인 길 또는 단 하나의 방법이나 방향."을 말합니다.
말 그대로 '외통'이죠.
외곬으로 생각하다/너무 외곬으로 고지식하기만 하면...처럼 씁니다.

이를 '외곬수'라고 하면 안 됩니다.

따라서,
'저 사람은 너무 외골수야'처럼 쓰고,
'생각이 너무 외곬이면 남들과 어울릴 수 없다.'처럼 씁니다.
'외골수'는 사람이고,
'외곬'은 방법이나 방향입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할런지/할른지 >> 할는지]

10월의 마지막이자, 새로운 한 주의 시작이네요.
이번 주도 정신없이 바쁠 것 같습니다.
오늘은 아침부터 바쁘네요.

오늘 하루도 워낙 많은 일이 몰려있다 보니 제가 제대로 처리할는지 모르겠네요.
제 일을 해야 저도 먹고사니,
오늘은 간단하게 쓸게요.

‘처리할는지 모르겠네요’에서,
처리할는지, 할련지, 할런지, 할른지...
헷갈리시죠?

먹는 것으로 기억해 보세요.
먹는지, 먹었는지, 먹겠는지, 먹었을는지, 먹을는지, 먹겠을는지...
모두 ‘는지’를 쓰죠?
‘할는지’는
‘할런지’나 ‘할른지’로 쓰시면 안 됩니다.

‘ㄹ는지’는 의문을 나타내는 연결어미나 종결어미로 씁니다.
연결어미로 쓸 때는 어떤 일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어
‘그 의문을 답을 몰라도’, ‘그 의문의 답을 모르기 때문에’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비가 올는지 습한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처럼 쓰죠.

종결어미로 쓸 때는 어떤 불확실한 사실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나타냅니다.
그 사람이 과연 올는지. 무슨 일이 일어날는지를 누가 알겠니?처럼 씁니다.

아침에 꽤 춥더군요.
늘 건강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470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0276
116 [2016/03/21] 우리말) 고문 머니북 2016-03-22 2847
115 [2008/12/04] 우리말) 호주머니 id: moneyplan 2008-12-04 2846
114 [2010/03/25] 우리말) 가위 id: moneyplan 2010-03-25 2844
113 [2010/07/06] 우리말) 얼굴 moneybook 2010-07-06 2843
112 [2016/08/05] 우리말) 드디어 헤어졌나? 끝내 헤어졌나? 머니북 2016-08-10 2841
111 [2015/11/30] 우리말) 매무시와 매무새 머니북 2015-12-02 2840
110 [2015/10/28] 우리말) 푸른/푸르른 머니북 2015-10-29 2840
109 [2014/04/21] 우리말) 참으로 가슴이 아픕니다 머니북 2014-04-21 2839
108 [2010/10/28] 우리말) 얼마큼 moneybook 2010-10-28 2839
107 [2015/07/06] 우리말) 금새와 금세 머니북 2015-07-06 2838
106 [2015/06/23] 우리말) 표준국어대사전 수정 머니북 2015-06-23 2838
105 [2009/10/23] 우리말) 하루가 되기는 싫습니다 id: moneyplan 2009-10-23 2838
104 [2013/06/20] 우리말) 99일 뒤... 머니북 2013-06-20 2837
103 [2010/09/20] 우리말) 한가위를 맞아 넉넉하게 보내시길 빕니다. moneybook 2010-09-20 2837
102 [2012/04/24] 우리말) 송춘종 어르신이 방송인에게 보낸 편지 머니북 2012-04-24 2836
101 [2010/11/15] 우리말) 신기록 경신 moneybook 2010-11-15 2836
100 [2016/08/25] 우리말) 물, 말 머니북 2016-08-29 2835
99 [2014/05/30] 우리말) 안갚음 머니북 2014-05-30 2835
98 [2014/11/18] 우리말) 난이도 머니북 2014-11-18 2834
97 [2009/09/07] 우리말) 떼려야 뗄 수 없는... id: moneyplan 2009-09-07 2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