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1/24] 우리말) 고주망태

조회 수 3871 추천 수 96 2007.01.24 10:17:25
안녕하세요.

소주, 생맥주, 캔맥주, 병맥주, 양주, 칵테일 거기에 막걸리로 마무리...

그렇게 마셨으니 어제 제 몸이 온전할 리가 없었겠죠.
어제는 온종일 정신을 못 차리겠더군요.

어제 제 꼬락서니가 딱 고주망태였습니다.
"술에 몹시 취하여 정신을 가누지 못하는 상태. 또는 그런 사람"를 고주망태라고 하는데요.
고주와 망태가 합쳐진 말입니다.
오늘은 고주망태나 알아볼게요.

'고주'는 '고조'에서 온 말입니다.
고조는 "술, 기름 따위를 짜서 밭는 틀"입니다.
옛말로 지금은 이를 '술주자'라고 합니다.

'망태'는
'망태기'의 준말로
"가는 새끼나 노 따위로 엮거나 그물처럼 떠서 만든 그릇"입니다.

술을 받는 틀 위에 망태를 올려놓으면
그 망태는 언제나 술에 절여 있겠죠?

어제 제가 딱 그 모양 그 꼴이었습니다.
술에 절여있는... 작취미성의 상태...

반성하는 뜻으로 이번주는 술 마시지 않겠습니다.
이번 주는 제발 술 마실 일이 없기를 빕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피로 회복 >> 피로 해소/원기 회복]

저는 일주일에 한두 번 찜질방에 갑니다.
혼자 가기 심심하면 동료를 꾀어서 같이 가죠
어제도 동료를 꾀어서 찜질방에 갔는데,
나오기 직전에 그 동료가 저에게 음료수 하나를 사 주더군요.
그 유명한 동아제약의 박카스...

박카스가 몇 년 전부터 나온 음료수인지는 모르지만,
맷집 하나는 대단합니다.
언론이나 한글학자들이 그렇게 조져도 끄떡도 하지 않습니다.
며칠 전에 마신 박카스 상표에도 여전히,
‘피로 회복’이라고 씌어 있더군요.

동아제약에서 하고 싶은 말은,
그 음료수를 마시면 피로가 풀린다는 말일 텐데,
‘피로 회복’은 그런 뜻이 아닙니다.

‘회복(回復/恢復)’은 “원래의 상태로 돌이키거나 원래의 상태를 되찾음”을 뜻합니다.
병으로 잃었던 건강을 회복했다/한번 무너진 신뢰는 회복하기 어렵다./몇 시간 후에야 의식을 회복했다처럼 씁니다.

따라서, ‘피로 회복’은 ‘피로를 회복한다’는 말로,
지금 건강하고 좋은데, 다시 피곤한 상태로 돌아간다는 말이 됩니다.
당연히 ‘피로 회복’이 아니라, ‘피로 해소’나 ‘원기 회복’으로 써야죠.

맷집 좋은 동아제약은 이런 지적을 수십 년 동안 받고도 끄떡도 안 하고 있습니다.
동아제약은 이렇게 지적하는 게 오히려 자기 회사 선전이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하긴...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사전에도 ‘회복’이라는 낱말을 활용하는 보기로,
‘피로 회복’이 나와 있으니 동아제약 맷집만 이야기할 일도 아니네요.
국립국어원은,
“관용구 중에는 때로 합리적으로 설명하기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언중들 사이에서 고정된 의미로 일반화되어 쓰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피로 회복“이나 ”안전 사고“ 따위가 대표적인 보기입니다. 이런 표현들은 고정된 의미로 너무나 자연스럽게 쓰이고 있기 때문에 규범적으로 무조건 틀렸다고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라는 궤변으로 ‘피로 회복’을 사전에 올려놨습니다.

하루빨리 사전을 고쳐 잃은 명예를 회복하길 빕니다.

보태기)
맷집[매찝/맫찝]은 “매를 견디어 내는 힘이나 정도”로,
맷집이 약하다/이리 비척 저리 비척 맷집 좋게 맞았다처럼 씁니다.
다른 뜻으로,
“때려 볼 만한 통통한 살집”이나, “툭하면 매를 잘 얻어맞음을 이르는 말”을 뜻하기도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25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808
156 [2006/10/30] 우리말) '한목'과 '한몫' id: moneyplan 2006-10-30 5950
155 [2006/11/17] 우리말) '폼' 버리고 '품' 잡게요 id: moneyplan 2006-11-17 5950
154 [2006/09/13] 우리말) 고개를 숙이고 땅을 쳐다봐? id: moneyplan 2006-09-13 5970
153 [2006/09/07] 우리말) 휭하니 >> 힁허케 id: moneyplan 2006-09-07 5978
152 [2006/09/08] 우리말) 자세한 내역? 자세한 내용? 자세하게? id: moneyplan 2006-09-08 5982
151 [2006/09/19] 우리말) 고랭지, 고냉지, 고령지 id: moneyplan 2006-09-19 5990
150 [2011/09/19] 우리말) 날개/나래, 냄새/내음 머니북 2011-09-19 5992
149 [2017/10/30] 우리말) 문안 인사 머니북 2017-11-06 5993
148 [2006/09/06] 우리말) 코스모스꽃? 살사리꽃! id: moneyplan 2006-09-06 5999
147 [2006/10/16] 우리말) 아싸리 말해서 이거 똔똔입니다 id: moneyplan 2006-10-16 6013
146 [2007/03/22] 우리말) 미역 서식지? id: moneyplan 2007-03-22 6018
145 [2008/11/06] 우리말) 관용구란? id: moneyplan 2008-11-06 6019
144 [2006/11/14] 우리말) 사의 표명! 반려? id: moneyplan 2006-11-14 6022
143 [2008/09/04] 우리말) 알켜주다와 갈켜주다 id: moneyplan 2008-09-04 6022
142 [2006/12/18] 우리말) 암캐도 복제 성공했다 id: moneyplan 2006-12-19 6025
141 [2013/05/16] 우리말) 불초소생 머니북 2013-05-16 6026
140 [2013/08/29] 우리말) 점잔과 점잖 머니북 2013-08-29 6028
139 [2006/10/14] 우리말) 가을이 오는 속도 id: moneyplan 2006-10-14 6043
138 [2006/11/16] 우리말) 난이도가 있다? 난이도가 높다? id: moneyplan 2006-11-16 6065
137 [2006/09/20] 우리말) 살사리꽃이 하늘거릴까 하늘댈까? id: moneyplan 2006-09-20 60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