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 고향에 가시는 분 많으시죠?
저도 가야 하는데 벌써 걱정입니다.
아무리 빨리 달려도 8시간은 잡아야 할텐데......

고향에 가시면 이것저것 많이 챙겨오시죠?
오시면서 호박도 한 덩이 챙겨오세요.

얼마 전에 호박이야기 하면서,
"덜 여문 어린 호박"은 '풋호박'이 아니라 '애호박'이고,
"늙어서 겉이 굳고 씨가 잘 여문 호박"은 '청둥호박'이라고 한다는 말씀을 드렸는데요.

그럼,
"겉은 누렇게 익었으나 씨가 여물지 않은 호박"은 뭐라고 할까요?
일단, 애호박, 풋호박, 청둥호박은 아닐 것이고......

답을 아시는 분은 연락해 주세요.
가까이 계시면 제가 점심 대접할게요.
맛있는 '탑라이스'로...^^*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인데,
설날과 관련있는 것으로 골랐습니다.

[절할 때 손 잡는 법]

이제 곧 설입니다.

설 잘 쇠세요.
좋은 마음먹고 착하게 살려고 노력하면,
큰 복이 올 겁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두 가지만 하겠습니다.

첫째, 축복입니다.
축복은 祝福으로 쓰고,
행복을 빈다는 뜻입니다.
빌 축, 복 복이잖아요.
따라서 “축복받으세요.”라는 말은 말이 안 되죠.
‘복(복 복)을 비는(빌 축) 것’을 어떻게 받아요.
“복 받으세요.”
“동료들의 축복 속에서 결혼식을 올렸다.”처럼 사용해야 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둘째, 절할 때 손잡는 방법입니다.
유식한 말로 파지법이라고 하죠.
가끔, 어르신들에게 절할 때,
“절 드리겠습니다.”라고 버르장머리 없이 떠벌리고 나서,
절하면서,  
오른손과 왼손이 떨어지게 하여(두 손을 잡지 않고) 절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건, 상놈들이나 하는짓입니다.
어르신 앞에서 절할 때는 무슨 말을 하는 게 아닙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절할 때 두 손은 맞잡고 절해야 합니다.
그 때, 남자는 왼손이 오른손 위에 올라가게 맞잡아야 합니다.
여자는 반대고...
이것도 다 음양의 조화를 따르고자 하는 조상님의 지혜가 숨어 있습니다.
절대로 두 손이 떨어진 채 절하지 마세요.
꼭 왼손이 오른손 위로 약간 겹치게 잡고 절하세요.
그리고 절 하고나서
“오래사세요. 건강하세요”와 같은 말을 어르신보다 먼저 하는 게 아닙니다.
그냥 기다리면, 어르신이 덕담을 주십니다.
그걸 받아서
“오래사세요. 건강하세요”와 같은 말을 하면 됩니다.

오늘은 국어와 별로 관련이 없었나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15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714
176 [2006/12/04] 우리말) 간지럽히다가 아니라 간질이다 id: moneyplan 2006-12-04 5765
175 [2012/10/04] 우리말) 밀리는 길과 막히는 길 머니북 2012-10-04 5766
174 [2013/02/18] 우리말) 간지나다 머니북 2013-02-18 5767
173 [2006/11/18] 우리말) 구좌가 아니라 계좌/통장 id: moneyplan 2006-11-20 5788
172 [2017/06/16] 우리말) 기억과 생각의 차이 머니북 2017-06-19 5789
171 [2011/05/09] 우리말) 매다와 메다 moneybook 2011-05-09 5796
170 [2007/10/09] 우리말) 어린것이 깜찍스럽다는 뜻의 낱말은? id: moneyplan 2007-10-09 5808
169 [2008/01/29]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id: moneyplan 2008-01-29 5813
168 [2017/11/10] 우리말) 곡우와 우전 머니북 2017-11-10 5818
167 [2006/12/11] 우리말) 벼리를 잘 잡아야합니다 id: moneyplan 2006-12-11 5821
166 [2017/11/24] 우리말) 엄중과 엄정 머니북 2017-11-24 5825
165 [2006/10/13] 우리말) 알타리김치,총각김치,홀아비김치 id: moneyplan 2006-10-14 5828
164 [2014/10/22] 우리말) 좀이 슬다 머니북 2014-10-23 5830
163 [2006/11/23] 우리말) 머지않아 연말입니다 id: moneyplan 2006-11-23 5836
162 [2011/07/13] 우리말) 대머리/민머리/맨머리 머니북 2011-07-13 5839
161 [2006/10/21] 우리말) 고육지책 id: moneyplan 2006-10-23 5842
160 [2017/11/02] 우리말) 차담회 머니북 2017-11-06 5843
159 [2006/11/10] 우리말) '데' 띄어쓰기 id: moneyplan 2006-11-10 5864
158 [2012/03/23] 우리말) 곤달걀 머니북 2012-03-23 5886
157 [2017/05/18] 우리말) 해찰하다/헤찰하다 머니북 2017-05-18 5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