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3/06] 우리말) 도세 시작했으니...

조회 수 5972 추천 수 54 2007.03.07 02:21:33
안녕하세요.

요즘 어머니가 집에 와 계시는데,
칠십 평생을 시골에서만 사신 어머니가 쓰시는 말씀 가운데는 아름다운 우리말도 많고
우리말 같은 일본말도 많습니다.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도세'입니다.
도세 왔으니 큰딸도 만나고 가야겠다, 도세 시작했으니 끝장을 봐야지, 도세 그렇게 된 것을 어떻게 하겠나...처럼 씁니다.

이 도세(何うせ)는 일본말입니다.
어차피, 어떻든 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우리말처럼 들린다고 다 우리말이 아닙니다.
가짜도 많습니다. ^^*

날씨가 무척 춥네요. 건강 잘 챙기시길 빕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계시다]

얼마 전에,
'-이 되겠습니다', '-같아요'는 조심해서 써야 한다는 말씀을 드렸는데요.
오늘은 '계시다'를 소개드릴게요.

방송에서 가끔,
'어렸을 때부터 그런 소질이 계셨나요?'
라는 말을 쓰는데, 이것은 잘못된 겁니다.

'있다'에는 크게 두 가지 뜻이 있습니다.
먼저,
"사람이나 동물이 어느 곳에서 떠나거나 벗어나지 아니하고 머물다."는 뜻이 있습니다.
너는 집에 있어라처럼 쓰죠.
이 '있다'를 어른에게 쓸 경우,
'계시다'고 해야 합니다.
할아버지는 집에 계십니다처럼 써야 하는 거죠.

둘째,
"어떤 물체를 소유하거나 자격이나 능력 따위를 가진 상태이다."는 뜻이 있습니다.
나에게 1000원이 있다./이 물건은 주인이 있다처럼 씁니다.
이 뜻으로 '있다'를 어른에게 쓸 경우,
'있으시다'고 해야 합니다.

따라서,
'어렸을 때부터 그런 소질이 계셨나요?'가 아니라,
'어렸을 때부터 그런 소질이 있으셨나요?'라고 해야 합니다.
소질, 곧, 자격이나 능력 따위를 가진 상태이므로, '있으시다'고 해야지 '계시다'고 하면 안 되죠.

보태기)
이 편지를 읽으시고 어떤분이 답장을 보내오셨습니다.

설명이 마음에 차지 않군요.
마치 '이것이 법이니 무조건 따라야 한다' 하고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왜 그런 법이 생겨났는지를 알려주면 더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사람이나 동물이 어느 곳에서 떠나거나 벗어나지 아니하고 머물다'라는 뜻의
'있다'의 높임법이 '계시다'인 것은,
그렇게 '있는' 그 사람의 행위(있음)를 높이기 위함인 듯합니다.
곧 그 '있다'가 그 사람에게 딸린 행위(그 사람이 주체적으로 한 행위)이기 때문에
그 행위를 높여 '계시다'라고 하는 것이지요.
그와 달리 '소질이 있다'에서 '있다'의 '있다'는 '소질'에 딸린 것이기 때문에
'있다'는 그대로 두고 '-시'라는, 높임의 뜻을 나타내는 씨끝(어미)을 붙이는 것인 듯합니다.

사람이 먼저고 법은 나중이 아닐까요?
우리 조상들이 왜 그렇게 말을 했을까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고 봅니다.
법이 먼저 있어서 우리 조상들이 그렇게 말을 한 게 아니라,
그렇게 말을 해야만 했던 까닭이 있어 그런 법을 만든 것이지요.
법을 만든 본뜻을 알면 법을 더 잘 지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편지를 읽고 문득 이런 생각이 들어 몇 마디 적었습니다.
읽어 주셔서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3558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41158
796 [2017/05/12] 우리말) 안다미, 안다미로, 안다니 머니북 2017-05-12 6182
795 [2017/09/15] 우리말) 선지국밥과 선짓국 머니북 2017-09-15 6182
794 [2006/12/23] 우리말) 우리말편지가 책으로 나왔습니다 id: moneyplan 2006-12-26 6183
793 [2007/08/21] 우리말) 웬만하다와 엔간하다 id: moneyplan 2007-08-21 6183
792 [2009/07/24] 우리말) 직수굿하다 id: moneyplan 2009-07-24 6183
791 [2013/03/07] 우리말) 가축하다와 눈부처 머니북 2013-03-07 6183
790 [2007/01/06] 우리말) 단출, 차지다, 더 이상 id: moneyplan 2007-01-08 6184
789 [2016/05/23] 우리말) 두루뭉술과 빠삭 머니북 2016-05-23 6184
788 [2017/09/19] 우리말) 땡깡 머니북 2017-09-20 6184
787 [2006/11/22] 우리말) 난 널 짜장 좋아한다 id: moneyplan 2006-11-22 6185
786 [2006/12/08] 우리말) 찌뿌둥이 아니라 찌뿌듯 id: moneyplan 2006-12-08 6185
785 [2007/03/02] 우리말) 딴죽 id: moneyplan 2007-03-05 6185
784 [2007/09/11] 우리말) 서슬이 시퍼렇다 id: moneyplan 2007-09-11 6186
783 [2014/11/05] 우리말) 드레스 코드 머니북 2014-11-06 6186
782 [2007/02/12] 우리말) 동서남북? 새한마높! id: moneyplan 2007-02-12 6187
781 [2007/04/03] 우리말) 맞히다와 맞추다 id: moneyplan 2007-04-03 6187
780 [2011/09/14] 우리말) 허섭스레기도 맞고 허접쓰레기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14 6187
779 [2007/05/02] 우리말) 양반다리와 책상다리 id: moneyplan 2007-05-02 6189
778 [2006/10/12] 우리말) 굽실대다 id: moneyplan 2006-10-12 6191
777 [2007/07/16] 우리말) 엉터리 말 몇 개 id: moneyplan 2007-07-16 6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