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3/21] 우리말) 파래, 퍼레, 파란색, 파랑색

조회 수 5245 추천 수 50 2007.03.21 09:41:23
안녕하세요.

어제 책을 걸고 문제를 냈었는데
많은 분이 좋아하시네요.
앞으로도 가끔 이런 기회를 만들겠습니다.

어제도 말씀드렸듯이,

들판을 보면 벌써 푸른 기운이 돌죠?
커다란 자연 앞에 혼자 서 있는 제 모습이 그려지고,
이런 것을 생각하면 자연 앞에 저절로 고개가 숙여집니다.

파란 들판......
들판 색이 '파란색'일까요, '파랑색'이까요?
파래진 들판과 퍼레진 들판에서
'퍼레진'이 맞을까요, '퍼래진'이 맞을까요?

먼저,
파란색과 파랑색은
파란색이 맞습니다.
'파랑'이 색을 표현하는 낱말인데 여기에 또 '-색'을 붙이면 안 됩니다.
파란색, 빨간색, 노란색이 맞습니다.

우리 국어 맞춤법에 모음조화원칙이라는 게 있습니다.
'모음조화'는
두 음절 이상의 단어에서,
뒤의 모음이 앞 모음의 영향으로 그와 가깝거나 같은 소리로 되는 언어 현상을 말합니다.
'ㅏ, ㅗ' 따위의 양성 모음은 양성 모음끼리,
'ㅓ, ㅜ, ㅡ, ㅣ' 따위의 음성 모음은 음성 모음끼리 어울리는 현상이죠.
깎아, 숨어, 알록달록, 얼룩덜룩, 글썽글썽, 졸졸, 줄줄 따위가 그런 보기입니다.

이에 따라,
파랗다에서 온 파래지다를 '퍼레지다'로 쓸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
노래/누레, 까매/꺼메, 빨개/뻘게로 쓰셔야 합니다.
노래진 호박이나 누레진 호박이라고 써야 하는 거죠.

별로 맘에는 안 들지만,
맞춤법 규정이 그렇습니다.
조화를 이루고자 만든 맞춤법이라는 데 영 맘에 안 듭니다. ^^*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봄 내음 >> 봄 향기]

많이 춥죠?
추위나 더위에는 많이를 쓰지 않습니다.
추위나 더위의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는 '상당히'나 '꽤'를 써야 바릅니다.
지난 주말과 오늘은 상당히 추운 겁니다.
내일부터는 날씨가 많이 풀릴 거라고 하네요.
요즘 봄 맞죠?
봄에 자주 들을 수 있는 말 중,
'봄 내음 물씬'이라는 게 있습니다.

'봄 내음'이 어떻게 생겼는지, 또 어떤 향인지도 모르겠지만,
'내음'은 표준어가 아닙니다.

'코로 맡을 수 있는 온갖 기운'은 '냄새'지 '내음'이 아닙니다.
'봄 냄새'보다 '봄 내음'이 더 따뜻하게 느껴지고,
'고향 냄새'보다는 '고향 내음'이 왠지 더 정감 있게 느껴지더라도,
표준어로, '코로 맡을 수 있는 온갖 기운'은 '냄새'지 '내음'이 아닙니다.

'봄 내음 물씬'이라는 말보다는,
'봄 향기 가득'이라는 말이 더 나을 겁니다.

자주 드리는 말씀이지만,
'내음'이 사투리라서 쓰지 말라는 게 아닙니다.
쓰더라도 사투리인 것을 알고 쓰자는 겁니다.

봄만 되면 제가 자주 지적하는 게,
'입맛 돋구는 나물'입니다.
이것은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로 그 설명을 대신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25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812
196 [2016/11/15] 우리말) 금배추? 머니북 2016-11-15 3391
195 [2016/11/16] 우리말) 서리 머니북 2016-11-16 3396
194 [2016/11/17] 우리말) 외래어? 머니북 2016-11-18 3297
193 [2016/11/18] 우리말) 개판과 이판사판 머니북 2016-11-19 3661
192 [2016/11/21] 우리말) 낱알/낟알 머니북 2016-11-22 3715
191 [2016/11/22] 우리말) 장도 머니북 2016-11-22 3410
190 [2016/11/23] 우리말) 야코죽다 머니북 2016-11-23 3536
189 [2016/11/24] 우리말) 너나들이 머니북 2016-11-25 3258
188 [2016/11/24] 우리말) 공문서를 한글로만 쓰는 것은 합헌 ~^ 머니북 2016-11-25 3800
187 [2016/11/25] 우리말) 끄물끄물 머니북 2016-11-25 3219
186 [2016/12/01] 우리말) 붴 머니북 2016-12-05 3547
185 [2016/12/02] 우리말) '알기쉬운 농업용어 사전' 머니북 2016-12-05 4304
184 [2016/12/05] 우리말) 'I·SEOUL·U'를 아시나요? 머니북 2016-12-05 3866
183 [2016/12/06] 우리말) 손에 장을 지지다 머니북 2016-12-06 4287
182 [2016/12/07] 우리말) 중앙일보 만평에 나온 낱말 머니북 2016-12-07 3209
181 [2016/12/08] 우리말) 스리/쓰리 머니북 2016-12-12 3470
180 [2016/12/09] 우리말) AI, 우리말에 숙제를 던지다 머니북 2016-12-12 3381
179 [2016/12/12] 우리말) 짐승의 어미와 새끼 머니북 2016-12-13 3706
178 [2016/12/13] 우리말) 자치동갑 머니북 2016-12-14 3353
177 [2016/12/14] 우리말) ‘살처분’에 숨겨진 의미 머니북 2016-12-15 4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