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3/28] 우리말) 나리가 이울어갑니다

조회 수 4519 추천 수 179 2007.03.28 02:57:38
안녕하세요.

며칠 전부터 MBC 자막 틀린 것을 좀 꼬집었더니,
왜 MBC만 미워하느냐고 하시는 분이 계시네요.
그래서 오늘은 KBS도 좀 미워해(?) 볼게요. ^^*
오늘 아침이 아니라 어제 아침 뉴스였는데요.
8시 8분쯤 KBS2에서,
서울시가 밤에 불법 광고물을 단속하면서 밤새 실랑이가 있었다고
기자가 이야기했고, 자막도 그렇게 나왔습니다.
이때는 '실랑이'가 아니라 '승강이'라고 해야 합니다.
실랑이는 "이러니저러니, 옳으니 그르니 하며 남을 못살게 굴거나 괴롭히는 일"이고,
승강이는 "서로 자기 주장을 고집하며 옥신각신하는 일"을 말합니다.

오늘 이야기 시작하죠.

제가 일하는 곳에는 항상 식물과 꽃이 있습니다.
농사짓는 사람들이 모여있다 보니 식물이 있는 것이 당연하고,
게다가, 원예연구소 사람들이 있어 꽃도 끊이지 않습니다.
지금은 회의탁자 위에 나리꽃이 있습니다.

흔히,
'나리'는 자생나리만을 뜻하고,
'백합'은 흰 꽃이 피는 백합을 뜻하는 것으로 알고 계시는데,
백합(百合)의 우리말이 '나리'입니다.
백합은 약 1백 개의 인편이 합쳐서 하나의 구근을 이루기 때문에 백합(百合)이라고 했다고 하네요.

오늘 하고자 하는 말은 그게 아니라,
지금 회의탁자에 있는 나리꽃이 이울어갑니다.
원예연구소에서 관심을 좀 두시길 빕니다. ^^*

앞에서 꽃이 이울다는 말을 했는데요.
이울다는 "꽃이나 잎이 시들다."는 뜻으로
"꽃이나 풀 따위가 말라 생기가 없어지다."는 뜻의 '시들다'와 거의 같은 뜻이죠.

어쨌든,
제 일터에 있는 나리꽃이 이울고 시들어갑니다.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 분들 들으셨죠? ^^*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시(時)' 띄어쓰기]

요즘 공문서를 많이 주무르다 보니 문서에 띄어쓰기 틀린 게 많이 보이네요.
이참에 큰 맘 먹고 띄어쓰기를 좀 알아볼게요.
아마도 일주일 내내 띄어쓰기 이야기만 해야 할 듯...

언젠가 말씀드렸듯이, 우리말은 낱말별로 띄어 씁니다.
품사(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조사, 부사, 감탄사)도 낱말로 보고 띄어 쓰되, 조사만 붙여 씁니다.
한 낱말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기준은
그 낱말이 사전에 올라 있으면 한 낱말이고 그렇지 않으면 한 낱말이 아닙니다.
이것만 아시면 띄어쓰기 반은 끝났습니다. 아니 한 80%는 끝났습니다.

오늘은 먼저 '시'의 띄어쓰기를 알아볼게요.
'시(時)'는 일부 명사나 어미 '-을' 뒤에 쓰여,
"어떤 일이나 현상이 일어날 때나 경우"를 뜻하는 의존명사입니다.
의존명사니까 당연히 띄어 써야겠죠.

비행 시에는 휴대 전화를 사용하면 안 된다./규칙을 어겼을 시에는 처벌을 받는다처럼 씁니다.

다만,
'유사시', '비상시'처럼,
'시'가 명사와 결합하여 합성어로 사전에 오른 경우는 한 낱말로 봐서 띄어 쓰지 않고 붙여 씁니다.

간단하고 쉽죠?

오늘도 많이 웃으시고,
남들에게도 많은 웃음을 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27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829
196 [2016/11/15] 우리말) 금배추? 머니북 2016-11-15 3392
195 [2016/11/16] 우리말) 서리 머니북 2016-11-16 3397
194 [2016/11/17] 우리말) 외래어? 머니북 2016-11-18 3298
193 [2016/11/18] 우리말) 개판과 이판사판 머니북 2016-11-19 3663
192 [2016/11/21] 우리말) 낱알/낟알 머니북 2016-11-22 3716
191 [2016/11/22] 우리말) 장도 머니북 2016-11-22 3411
190 [2016/11/23] 우리말) 야코죽다 머니북 2016-11-23 3537
189 [2016/11/24] 우리말) 너나들이 머니북 2016-11-25 3260
188 [2016/11/24] 우리말) 공문서를 한글로만 쓰는 것은 합헌 ~^ 머니북 2016-11-25 3801
187 [2016/11/25] 우리말) 끄물끄물 머니북 2016-11-25 3220
186 [2016/12/01] 우리말) 붴 머니북 2016-12-05 3547
185 [2016/12/02] 우리말) '알기쉬운 농업용어 사전' 머니북 2016-12-05 4306
184 [2016/12/05] 우리말) 'I·SEOUL·U'를 아시나요? 머니북 2016-12-05 3867
183 [2016/12/06] 우리말) 손에 장을 지지다 머니북 2016-12-06 4288
182 [2016/12/07] 우리말) 중앙일보 만평에 나온 낱말 머니북 2016-12-07 3211
181 [2016/12/08] 우리말) 스리/쓰리 머니북 2016-12-12 3472
180 [2016/12/09] 우리말) AI, 우리말에 숙제를 던지다 머니북 2016-12-12 3383
179 [2016/12/12] 우리말) 짐승의 어미와 새끼 머니북 2016-12-13 3708
178 [2016/12/13] 우리말) 자치동갑 머니북 2016-12-14 3354
177 [2016/12/14] 우리말) ‘살처분’에 숨겨진 의미 머니북 2016-12-15 4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