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3/29] 우리말) 움츠리다와 옴츠리다

조회 수 5465 추천 수 141 2007.03.30 04:15:27
안녕하세요.

어제는 봄비답지 않은 봄비가 내렸습니다. 강원도에는 눈이 내렸고...
이 비와 눈 때문에 이제 막 피려던 봄꽃이 움츠릴 것 같습니다.

움츠리다... 움추리다... 뭐가 맞을까요?

"몸을 오그려 작아지게 하거나, 내밀었던 몸을 오그려 들여보내다."는 뜻의 낱말은
'움추리다'가 아니라 '움츠리다'입니다.

움에 있는 ㅜ 때문에 츠도 ㅜ를 써서 추로 말하기 쉬우나,
움추리다가 아니라 움츠리다입니다.

움츠리다의 작은말이 옴츠리다입니다.
움츠리다의 준말은 움치다이고,
옴츠리다의 준말은 옴치다입니다.

저는 가끔, 아주 가끔 곡차를 마시고 들어갈 때면
침실에 못 들어가고 거실에서 옴츠리고 혼자서 잡니다.
아침에 부스스 눈을 뜨자마자 아내와 눈이 마주치면 바짝 움치게 되죠.
이렇게 옴춘 제 모습, 너무 불쌍해 보이지 않나요?  ^^*

저는 정말 술 마시기 싫은데...... 자꾸 마시라고 강요해서...... 어쩔 수 없이...... 오늘도 금요일인데......

또 거실에서 혼자 움츠리고 자야하나......

주말 잘 보내세요.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이때, 그때 띄어쓰기]

오늘도 띄어쓰기 원칙을 먼저 짚고 넘어가죠.

우리말은 낱말별로 띄어 씁니다.
품사(동사, 명사, 형용사 따위)도 낱말로 보고 띄어 쓰되, 조사만 붙여 씁니다.
한 낱말인지 아닌지는 사전에 올라 있으면 낱말이고 그렇지 않으면 한 낱말이 아니라고 말씀 드렸습니다.

오늘은 '때'입니다.
이때, 그때를 어떻게 쓸까요?
'이 때, 그 때'가 맞는지, '이때, 그때'가 맞는지...

일단,
'때'는,
'시간의 어떤 순간이나 부분'을 뜻하는 명사이기 때문에 다른 말과 띄어 써야 합니다.
아무 때나 오너라, 내가 웃고 있을 때처럼 띄어 씁니다.
그러나 '때'가 일부 낱말과 결합하여 의미가 굳어지면 한 낱말로 봐서 붙여 씁니다.
국립국어원에서 한 낱말로 받아들여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린 '이때, 그때'는 붙여 씁니다.
사전에 올라 있으니 한 낱말로 보고 붙여 쓰는 거죠.

'이때, 그때'는 다음에 좀더 설명할 기회가 있을 겁니다.
다른 이유로 설명해도 '이때, 그때'가 맞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19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759
2476 [2015/07/15] 우리말) 온종일 머니북 2015-07-15 3048
2475 [2015/08/17] 우리말) 투잡 머니북 2015-08-17 3048
2474 [2009/01/14] 우리말) 짜집기와 짜깁기 id: moneyplan 2009-01-14 3050
2473 [2009/03/07] 우리말) 어머니 글(예전에 보낸 편지) id: moneyplan 2009-03-09 3050
2472 [2015/06/22] 우리말) 유월 머니북 2015-06-22 3050
2471 [2014/07/15] 우리말) 강담/죽담 머니북 2014-07-15 3051
2470 [2015/11/06] 우리말) 싸가지와 거시기 머니북 2015-11-09 3051
2469 [2016/04/12] 우리말) 발표할 때... 머니북 2016-04-16 3051
2468 [2009/03/17] 우리말) 우연하다와 우연찮다 id: moneyplan 2009-03-17 3052
2467 [2014/09/03] 우리말) 과자 봉지에 우리글보다 외국어를 더 크게 쓴다고? 머니북 2014-09-03 3053
2466 [2016/06/24] 우리말) 골탕 머니북 2016-06-26 3053
2465 [2012/04/10] 우리말) 광어가 아닌 넙치 머니북 2012-04-10 3054
2464 [2015/06/16] 우리말) 헛얼 머니북 2015-06-17 3054
2463 [2010/11/04] 우리말) 됨새 moneybook 2010-11-04 3055
2462 [2009/06/24] 우리말) 짝꿍과 맞짱 id: moneyplan 2009-06-24 3056
2461 [2014/06/05] 우리말) 무투표 당선 머니북 2014-06-05 3056
2460 [2016/01/13] 우리말) 대갚음/되갚음 머니북 2016-01-14 3056
2459 [2016/04/11] 우리말) 이울다 머니북 2016-04-11 3060
2458 [2016/06/20] 우리말) 관청은 알기 쉬운 용어를 써야 한다 머니북 2016-06-21 3060
2457 [2016/04/19] 우리말) 신문 기사를 잇습니다 머니북 2016-04-22 3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