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4/02] 우리말) 애먼 사람 잡지 않길......

조회 수 4977 추천 수 42 2007.04.02 11:04:36
안녕하세요.

결국, FTA를 하는군요.
FTA가
나라와 나라 사이의 상호 무역증진을 위해 물자나 서비스 이동을 자유롭게 하자는 협정이지만,
그 협정이 미치는 영향은 무역뿐만 아니라 여러 곳에서 여러 형태로 나타날 겁니다.
제발 애먼 사람 잡는 일이 없기만을 빌고 빌 뿐입니다.

"일의 결과가 다른 데로 돌아가 억울하거나 엉뚱하게 느껴지는"이라는 뜻의 관형사가
'애먼'입니다.
애먼 사람에게 누명을 씌우다, 애먼 짓 하지 마라, 해야 할 일은 제쳐 놓고 애먼 일을 붙들고 있다처럼 씁니다.
흔히 '엄한 데 와서 왜 그래?', '어만 사람 잡지 마.'라고 쓰는 경우가 많은데
'애먼 데 와서 왜 그래?', '애먼 사람 잡지 마.'라고 쓰는 것이 바른 표현입니다.

비슷한 낱말로 애매하다가 있습니다.
"아무 잘못 없이 꾸중을 듣거나 벌을 받아 억울하다."는 뜻의 그림씨(형용사)입니다.
괜스레 엉뚱한 사람 꾀서 애매하게 만들지 마라처럼 씁니다.
애매하다의 준말이 앰하다입니다.

FTA가
미국이 애먼 더 와서,
애먼 사람 붙들고,
애먼 짓을 하다,
애먼 사람 잡는
앰한 짓이 아니기만 빌고 빕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봄볕이'는 [봄뼈치]로 발음]

어제 날씨가 참 좋았죠? 오늘도 좋을 것이고...
어제는 대전에 가서 코에 바람을 좀 넣고 왔습니다.
저절로 봄기운이 느껴지더군요.
봄볕이 참 포근하죠?

위에 나온,
'봄볕이'를 어떻게 발음할까요?
[봄벼시], [봄벼치], [봄벼티]...
[봄뼈시], [봄뼈치], [봄뼈티]...

표준 발음법 17항에 보면,
받침 'ㄷ, ㅌ(ㄾ)'이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와 결합하는 경우에는,
[ㅈ, ㅊ]으로 바뀌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곧이듣다[고지듣따] 굳이[구지] 미닫이[미다지]
땀받이[땀바지] 밭이[바치] 벼훑이[벼훌치]
라고 나와 있습니다.

정리해 보면,
자음 'ㅌ'이 'ㅊ'으로 소리가 나는 경우는,
'ㅌ'뒤에 'ㅣ'모음이 올 때입니다.
'ㅣ' 이외의 자음이나 모음이 오면 있는 그대로 발음하거나 연음합니다.

따라서,
'봄볕이'는 [봄뼈치]로 발음하고,('ㅌ'뒤에 'ㅣ'모음이 올 때만 'ㅊ'으로 발음)
'봄볕은'은 [봄뼈튼]으로,
'봄볕을'은 [봄뼈틀]로 발음합니다.

참고로, '봄볕'은 [봄뼏]으로 발음하고,
'봄볕만'은 [봄뼌만]으로 발음합니다.

오늘도 [봄뼈치] 참 따뜻하겠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14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698
2496 [2006/09/07] 우리말) 일본 왕실의 왕자 탄생을 축하합니다 id: moneyplan 2006-09-08 5691
2495 [2006/12/12] 우리말) 저는 절대 똥기지 않을 겁니다 id: moneyplan 2006-12-12 5689
2494 [2006/09/14] 우리말) 가을내가 아니라 가으내 id: moneyplan 2006-09-14 5650
2493 [2013/03/22] 우리말) 약 머니북 2013-03-25 5647
2492 [2006/09/21] 우리말) 염치불구하고... id: moneyplan 2006-09-21 5621
2491 [2006/10/11] 우리말) 배추 뿌리, 배추꼬랑이 id: moneyplan 2006-10-11 5620
2490 [2006/10/18] 우리말) 심술깨나 부리게 생겼다. 꽤나 고집이 세겠군 id: moneyplan 2006-10-18 5619
2489 [2006/10/22] 우리말) 심간 편하세요? id: moneyplan 2006-10-23 5604
2488 [2006/10/04] 우리말) 즐거운 추석 되세요. -> 아니요. 싫은데요. id: moneyplan 2006-10-08 5600
2487 [2006/12/18] 우리말) 살찌다와 살지다 id: moneyplan 2006-12-18 5593
2486 [2006/10/10] 우리말) 밥먹고 삽시다 id: moneyplan 2006-10-10 5573
2485 [2006/12/03] 우리말) 선친 잘 계시냐? id: moneyplan 2006-12-04 5572
2484 [2006/09/24] 우리말) 산문 모음집 id: moneyplan 2006-09-25 5572
2483 [2011/10/10] 우리말) 어리숙하다와 어수룩하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10 5571
2482 [2006/12/14] 우리말) 어제는 어머니와 함께 점심을 먹었습니다 id: moneyplan 2006-12-14 5527
2481 [2011/01/04] 우리말) 잔주름/잗주름 moneybook 2011-01-04 5520
2480 [2007/01/26] 우리말) 족치다 id: moneyplan 2007-01-28 5497
2479 [2017/11/15] 우리말) ‘오’가 ‘우’로 바뀐 말들 머니북 2017-11-16 5492
2478 [2006/09/16] 우리말) 어머니 글을 또 보내드립니다 id: moneyplan 2006-09-18 5485
2477 [2007/03/29] 우리말) 움츠리다와 옴츠리다 id: moneyplan 2007-03-30 5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