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4/30] 우리말) 햇귀를 아세요?

조회 수 3777 추천 수 91 2007.04.30 09:55:55
안녕하세요.

새벽의 순 우리말은 '갓밝이'입니다.
당연히 새벽도 우리말 맞습니다. ^^*

이번 선물은 hand2??? 님께 보내드렸습니다.

이번 편지를 받으시고 한 분이 답장을 보내오셨네요.
파일로 붙입니다.새벽.hwp
고맙습니다.

오늘은 내친김에 새벽 이야기 더 이어보죠.
새벽에 해가 처음 솟을 때의 빛을 '햇귀'라고 합니다.
이 '햇귀'와 비슷한 낱말로 '돋을볕'이 있습니다.
"아침에 해가 솟아오를 때의 햇볕"을 뜻합니다.
햇귀와 돋을볕은 비슷해 보이지만 뜻은 조금 다릅니다.

햇빛은 해가 비치는 밝음의 정도고
햇볕은 해가 내리쬐는 따뜻함의 기운이라는 거 알고 계시죠?
이것처럼
'햇귀'는 새벽에 처음 나오는 '햇빛'이고,
'돋을볕'은 새벽에 처음 나오는 아침녘의 볕을 뜻합니다.

어둠을 밀어내고 밝음을 가져오는 것은 같지만,
그 속뜻은 이렇게 조금 다릅니다.
밤새 얼었던 몸을 돋을볕으로 녹인다는 말이 되지만,
햇귀로 녹인다는 말이 안 되겠죠?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충돌/추돌]

어젯밤에 차를 몰고 퇴근하는데 유난히 차가 밀리더군요.
앞차 꽁무니를 따라 슬슬 가다 보니,
차 서너 대가 추돌했더군요.
다행히 사람이 다친 것 같지는 않았습니다.

오늘은 추돌과 충돌을 설명드릴게요.

다 아시는 것처럼,
'충돌'은,
"서로 맞부딪치거나 맞섬"이라는 뜻이고,
'추돌'은,
"자동차나 기차 따위가 뒤에서 들이받음."이라는 뜻입니다.

'충돌(衝突)'은 찌를 충(衝) 자와 갑자기 돌(突) 자를 쓰고,
'추돌(追突) 은 쫓을 추(追) 자와 갑자기 돌(突) 자를 씁니다.

따라서,
'충돌'은 이 차는 가고 저 차는 오면서 서로 맞부딪치는 것이고,
'추돌'은 이 차와 저 차가 같은 방향으로 가면서 뒤에 가는 차가 앞에 가는 차 꽁무니를 들이받은 것을 말합니다.

어제 제가 본 교통사고는 '추돌'이었습니다.
앞차가 갑자기 멈추니까 뒷 차가 미처 멈추지 못하고 들이받은 거죠.

차를 몰고 다니시거나,
차를 타고 다니시는 모든 분들 차조심하시길 빕니다.
문명의 이기가 때로는 문명이 흉기도 될 수 있거든요.

오늘도 많이 웃는 하루 보내시길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06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608
216 [2006/09/26] 우리말) 허접 쓰레기? 허섭스레기 id: moneyplan 2006-09-26 5324
215 [2006/11/03] 우리말) 제고와 재고를 재고해야합니다 id: moneyplan 2006-11-03 5329
214 [2017/11/08] 우리말) 제기? 머니북 2017-11-08 5352
213 [2013/08/19] 우리말) 잘못된 높임말 머니북 2013-08-19 5371
212 [2017/06/08] 우리말) 초콜릿 머니북 2017-06-08 5373
211 [2017/11/16] 우리말) 통음 머니북 2017-11-16 5373
210 [2006/11/09] 우리말) 한무릎공부 id: moneyplan 2006-11-09 5395
209 [2006/11/02] 우리말) 제 아들에게 먼지떨음을 했습니다 id: moneyplan 2006-11-02 5399
208 [2011/10/18] 우리말) 끼적거리다와 끄적거리다 머니북 2011-10-18 5404
207 [2006/10/17] 우리말) 천상 제날짜에 가야지... id: moneyplan 2006-10-17 5428
206 [2017/11/20] 우리말) 롱 패딩 머니북 2017-11-20 5438
205 [2007/05/16] 우리말) 바리캉, 포클레인, 제록스, 스카치테이프, 나일론, 무스, 본드, 스티로폼 id: moneyplan 2007-05-16 5450
204 [2006/12/07] 우리말) 자선냄비 id: moneyplan 2006-12-07 5451
203 [2017/11/03] 우리말) 제가 누구냐고요? 머니북 2017-11-06 5474
202 [2006/09/22] 우리말) 햇땅콩이 아니라 해땅콩입니다 id: moneyplan 2006-09-22 5483
201 [2006/11/22] 우리말) 메꾸다 >> 메우다 id: moneyplan 2006-11-22 5489
200 [2007/03/29] 우리말) 움츠리다와 옴츠리다 id: moneyplan 2007-03-30 5501
199 [2006/09/16] 우리말) 어머니 글을 또 보내드립니다 id: moneyplan 2006-09-18 5514
198 [2007/01/26] 우리말) 족치다 id: moneyplan 2007-01-28 5529
197 [2017/11/15] 우리말) ‘오’가 ‘우’로 바뀐 말들 머니북 2017-11-16 5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