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5/07] 우리말) 족적과 발자취

조회 수 3074 추천 수 89 2008.05.08 11:21:56
궁금한 게 있습니다.
왜 뉴스에서는 '발자취'라는 말을 쓰지 않고 다들 '족적'이라는 낱말을 쓸까요?
선생님은 분명히 현대 문학에 큰 '발자취'를 남기셨는데 왜 언론에서는 '족적'을 볼까요?


안녕하세요.

아침 7:05 MBC 뉴스에서 '시비거리'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옳으니 그르니 하는 말다툼의 내용이 될 만한 것."은 '시빗거리'가 맞습니다.

7:17 KBS 뉴스에서는
"많이 더워졌다"라고 했습니다.
추위나 더위의 정도를 나타내는 어찌씨(부사)는 '많이, 적게'가 아니라,
'상당히' 나 '꽤'를 써야 바릅니다.

며칠 전에 박경리 님이 돌아가셨습니다.
우리나라 문학의 큰 별이 지셨네요.
현대 문학에 큰 발자취를 남기고 가신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궁금한 게 있습니다.
왜 뉴스에서는 '발자취'라는 말을 쓰지 않고 다들 '족적'이라는 낱말을 쓸까요?
선생님은 분명히 현대 문학에 큰 '발자취'를 남기셨는데 왜 언론에서는 '족적'을 볼까요?

언론이 이러니 철없는 학자들도 따라가
사전에 '독서'는 올리고 '책읽기'는 올리지 않으며,
'비포장도로'는 올리고 '흙길'은 빼는 바보 같은 짓을 한 거겠죠.

우리나라, 대한민국 국어사전에 '책읽기'와 '흙길'은 없습니다.
쩝...

박경리 님의 명복을 빕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씨, 님’ 띄어쓰기]

맞춤법에서 띄어쓰기가 참 어렵죠.

사실 원리는 쉬운데 막상 그것을 적용하면 어렵더군요.
차분히 시간 날 때마다 하나씩 풀어가기로 하죠.
그게 어디 도망가기야 하겠어요?

오늘은 호칭어 띄어쓰기를 설명 드릴게요.
며칠 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에서,
‘홍길동의원님’이라고 쓰면 안 되고, ‘홍길동 의원님’이라고 써야한다고 말씀드렸죠?
그 근거로, 한글 맞춤법 제48항에 있는,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어 쓴다.”라는 구절을 들었고요.

이를 좀더 자세히 보면,
1. 성과 이름은 ‘홍 길동’으로 띄어 쓰면 안 되고 ‘홍길동’으로 붙여 쓴다.
2. 관직명과 호칭은 앞에 오는 고유 명사와 별개의 단위이므로, ‘홍길동 과장’처럼 띄어 쓴다.
로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씨’나 ‘님’은 어떨까요?
‘홍길동 씨’할 때의 ‘씨’는 호칭이므로 ‘홍길동 씨, 홍 씨, 길동 씨’처럼 띄어 써야 합니다.
‘님’은 어떨까요?
씨와 마찬가지로 띄어 씁니다. ‘홍길동 님’이 맞습니다.

다만, 성이나 이름이 아닌
직위나 신분을 나타내는 명사 뒤에 붙는 ‘님’은 접미사이므로 붙여 씁니다.
‘사장님, 청장님, 과장님, 계장님, 실장님’처럼 써야 합니다.

사람이 아닌 일부 명사 뒤에 그 대상을 인격화하여 높여 부르는
‘달님, 해님, 별님, 토끼님’의 ‘님’도 접미사이므로 붙여 써야 합니다.

좀 정리가 되셨나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1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883
2456 [2016/01/13] 우리말) 대갚음/되갚음 머니북 2016-01-14 3071
2455 [2016/06/09] 우리말) 나라지다 머니북 2016-06-10 3071
2454 [2010/08/12] 우리말) 야코 moneybook 2010-08-12 3073
2453 [2014/02/11] 우리말) 들르다와 들리다 머니북 2014-02-11 3073
2452 [2016/03/17] 우리말) '잎새'도 표준말입니다. 머니북 2016-03-18 3073
2451 [2016/03/30] 우리말) 머와 뭐 머니북 2016-03-31 3073
2450 [2009/06/15] 우리말) 음식 맛 id: moneyplan 2009-06-15 3074
» [2008/05/07] 우리말) 족적과 발자취 id: moneyplan 2008-05-08 3074
2448 [2009/07/09] 우리말) 도리기와 도르리 id: moneyplan 2009-07-09 3075
2447 [2016/04/11] 우리말) 이울다 머니북 2016-04-11 3075
2446 [2017/01/12] 우리말) 흔줄 머니북 2017-01-13 3076
2445 [2009/03/27] 우리말) 오늘은 예전에 보낸 편지로... id: moneyplan 2009-03-27 3077
2444 [2009/03/30] 우리말) 서머하다 id: moneyplan 2009-03-30 3077
2443 [2015/12/09] 우리말) 안녕'과 '하세요' 머니북 2015-12-10 3077
2442 [2009/05/25] 우리말) 조문의 뜻풀이 id: moneyplan 2009-05-26 3078
2441 [2009/03/18] 우리말) 사람 소개하는 방법 id: moneyplan 2009-03-18 3079
2440 [2009/07/24] 우리말) 직수굿하다 id: moneyplan 2009-07-24 3079
2439 [2015/11/05] 우리말) 찜찜하다/찝찝하다 머니북 2015-11-05 3079
2438 [2015/05/26] 우리말) 불을 켜고 물을 켜고 기지개 켜고 머니북 2015-05-26 3080
2437 [2010/10/14] 우리말) 답은 '노르다'입니다 moneybook 2010-10-14 3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