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9/23] 우리말) 일몰보다는 해넘이가...

조회 수 3780 추천 수 165 2008.09.23 09:57:08
저는 같은 뜻이라면 되도록 한자말보다는 토박이말을 쓰는 게 좋다고 봅니다.
그게 듣는 사람도 좋지만, 말하는 사람도 좋지 싶습니다.
왜냐하면, 토박이말을 쓰면 삶의 여유를 찾을 수 있고 마음도 포근해지거든요.


안녕하세요.

제가 가을을 타나 봅니다.
자꾸 가을과 관련된 낱말이 떠오릅니다. ^^*

저는 같은 뜻이라면 되도록 한자말보다는 토박이말을 쓰는 게 좋다고 봅니다.
그게 듣는 사람도 좋지만, 말하는 사람도 좋지 싶습니다.
왜냐하면, 토박이말을 쓰면 삶의 여유를 찾을 수 있고 마음도 포근해지거든요.

볼까요?
일출 보러 동해에 가자보다는 해돋이 보러 가자고 하는 게 여유 있고 멋있어 보이며,
일몰 보러 서해에 가자보다는 해넘이 보러 가자고 하는 게 더 운치 있어 보이지 않나요?

서풍이 분다보다는 하늬바람이 분다고 하면 더 멋져 보이고,
야생화보다 들꽃이 더 향기가 좋을 것 같지 않나요?

저는
야채나 채소보다 푸성귀가 더 싱싱하게 느껴집니다.
이래서 우리말이 좋나 봅니다. ^^*

해가 막 넘어가는 무렵은 해질녘입니다.
해질녘보다 조금 앞선 시간은 해거름이라고 하는 게 좋겠네요.
그냥 왠지 가을이라... 해넘이, 해질녘 따위가 생각나네요.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내리사랑/치사랑]

어제 눈이 내렸죠?
왜 때 아닌 눈이 갑자기 내렸는지 아세요?

실은 어제가 제 생일이었습니다.
그걸 축하하기 위해서 하늘에서 서설이 내리고,
회사 식당에서는 점심때 미역국이 나오고,
저녁 회식 때도 미역국이 나오고......

제가 말해놓고도 유치하네요.

어제는 결혼하고 처음으로 어머니가 차려주신 미역국을 먹었습니다.
혼자 고향을 지키고 계시는 어머니가 며칠 전에 올라오셔서,
어제 제 생일 미역국을 끓여 주시고,
오늘 새벽에 내려가셨습니다.

머리카락으로 콩 서 말을 엮어도 다 못 갚는다는 부모님 사랑.
끝없는 부모님의 사랑을 받기만 하지 갚을 엄두도 못 내고 있습니다.
그래서 "내리사랑은 있어도 치사랑은 없다"는 속담도 있잖아요.
날마다 한없는 부모님의 내리사랑을 느끼면서 사는 저는,
이 세상 누구보다 행복합니다.

부모님의 사랑을 갚을 수야 없겠지만, 고마운 마음이라도 간직하고자,
오늘은 부모님의 '내리사랑'에 반대되는 좋은 우리말을 소개드릴게요.

'내리사랑'은,
"손윗사람의 손아랫사람에 대한 사랑. 특히, 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을 뜻합니다.

반대로,
"손아랫사람이 손윗사람을 사랑함. 또는 그런 사랑."을 뜻하는 낱말이 바로,
'치사랑'입니다.

'치'는,
"(일부 동사 앞에 붙어)'위로 향하게' 또는 '위로 올려'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로,
치뜨다/치닫다/치받다/치솟다/치읽다처럼 씁니다.

오늘 하루,
한 번 더 부모님을 생각해봅니다.
저녁에 부모님께 전화라도 한 통 드려보시는 게 어떠신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2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37
1716 [2009/08/12] 우리말) laon id: moneyplan 2009-08-14 3812
1715 [2007/09/20] 우리말) 추석과 중추절 id: moneyplan 2007-09-21 3812
1714 [2017/07/14] 우리말) 아닐 수 없다 머니북 2017-07-17 3811
1713 [2010/12/29] 우리말) 따듯하다 moneybook 2010-12-29 3811
1712 [2007/11/29] 우리말) 노털과 노틀 id: moneyplan 2007-11-29 3811
1711 [2017/05/11] 우리말) 협치 머니북 2017-05-11 3810
1710 [2013/07/22] 우리말) 노느다와 나누다 머니북 2013-07-22 3810
1709 [2011/08/08] 우리말) 토씨(조사) '의' 쓰임 머니북 2011-08-08 3810
1708 [2011/03/14] 우리말) 해망쩍다 moneybook 2011-03-15 3810
1707 [2015/08/03] 우리말) 각단, 두동지다 머니북 2015-08-03 3809
1706 [2011/03/21] 우리말) 끼끗하고 조쌀하다 moneybook 2011-03-21 3809
1705 [2012/01/04] 우리말) 강추위 머니북 2012-01-04 3808
1704 [2009/06/22] 우리말) 조카와 조카딸 id: moneyplan 2009-06-22 3808
1703 [2008/10/13] 우리말) 꼬리와 꽁지 id: moneyplan 2008-10-14 3808
1702 [2007/03/14] 우리말) 인기연예인과 유명연예인 id: moneyplan 2007-03-14 3808
1701 [2007/10/07] 우리말) '중'은 '가운데'라고 쓰는 게 더 좋습니다 id: moneyplan 2007-10-08 3807
1700 [2008/10/24] 우리말) 아침결 id: moneyplan 2008-10-24 3806
1699 [2007/07/12] 우리말) 격강이 천리라 id: moneyplan 2007-07-12 3806
1698 [2015/05/19] 우리말) 생광스럽다 머니북 2015-05-19 3805
1697 [2009/04/21] 우리말) 밥힘과 밥심 id: moneyplan 2009-04-24 3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