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1/30] 우리말) 예탐과 여탐

조회 수 2931 추천 수 84 2009.01.30 11:02:53
우리말에 예탐(豫探)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미리 탐지한다는 뜻이죠.
이 말이 바뀌어 '여탐'이 되었고,
"무슨 일이 있을 때 웃어른의 뜻을 알고자 미리 여쭘"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어르신의 지혜와 경험을 빌리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아침부터 정신이 없네요.
이것저것 처리하다 편지가 좀 늦었습니다.

어젯밤 11:40에 SBS에서 남자에게 "명문대를 나온 재원"이라고 했고, 자막도 그렇게 나왔습니다.
'재원'은 "재주가 뛰어난 젊은 여자."를 뜻합니다.

아침에 북한이 또 뚱딴지같은 이야기를 했네요.
며칠 전에 '뚱딴지'가 뭐라는 것을 말씀드렸는데요. 애자와 뭐가 다르냐고 물어보시는 분이 계셨습니다.
애자가 바로 뚱딴지입니다.
애자는 일본에서 온 한자어로
국립국어원에서 '뚱딴지'로 다듬었습니다.

요즘 제 일터에 자리이동이 있습니다.
실은 설 전에 인사가 있을 것 같았는데, 높으신 분들의 결심을 얻지 못했었는지 조금 늦어졌네요.
우리말에 예탐(豫探)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미리 탐지한다는 뜻이죠.
이 말이 바뀌어 '여탐'이 되었고,
"무슨 일이 있을 때 웃어른의 뜻을 알고자 미리 여쭘"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어르신의 지혜와 경험을 빌리는 것이죠.
말 뿌리는 예탐이라는 한자이지만 여탐으로 바꿔 우리 민족의 얼을 담은 다면 그 또한 멋진 우리 고유어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벌써 주말이고 2009년 한 달이 다 갔습니다.
세월이 이렇게 빠릅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 입니다.







[설레임 >> 설렘]

토요일은 언제나 기분이 좋습니다.
늦잠을 잘 수 있잖아요.
아침에도 거실에서 뒹굴며 텔레비전 리모컨으로 여기저기 채널을 바꾸는데,
눈에 확 들어오는 자막이 있더군요.
어떤 방송사인지는 모르겠지만,
'좋은 사람 소개시켜줘'라는 프로그램을 소개하면서
'기분좋은 설레임'이라는 자막을 내 보내더군요.

왜 그리 '설레임'을 좋아하는지...
'설렘'이 맞다고 그리 악을 써도 제 목소리가 작아 들리지 않는지...

"마음이 가라앉지 아니하고 들떠서 두근거리다."는 뜻의 낱말은
동사 '설레다'입니다.
'설레다'가 동사의 기본형이므로
명사를 만들려면 뒤에 '-ㅁ'만 붙이면 됩니다.
곧, 동사 '설레다'의 명사형은 '설레임'이 아니라 '설렘'입니다.

다움 검색창에서 뉴스에 '설렘'을 넣고 검색하니
2,447건의 뉴스가 나오고,
'설레임'을 넣고 검색하니
1,587건의 뉴스가 나오네요.

다행입니다.
틀린 '설레임'보다 맞는 '설렘'의 검색 수가 더 많아서...

저는 오늘 오후에 이천에 갑니다.
누나네 밭에다 네 살짜리 딸과 두 살짜리 아들을 풀어놓고,
저와 아내는 그늘에 누워,
저는 이봉원 님이 보내주신 '국새'라는 소설을 읽을 것이고,
아내는 이명지 님이 보내주신 '중년으로 살아내기'라는 산문집을 읽을 예정입니다.
부럽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477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0369
2496 [2015/07/16] 우리말) 밥맛없다와 밥맛 없다 머니북 2015-07-16 2921
2495 [2014/11/17] 우리말) 막냇동생 머니북 2014-11-17 2922
2494 [2015/08/11] 우리말) 입때껏 머니북 2015-08-11 2922
2493 [2008/12/1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2-18 2923
2492 [2009/03/10] 우리말) 스킨십도 외래어? id: moneyplan 2009-03-10 2923
2491 [2009/06/25] 우리말) 배참 id: moneyplan 2009-06-25 2923
2490 [2014/12/01] 우리말) 도 긴 개 긴 머니북 2014-12-01 2923
2489 [2009/03/17] 우리말) 우연하다와 우연찮다 id: moneyplan 2009-03-17 2925
2488 [2010/05/03] 우리말) 가축 id: moneyplan 2010-05-03 2925
2487 [2015/12/27] 우리말) 차지다/찰지다 머니북 2015-12-28 2925
2486 [2014/01/08] 우리말) 옴짝달싹 머니북 2014-01-08 2926
2485 [2010/08/03] 우리말) 미덥다와 구덥다 moneybook 2010-08-03 2927
2484 [2016/09/19] 우리말) 한가위 머니북 2016-11-01 2929
2483 [2014/06/05] 우리말) 무투표 당선 머니북 2014-06-05 2931
2482 [2007/12/28] 우리말) 아구탕과 아귀탕 id: moneyplan 2007-12-28 2932
» [2009/01/30] 우리말) 예탐과 여탐 id: moneyplan 2009-01-30 2931
2480 [2009/05/19] 우리말) 넙치와 광어 id: moneyplan 2009-05-19 2932
2479 [2016/04/11] 우리말) 이울다 머니북 2016-04-11 2932
2478 [2008/12/13] 우리말) 제가 누구냐고요? id: moneyplan 2008-12-13 2933
2477 [2009/04/16]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4-16 2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