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토요일에는 편지를 보내드리지 않지만,
가끔은 제 이야기를 쓰기도 합니다. 오늘처럼...

어제 어머니가 저희 집에 오셨습니다.
겨우 이삼 일 계시다 다시 고향으로 가시겠지만
그래도 어머니를 보는 것은 언제나 좋고 기쁜 일입니다.
실은 곧 제 생일인데, 그 핑계 대고 손자, 손녀 보러오시는 거죠. ^^*

예전에 어머니가 쓴 편지를 우리말편지에서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 편지를 다시 보내드립니다.


[맞춤법이 엉망인 어머니 편지]

벌써 토요일입니다.
제가 언젠가 맞춤법을 잘 모르는 사람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말씀을 드린 적이 있습니다.
그것 때문에 저에게 답장 보내기가 껄끄럽다는 분이 계신데요.
그러지 마십시오.
저는 남이 보낸 편지를 가슴으로 읽을 줄 아는
따뜻한 마음을 가진 유부남(유달리 부드러운 남자)입니다.
걱정하지 마시고 답장 보내주세요.


오늘은 맞춤법 이야기가 아니라 저의 살아가는 이야기입니다.
저는 맞춤법을 잘 모르는 사람은 좋아하지 않으면서도,
제가 가장 아끼는 편지는 맞춤법이 엉망인 편지입니다. 그 편지를 소개해 드릴게요.


7년 전이네요.
1999년 9월 9일, 아침 출근길에 어머니가 웬 곱게 접은 쪽지 하나를 호주머니에 넣어주시면서
잠시 후 9시 9분 9초에 읽어보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정말로 9시 9분 9초 그 쪽지를 꺼내서 읽었습니다.
그게 바로 이겁니다.




실은
그날이 9자가 9번 겹치는 날이라고 언론에서 많이 떠들어,
어머니가 그날을 그냥 넘기고 싶지 않으셨나 봅니다.
그래서 어머니가 쓸 수 있는 가장 깨끗한 종이인 편지봉투 뒷면에
어머니가 아들에게 바라는 글을 적어주신 것이죠.

나중에 들은 이야기이지만,
1999년 9월 9일 9시 9분 9초를 썼는데도 9자가 여덟 번밖에 나오지 않아
맨 뒤에 '9명 왕자'라고 덧붙였다고 하시더군요.
제가 독자라서 아들 욕심에...


초등학교 문턱도 밟아보지 못하신 어머니가
정성을 담아 아들에게 써준 편지에서 어찌 감히 맞춤법을 따지겠습니까.
바로 이 편지가 제가 가장 아끼는 편지입니다.
그 편지를 곱게 코팅해서 지금도 제 책상 밑에 넣어두고 있습니다.


이런 어머니가 지금 병원에 계십니다.
간경화로 아주대병원에 입원하신 지 한 달 가까이 되네요.
그 때문에 제가 요즘 집에서 자지 못하고 병원에서 한뎃잠을 잡니다.
낮에는 일터에 나오지만 밤에라도 함께 있고 싶어서...


병상에 계신 어머니가 빨리 일어나셔서
맞춤법이 엉터리인 편지를 다시 한번 써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어머니, 훌훌 털고 일어나셔서
어머니의 사랑이 가득 담긴 편지를 또 보내주세요.


우리말123






[어머니 ‘생왈수기’]

며칠 전에 어머니가 병원에 입원하셨다는 말씀을 드리면서,
1999년 9월에 어머니가 쓰신 쪽지를 보여드린 적이 있는데요.
오늘이 토요일이라서 오늘도 맞춤법이 엉망(?)인 어머니 글 하나 소개할게요.


몇 년 전, 어머니 칠순 잔치에 오신 분께 어머니가 쓰고 계시는 생활수기를 보여드리면서,
10년 뒤 팔순 잔치 때는 어머니 글을 책으로 엮어서 잔치에 오신 분께 드리겠다는 약속을 한 적이 있습니다.


어머니는 틈 날 때마다 생활수기를 쓰고 계십니다.
아마 어렵게 살아오신 삶을 어떤 기록으로 좀 남기고 싶으셨나 봅니다.
현재 3쪽 쓰셨는데,
그 편지 맨 앞장을 소개합니다.




  

그냥 웃으시라고 보내드리는 겁니다.
지난번 쪽지는 편지지 뒷면에 쓰셨던데,
이번 생활수기는 제가 대학 다닐 때 쓰다 버린 '레포트용지'에 쓰셨네요.

오늘도 행복하게 잘 보내세요.



보태기)
'레포트용지'는 ‘리포트 용지’가 맞는데, 원래 종이에 그렇게 써 있어서 ‘ ’속에 넣어 ‘레포트’라고 썼습니다.

본 메일은 2009년3월5일 기준,
회원님의 수신동의 여부를 확인한 결과 회원님께서 수신동의를 하셨기에 발송되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6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76
2436 [2010/10/14] 우리말) 답은 '노르다'입니다 moneybook 2010-10-14 3099
2435 [2014/11/17] 우리말) 막냇동생 머니북 2014-11-17 3101
2434 [2015/12/22] 우리말) 차지다/찰지다 머니북 2015-12-23 3101
2433 [2010/10/13] 우리말) 달걀노른자처럼 샛노란 색 moneybook 2010-10-13 3103
2432 [2013/07/19] 우리말) 벌써와 벌써부터 머니북 2013-07-19 3103
2431 [2016/04/11] 우리말) 이울다 머니북 2016-04-11 3103
2430 [2013/12/04] 우리말) 당초에 머니북 2013-12-06 3104
2429 [2012/11/26] 우리말) 흐리멍텅 -> 흐리멍덩 머니북 2012-11-26 3104
2428 [2014/03/17] 우리말) 나잇살/나쎄 머니북 2014-03-17 3104
2427 [2014/12/22] 우리말) 빌리다와 빌다 머니북 2014-12-22 3105
2426 [2015/07/20] 우리말) "농업, 일제용어 정리해야 진정한 광복" 머니북 2015-07-20 3105
2425 [2015/12/15] 우리말) 육질과 과육 머니북 2015-12-15 3105
2424 [2010/09/03] 우리말) 도복 moneybook 2010-09-04 3106
2423 [2012/03/16] 우리말) 일쩝다 머니북 2012-03-16 3106
2422 [2008/12/28] 우리말) 고향에 다녀왔습니다 id: moneyplan 2008-12-29 3107
2421 [2010/06/22] 우리말) 차두리와 덧두리 moneybook 2010-06-22 3107
2420 [2014/08/13] 우리말) 머리숱 머니북 2014-08-13 3109
2419 [2014/08/21] 우리말) 헹글헹글하다 머니북 2014-08-21 3109
2418 [2009/03/19] 우리말) 현안 문제 id: moneyplan 2009-03-19 3110
2417 [2014/01/29] 우리말) 커피 나오셨습니다 머니북 2014-01-29 3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