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3/24] 우리말) 나라비

조회 수 2905 추천 수 90 2009.03.24 09:23:17
나라비라 하지 않고,
한 줄로 세웠다나 나란히 세웠다고 하면 됩니다.
나라비를 세웠다고 해야 공무원의 체면이 서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일본말 하나 알아볼게요.

공무원 들이 하는 일 가운데 많은 부분이 일정한 기준에 따라 순서를 매기고 예산 범위에서 어느 선까지 지원해 주는 것일 겁니다.
쉽게 말해 점수에 따라 나란히 줄을 세운 후 위에 있는 순서대로 지원하는 것이죠.
이런 것을 두고 흔히 '나라비세웠다'고 합니다.
제 경험으로 사회에서는 별로 쓰지 않는데 유독 공무원들이 많이 쓰는 낱말 같습니다.
이것도 공무원들의 권위 의식인지는 모르지만,
어쨌든 공무원들이 자주 쓰는 낱말입니다.

나라비는 일본말 び로 ならび[나라비]라 읽습니다.
늘어섬, 늘어선 모양을 뜻하는 이름씨 입니다.

나라비라 하지 않고,
한 줄로 세웠다나 나란히 세웠다고 하면 됩니다.
나라비를 세웠다고 해야 공무원의 체면이 서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태기)
내일은 오랜만에 문제를 내겠습니다.
문제를 내는 날은 9:00에 편지가 배달됩니다. ^^*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배추 뿌리, 배추꼬랑이]

어머니가 집에 계시니 항상 반찬이 푸짐해서 좋습니다.
어제는 누나 집에서 배추 몇 포기 가져다가 김치를 담그셨네요.
아침에 어머니가 부엌에서 뭔가를 내 오시면서,
“이거 배추꼬랑지다 오랜만에 먹으면 맛있을 거다”라고 하시더군요.
그러면서 내 주시는 접시 위에 배추 뿌리 댓 개가 있더군요.
먹어보니 정말 달았습니다.
배추 뿌리가 단지, 어머니 정성이 단지는 모르지만...^^*

배추꼬랑지 아시죠? 배추 뿌리 말이에요.
실은 이 낱말은 '배추꼬랑이'가 표준말입니다.
배추 뿌리라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니겠지만, 그것은 한 낱말은 아니고,
배추 뿌리를 뜻하는 한 낱말은 '배추꼬랑이'입니다.
흔히 배추꼬랑지라고도 하지만 그것은 틀린 말입니다.

배추가 나온 김에 몇 가지 더 알아볼게요.
배추를 세는 단위가 뭐죠?
'포기'? '폭'?
우스갯소리로, '포기'는 배추를 셀 때나 쓴다는 말이 있죠?
맞습니다. 배추를 세는 단위는 '포기'입니다.
흔히, 한 폭, 두 폭 하지만,
한 포기, 두 포기가 맞습니다.

말 나온 김에,
무청이 뭔지 아세요?
'무의 잎과 잎줄기'를 뜻합니다.
'뭇줄거리'라고도 하죠?

시래기는
'무청이나 배추의 잎을 말린 것.'인데,
새끼 따위로 엮어 말려서 보관하다가 볶거나 국을 끓이는 데 쓰면 참 좋죠.

우거지는,
'푸성귀를 다듬을 때에 골라 놓은 겉대'를 말합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466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0237
2496 [2006/12/12] 우리말) 저는 절대 똥기지 않을 겁니다 id: moneyplan 2006-12-12 5631
2495 [2006/09/07] 우리말) 일본 왕실의 왕자 탄생을 축하합니다 id: moneyplan 2006-09-08 5615
2494 [2013/03/22] 우리말) 약 머니북 2013-03-25 5591
2493 [2006/09/14] 우리말) 가을내가 아니라 가으내 id: moneyplan 2006-09-14 5586
2492 [2006/10/11] 우리말) 배추 뿌리, 배추꼬랑이 id: moneyplan 2006-10-11 5558
2491 [2006/10/18] 우리말) 심술깨나 부리게 생겼다. 꽤나 고집이 세겠군 id: moneyplan 2006-10-18 5551
2490 [2006/10/22] 우리말) 심간 편하세요? id: moneyplan 2006-10-23 5538
2489 [2006/10/04] 우리말) 즐거운 추석 되세요. -> 아니요. 싫은데요. id: moneyplan 2006-10-08 5537
2488 [2006/12/18] 우리말) 살찌다와 살지다 id: moneyplan 2006-12-18 5535
2487 [2006/12/03] 우리말) 선친 잘 계시냐? id: moneyplan 2006-12-04 5528
2486 [2006/09/21] 우리말) 염치불구하고... id: moneyplan 2006-09-21 5528
2485 [2006/09/24] 우리말) 산문 모음집 id: moneyplan 2006-09-25 5520
2484 [2011/10/10] 우리말) 어리숙하다와 어수룩하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10 5513
2483 [2006/10/10] 우리말) 밥먹고 삽시다 id: moneyplan 2006-10-10 5512
2482 [2011/01/04] 우리말) 잔주름/잗주름 moneybook 2011-01-04 5480
2481 [2006/12/14] 우리말) 어제는 어머니와 함께 점심을 먹었습니다 id: moneyplan 2006-12-14 5464
2480 [2007/01/26] 우리말) 족치다 id: moneyplan 2007-01-28 5443
2479 [2006/09/16] 우리말) 어머니 글을 또 보내드립니다 id: moneyplan 2006-09-18 5424
2478 [2007/03/29] 우리말) 움츠리다와 옴츠리다 id: moneyplan 2007-03-30 5419
2477 [2006/11/22] 우리말) 메꾸다 >> 메우다 id: moneyplan 2006-11-22 5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