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7/16] 우리말) 외래어표기법 받침

조회 수 3681 추천 수 89 2009.07.16 08:39:09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외래어를 우리말로 나타낼 때 받침은 딱 7개만 쓰게 되어 있습니다.
ㄱ, ㄴ, ㄹ, ㅁ, ㅂ, ㅅ, ㅇ 이렇게 일곱 개입니다.
ㄷ을 받침으로 쓰지 않습니다.
이것만 봐도 '로케ㄷ'이 아니라 '로켓'이 맞다는 것을 금방 알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해남에는 비가 많이 내렸다는데,
이곳 수원은 햇볕이 쨍쨍 이네요.

기획실에 있다 보면 이곳에서 나가는 거의 모든 문서를 다 보게 됩니다.
그 문서에 쓰인 글의 문법이 거의 다 맞지만,
가끔 맞춤법에 맞지 않는 낱말이나, 앞뒤가 맞지 않는 어색한 월이 들어 있기도 합니다.
특히 자주 틀리는 게 바로 외래어 쓰기입니다.
외래어표기법이 엉망이라서 그런다고 볼 수도 있지만,
어찌 되었건 공무원이 만드는 공문서에 맞춤법이 틀린 게 들어 있으면 안 된다고 봅니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외래어를 우리말로 나타낼 때 받침은 딱 7개만 쓰게 되어 있습니다.
ㄱ, ㄴ, ㄹ, ㅁ, ㅂ, ㅅ, ㅇ 이렇게 일곱 개입니다.
ㄷ을 받침으로 쓰지 않습니다.
이것만 봐도 '로케ㄷ'이 아니라 '로켓'이 맞다는 것을 금방 알 수 있습니다.

ㄷ을 쓰지 않는 까닭은,
뒤에 다른 말이 붙었을 때 소리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rocket를 로켓으로 쓰면 뒤에 '을'이 와도 [로케슬]로 소리 내면 되지만,
로케ㄷ으로 쓰면 뒤에 '을'이 왔을 때 [로케들]로 소리내야 됩니다.
옳은 소리(발음)는 [로케슬]입니다.

이런 까닭으로 외래어를 우리말로 나타낼 때 받침은 일곱 개만 씁니다.
ㄷ을 받침으로 쓰지 않는다는 것을 꼭 알아두십시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선글라스 맨]

안녕하세요.

며칠 전에 탈레반에 잡혀 있던 우리나라 사람들이 풀려났죠? 참으로 다행입니다.
탈레반과 협상할 때, 검은색 안경을 쓴 우리나라 협상 대표가 인상적이었는데요.
누리집에 보니 '선글라스 맨'이라는 꼭지로 사진이 돌아다니고 있네요.

우리는 보통 [썬그라스]라고 하는데 왜 '선글라스'라고 쓰죠?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따로 설 수 있는 말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복합어는
그것을 이루는 말이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대로 적는다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곧, 외래어 단어 두 개가 모여 하나의 단어가 되었을 때는
각각의 단어 발음을 그대로 쓰는 것이죠.

따라서,
sunglass는 태양이라는 sun[선]과 유리라는 glass[글라스]가 합쳐진 말이므로,
'선글라스'라고 쓰는 게 맞습니다.

이런 게 또 있습니다.
얼마 전에 소개해 드린 highlight입니다.
high의 발음이 [하이]이고, light의 발음이 [라이트]라서,
highlight의 발음도 [하일라이트]가 아니라 [하이라이트]가 되는 겁니다.

또,
태양 sun이 [썬]이 아니라 [선]인 까닭도 외래어 표기법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외래어를 적을 때 원칙적으로 된소리를 쓰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미 굳어버린 빵, 껌 따위는 어쩔 수 없지만
일반적으로 쓰는 낱말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습니다.
그래서 뻐스가 아니라 버스고,
빠리가 아니라 파리고,
까페가 아니라 카페고,
씨스템이 아니라 시스템이고,
싸이클이 아니라 사이클이고,
르뽀가 아니라 르포고,
써비스가 아니라 서비스입니다.

'선그라스'라는 낱말 하나로도 이렇게 할 말이 많답니다. ^^*

이번 주도 많이 웃으시길 빕니다.
웃는 데는 돈이 들지 않습니다. ^____^*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표준국어대사전에따르면 '글라스'는 '유리잔'으로 다듬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2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893
1616 [2012/12/05] 우리말) 거슬르다 -> 거스르다 머니북 2012-12-05 3670
1615 [2008/12/26] 우리말) 흥청거리다와 흔전거리다 id: moneyplan 2008-12-26 3670
1614 [2015/06/11] 우리말) 나들못 머니북 2015-06-12 3669
1613 [2008/10/28] 우리말) 명함 만들기 id: moneyplan 2008-10-28 3669
1612 [2008/07/15] 우리말) 독도가 우리 땅이라는 증거 id: moneyplan 2008-07-15 3669
1611 [2015/01/28] 우리말) 오지와 두메 머니북 2015-01-29 3668
1610 [2011/12/06] 우리말) 딸내미와 싸움 머니북 2011-12-06 3668
1609 [2008/08/30] 우리말) 토요일이라 좀 널널하죠? id: moneyplan 2008-08-31 3668
1608 [2013/05/02] 우리말) www 20년 머니북 2013-05-02 3667
1607 [2012/05/01] 우리말) 전기료와 전기세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2-05-02 3667
1606 [2011/03/21] 우리말) 끼끗하고 조쌀하다 moneybook 2011-03-21 3667
1605 [2016/11/18] 우리말) 개판과 이판사판 머니북 2016-11-19 3666
1604 [2014/12/17] 우리말) 삐지다와 삐치다 머니북 2014-12-17 3666
1603 [2013/02/04] 우리말) 목도리 친친 머니북 2013-02-04 3666
1602 [2011/06/13] 우리말) 헐수할수없다 머니북 2011-06-13 3666
1601 [2012/05/15] 우리말) 스승의 날 머니북 2012-05-15 3665
1600 [2013/07/18] 우리말) 소강과 주춤 머니북 2013-07-18 3664
1599 [2010/07/28] 우리말) 시르죽다 moneybook 2010-07-28 3664
1598 [2008/02/18] 우리말) 자막 틀린 거 몇 개 id: moneyplan 2008-02-18 3664
1597 [2017/02/09] 우리말) 안갚음과 앙갚음 머니북 2017-02-10 36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