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6/22] 우리말) 차두리와 덧두리

조회 수 2902 추천 수 91 2010.06.22 09:16:45
'덧두리'는
"정해 놓은 액수 외에 얼마만큼 더 보탬. 또는 그렇게 하는 값."이라는 뜻으로
요사이 물건이 달려서 덧두리를 주고도 구하기가 힘들다처럼 씁니다.
'웃돈', '덧돈'과 같은 뜻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북한이 7대0으로 졌군요. 안타깝습니다.
내일 새벽에 우리나라와 나이지리아가 한 판 붙습니다.
이번에는 꼭 이겨서 16강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면 좋겠네요.

이번에는 차두리 선수가 나온다죠?
차두리 선수가 나와서 잘 뛰어주길 빌며
차두리와 비슷한 '덧두리'라는 낱말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덧두리'는
"정해 놓은 액수 외에 얼마만큼 더 보탬. 또는 그렇게 하는 값."이라는 뜻으로
요사이 물건이 달려서 덧두리를 주고도 구하기가 힘들다처럼 씁니다.
'웃돈', '덧돈'과 같은 뜻입니다.

제 생각에
차두리 선수가 한 골을 넣을 예정이었는데,
덧두리를 줘 두 골을 넣을 것 같습니다. ^^*
(말이 좀 억지스러운데요. 좋은 보기가 있으면 들어주세요. 내일 소개할게요.)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맑다와 곱다]

안녕하세요.

어제저녁 7시 10분쯤 KBS2에서 '맑은 육수'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그 육수는 마산 아귀찜을 만들면서 여러 번 거른 된장 물을 쓴다는 것을 소개하면서 나왔는데,
아무리 봐도 '맑은 육수' 같지는 않았습니다.

'맑다'는
"잡스럽고 탁한 것이 섞이지 아니하여 환하고 깨끗하다."는 뜻으로
물이 맑다, 맑은 공기를 마신다처럼 씁니다.
뭔가 속이 훤히 보이거나 또렷할 때 쓰는 말입니다.
반대말은 '탁하다' 정도 되지 싶습니다.

텔레비전에 나온
된장을 세 번 걸러 건더기가 없는 된장 물(육수)은 맑은 게 아니라 고운 겁니다.
'곱다'는
"만져 보는 느낌이 거칠지 아니하고 보드랍다."는 뜻으로
고운 모시, 고운 소금, 가루를 곱게 빻다처럼 씁니다.
반대말을 '거칠다'정도 될 겁니다.

맑다와 곱다도 가르지 못하는 KBS2 방송,
그때 방송하시는 분들의 정신이 맑지 않았나 봅니다.
그렇죠? ^^*

그렇다고 사람이 맑지 않다거나 심성이 거칠다는 뜻은 결코 아닙니다. ^^*

참,
어제 방송에서 아나운서나 자막은 꼬박꼬박 '아귀'라고 하는데,
인터뷰하는 분들은 모두 '아구'라고 하더군요.
표준말과 현실이 이렇게 다릅니다.
언젠가 말씀드렸듯이 강남에서 건너온 콩이 '강남콩'이 아니라 '강낭콩'이 되었듯이,
아귀도 소리내기 편하게 아구라고 한다면
이 또한 복수표준어로 인정해 주는 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255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18104
2496 [2006/12/12] 우리말) 저는 절대 똥기지 않을 겁니다 id: moneyplan 2006-12-12 5598
2495 [2006/09/07] 우리말) 일본 왕실의 왕자 탄생을 축하합니다 id: moneyplan 2006-09-08 5598
2494 [2006/09/14] 우리말) 가을내가 아니라 가으내 id: moneyplan 2006-09-14 5570
2493 [2013/03/22] 우리말) 약 머니북 2013-03-25 5561
2492 [2006/10/18] 우리말) 심술깨나 부리게 생겼다. 꽤나 고집이 세겠군 id: moneyplan 2006-10-18 5537
2491 [2006/10/11] 우리말) 배추 뿌리, 배추꼬랑이 id: moneyplan 2006-10-11 5536
2490 [2006/10/04] 우리말) 즐거운 추석 되세요. -> 아니요. 싫은데요. id: moneyplan 2006-10-08 5513
2489 [2006/10/22] 우리말) 심간 편하세요? id: moneyplan 2006-10-23 5511
2488 [2006/12/18] 우리말) 살찌다와 살지다 id: moneyplan 2006-12-18 5507
2487 [2006/09/24] 우리말) 산문 모음집 id: moneyplan 2006-09-25 5506
2486 [2006/12/03] 우리말) 선친 잘 계시냐? id: moneyplan 2006-12-04 5505
2485 [2006/09/21] 우리말) 염치불구하고... id: moneyplan 2006-09-21 5502
2484 [2006/10/10] 우리말) 밥먹고 삽시다 id: moneyplan 2006-10-10 5487
2483 [2011/10/10] 우리말) 어리숙하다와 어수룩하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10 5482
2482 [2011/01/04] 우리말) 잔주름/잗주름 moneybook 2011-01-04 5460
2481 [2006/12/14] 우리말) 어제는 어머니와 함께 점심을 먹었습니다 id: moneyplan 2006-12-14 5448
2480 [2007/01/26] 우리말) 족치다 id: moneyplan 2007-01-28 5417
2479 [2006/11/22] 우리말) 메꾸다 >> 메우다 id: moneyplan 2006-11-22 5398
2478 [2006/09/16] 우리말) 어머니 글을 또 보내드립니다 id: moneyplan 2006-09-18 5398
2477 [2007/03/29] 우리말) 움츠리다와 옴츠리다 id: moneyplan 2007-03-30 5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