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7/06] 우리말) 얼굴

조회 수 2923 추천 수 93 2010.07.06 09:49:26
얼굴은
얼과 굴로 나눌 수 있다고 합니다.
얼은 말 그대로 얼입니다. 영혼이죠.
굴은 통로입니다.
곧,
얼굴은 영혼이 들락거리는 길이죠.


안녕하세요.

어젯밤에 마신 막걸리가 아직도...
내적갈등(?)이 심합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보니 제 얼굴이 부어 있더군요.
이런 얼굴을 남에게 보이면 안되는데... ^^*

얼굴은
얼과 굴로 나눌 수 있다고 합니다.
얼은 말 그대로 얼입니다. 영혼이죠.
굴은 통로입니다.
곧,
얼굴은 영혼이 들락거리는 길이죠.

그래서
멍한 사람을 얼빠졌다고 합니다.
죽은 사람과 산 사람은 얼굴이 다르고,
기분 좋은 사람과 기분나쁜 사람의 얼굴도 다릅니다.
아마도 마음가짐에 따라 얼굴이 달라지나 봅니다.

얼굴 표정이 그 사람의 삶을 결정한다고 합니다.
웃는 얼굴에는 행복이 깃들고,
찡그린 얼굴에는...

오늘도 자주 웃고 삽시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저승꽃과 검버섯]

안녕하세요.

오늘 치 서울신문에 보면
'각각 생일이 빨라 실제로는 한 살 씩 터울이 있고...'라는 기사가 있습니다.
생일이 '일러'가 맞고,
'터울'은 한 어머니의 먼저 낳은 아이와 다음에 낳은 아이와의 나이 차이를 뜻합니다.
아무에게나 '터울'이라는 낱말을 쓰면 어머니를 욕 먹일 수 있습니다. ^^*
'씩'은 앞말에 붙여 써야 합니다.
(오늘 아침 SBS 뉴스에서 이 기사가 나왔습니다. 편지 쓰려고 누리집을 뒤져보니 그 기사가 있네요.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80512600009&spage=1 )

말 나온 김에 어머니 이야기로 편지를 풀어볼까요? ^^*
며칠 전에 고향에 갔다가 어제 새벽에 올라왔습니다.
부랴사랴 올라오느라 밝은 불빛 아래서 어머니 얼굴도 제대로 못 보고 올라왔습니다.
(부랴사랴 : 어찌씨, 매우 부산하고 급하게 서두르는 모양.)

저는 두 달에 한 번꼴로 고향에 가는데,
이번에 어머니 얼굴과 손을 보니 검버섯이 유달리 많이 보이더군요.
저게 다 누구 때문에 생긴것인데... 라는 생각을 하니......

흔히 나이 드신 어르신의 살갗에 난 거무스름한 얼룩을 '저승꽃'이라고 합니다.
저승에 가실 때가 다 된 분의 살갗에 생기니 그런 험한 이름을 달았는지는 모르겠지만 썩 달갑지 않은 이름입니다.
사전에도 없는 낱말입니다.
노인의 살갗에 생기는 거무스름한 얼룩은 '저승꽃'이 아니라 '검버섯'입니다.
검버섯을 병원에서는 '지루각화증'이라고 한다네요.

이번에 고향에 간 게 아버지 제사 모시러 간 길이라 어머니에게 있는 검버섯이 유난히 많이 눈에 띄었나 봅니다.
그런데도 저는
이제는 잘 걷지도 못하시는 어머니를 홀로 남겨놓고 또 차를 몰았습니다.
일터로... 목구멍이 포도청이라...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81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381
2596 [2013/09/10] 우리말) 부나비 머니북 2013-09-10 7826
2595 [2012/08/06] 우리말) 넓다랗다와 널따랗다 머니북 2012-08-06 7748
2594 [2009/02/06] 우리말) 쌈빡하다와 삼박하다 id: moneyplan 2009-02-06 7690
2593 [2009/04/13] 우리말) 헛으로와 허투루 id: moneyplan 2009-04-13 7673
2592 [2006/09/03] 우리말) 오늘 농촌진흥청 잔치 대단원의 막을 내립니다 id: moneyplan 2006-09-04 7649
2591 [2012/10/26] 우리말) 바래다와 바래지다 머니북 2012-10-26 7638
2590 [2007/08/24] 우리말) 허니문베이비의 순 우리말은? [1] id: moneyplan 2007-08-24 7614
2589 [2012/09/27] 우리말) 부저와 단추 머니북 2012-09-27 7575
2588 [2013/02/20] 우리말) 봄꿈 머니북 2013-02-20 7523
2587 [2007/10/15] 우리말) 지난주, 이번 주, 다음 주 id: moneyplan 2007-10-15 7481
2586 그 동안 연재하던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을 종료 합니다. 머니북 2017-11-28 7329
2585 [2013/09/12] 우리말) 슬다 머니북 2013-09-12 7258
2584 [2014/01/23] 우리말) '만일 내가 다시 아이를 키운다면' 머니북 2014-01-23 7152
2583 [2012/09/26] 우리말) 햅쌀과 오려쌀 머니북 2012-09-26 7150
2582 [2012/03/22] 우리말) 사이시옷 머니북 2012-03-22 7143
2581 [2006/09/18] 우리말) 숟가락을 떨어트리다? 떨어뜨리다? id: moneyplan 2006-09-18 6960
2580 [2013/09/09] 우리말) 고운때 머니북 2013-09-09 6825
2579 [2006/09/02] 우리말) 저는 떠버리입니다 id: moneyplan 2006-09-04 6824
2578 [2010/01/11] 우리말) 차 띄어쓰기 id: moneyplan 2010-01-11 6803
2577 [2006/09/25] 우리말) 모듬과 모둠 id: moneyplan 2006-09-25 67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