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1/04] 우리말) 됨새

조회 수 3041 추천 수 94 2010.11.04 16:49:31
"농작물이 잘되고 못된 상황"을 작황(作況)이라고 합니다.
이 작황에 해당하는 우리말이 바로 '됨새'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찌하다 보니 편지도 보내지 못하고 벌써 오후가 되었네요.
왜 이렇게 바쁘게 사는지 모르겠습니다. ^^*

얼마 전 뉴스에서 보니 배추 값이 많이 내렸고,
지금 밭에 있는 배추 작황에 따라 김장하는 비용이 달라질 거라고 하네요.

"농작물이 잘되고 못된 상황"을 작황(作況)이라고 합니다.
이 작황에 해당하는 우리말이 바로 '됨새'입니다.

배추 됨새가 좋으면 값이 내려갈까 걱정이고,
됨새가 나쁘면 농민들이 울까 걱정입니다.
그러나 배추값이 떨어지는 것을 사 먹는 사람이 보면 또 좋은 일이고...

같은 일을 두고 농사짓는 사람과 사 먹는 사람의 생각이 다릅니다.
그럼 농업을 연구하는 저는 어느 편에 서야 하죠?
소비자? 농민?
어느 쪽에도 낄 수 없는 깍두기인가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고향 잘 다녀오셨나요?]

안녕하세요.

고향 잘 다녀오셨나요?
저는 돌아오면서 9시간 '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

명절에 고향 가면 언제나 느끼는 것이지만,
명절이라면서 왜 그리 조용하고,
어머니와 고향 분들은 왜 그리 늙으셨는지...
갈수록 고향에 찾아오는 사람이 줄어 마을이 조용하기만 합니다.
마을에 애들 떠드는 소리가 없습니다.

사람이 늙어 가는 무렵을 '늘그막'이라고 합니다.
이를 잘못 써서 '늙으막'이라고 하면 틀립니다.
모든 사람들이 늘그막에 손자들 재롱이라도 보셔야 하는데 하늘은 그마저도 쉬이 허락하지 않으시나 봅니다.

'늘그막'의 준말이 '늙마'입니다.
고향을 지키며 늙마를 보내고 계시는 분들의 유일한 소원은 손자들 재롱일 겁니다.
그것마저도 사치일까요?

늙어 버린 판을 '늙바탕'이라고 합니다. '늙판'이라고도 합니다.
부모님들이 늙바탕에 바라는 게 뭔지를 생각해 봅니다.

명절 때 고향 찾아오지 않아도 좋으니 그저 건강하게 잘 살기만을 바라시겠죠.
애들 데리고 오느라 고생스런데 왜 왔냐?
내년부터는 오지 않아도 된다. 그저 애들하고 건강하니 잘 지내거라...
설마 이런 말을 믿고
명절에 고향 가지 않으시고 식구들만 여행가시는 분들은 안 계시죠?

사람은 누구나 늙습니다.
누구나 부모가 되고, 누구나 늙마가 있고, 늙바탕이 옵니다.
내가 내 부모에게 외로움을 드렸는데,
그걸 보고 자란 내 자식이 나를 호강시켜줄까요?

고속도로에 몇 시간씩 갇혀 있으면 힘듭니다.
그래도 뭐에 홀린 듯 명절에는 꼭 고향을 찾습니다.
제가 앞으로 몇 년이나 더 고향을 찾을까요. 아마도 길어야 10년일 겁니다.
어머니가 돌아가시거나, 아니면 어머니가 도시로 올라오시거나 그러시겠죠.
그러기 전에 저는 열심히 고향에 가렵니다.
동구 밖에서 홀로 서 계실 어머니를 생각하면서 열심히 고향에 가렵니다.

고향에 다녀올 때마다 많은 생각을 합니다.
오늘도 하늘에는 휘영청 밝은 달이 떠 있겠죠?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02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589
216 [2016/06/20] 우리말) 관청은 알기 쉬운 용어를 써야 한다 머니북 2016-06-21 3045
215 [2016/04/12] 우리말) 발표할 때... 머니북 2016-04-16 3044
214 [2015/06/22] 우리말) 유월 머니북 2015-06-22 3044
213 [2016/06/24] 우리말) 골탕 머니북 2016-06-26 3043
212 [2014/02/11] 우리말) 들르다와 들리다 머니북 2014-02-11 3043
211 [2009/03/07] 우리말) 어머니 글(예전에 보낸 편지) id: moneyplan 2009-03-09 3043
» [2010/11/04] 우리말) 됨새 moneybook 2010-11-04 3041
209 [2014/09/03] 우리말) 과자 봉지에 우리글보다 외국어를 더 크게 쓴다고? 머니북 2014-09-03 3041
208 [2009/08/10]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id: moneyplan 2009-08-14 3041
207 [2009/03/17] 우리말) 우연하다와 우연찮다 id: moneyplan 2009-03-17 3041
206 [2016/06/08] 우리말) 나달 머니북 2016-06-10 3040
205 [2015/07/15] 우리말) 온종일 머니북 2015-07-15 3040
204 [2009/01/14] 우리말) 짜집기와 짜깁기 id: moneyplan 2009-01-14 3040
203 [2015/11/06] 우리말) 싸가지와 거시기 머니북 2015-11-09 3038
202 [2009/06/24] 우리말) 짝꿍과 맞짱 id: moneyplan 2009-06-24 3036
201 [2015/06/03] 우리말) 늦장과 늑장 머니북 2015-06-03 3035
200 [2015/08/17] 우리말) 투잡 머니북 2015-08-17 3034
199 [2015/05/06] 우리말) 이팝나무 머니북 2015-05-06 3034
198 [2015/01/13] 우리말) 에라, 잘코사니라 머니북 2015-01-13 3034
197 [2012/04/10] 우리말) 광어가 아닌 넙치 머니북 2012-04-10 3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