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1/20] 우리말) 우연찮다

조회 수 3442 추천 수 14 2011.01.20 09:42:14
표준국어대사전에 '우연찮다'를 "꼭 우연한 것은 아니나 뜻하지도 아니하다."라고 올라 있으므로
'우연히 셋째가 들어서...'와 '우연찮게 셋째가 들어서...'는 같은 뜻입니다.
또 제가 말하고자 하는 뜻을 잘 나타내는 낱말이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편지를 보시고 축하도 많이 해 주셨지만, 꾸중도 많이 해 주셨습니다.

첫째 꾸중은 '우연찮게'라는 낱말을 썼다는 꾸중이셨습니다.
'우연찮다'는 사전에 "꼭 우연한 것은 아니나 뜻하지도 아니하다."는 뜻으로 올라 있습니다.
따라서, 신성한 애를 두고 그런 낱말을 골라 썼다는 꾸중이셨고,
또,
'우연찮다'는 '우연하지 않다'의 준말이므로 '우연히 셋째가 들어서서...'로 써야 바르다는 말씀이셨습니다.
앞에서 썼듯이 표준국어대사전에 '우연찮다'를 "꼭 우연한 것은 아니나 뜻하지도 아니하다."라고 올라 있으므로
'우연히 셋째가 들어서...'와 '우연찮게 셋째가 들어서...'는 같은 뜻입니다.
또 제가 말하고자 하는 뜻을 잘 나타내는 낱말이기도 합니다.
다만,
'우연찮다'가 최근에 사전에 오른 낱말이고,
뜻이 부정 표현과 긍정 표현을 오가는 낱말이라
비록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 있기는 해도 헷갈리는 것은 사실입니다.
사전 풀이를 "우연이 아니라 뜻하지 않은 사정때문에..."정도로 풀면 덜 헷갈릴 것 같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둘째 꾸중은 '돌팔이 의사'를 썼다는 꾸중이셨습니다.
애의 성별을 못 맞혔다고 해서 돌팔이는 아니라는 거죠.
제 생각과는 달리 언짢게 받아들이시는 분들이 계셨다면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아니예요 -> 아니에요]

오늘은 하루 종일 이사를 해야 할 것 같아서 미리 편지부터 보냅니다.
오늘은 많은 분이 헷갈리시는 ‘예요’와 ‘에요’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실은, 두 가지를 가르는 방법이 너무너무 간단합니다.

‘예요’나 ‘에요’ 앞에,
받침이 있을 때는 ‘이에요’를
받침이 없으면 ‘예요’를 쓰시면 됩니다.
보기) 받침이 있을 때 : ‘책이에요’, ‘사랑이에요’, ‘현선이에요’
   받침이 없을 때 : ‘저예요’, ‘전화예요’, ‘영서예요’
다만, ‘아니에요’는 문법적으로 다른 설명이 필요한데, 여기서는 그냥 예외로 외워버리자고요
문법적인 설명은 KBS 아나운서실과 국립국어원의 설명을 덧붙입니다.

<국립국어원>
‘아니에요’와 ‘아니예요’ 중 어느 게 맞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변;

‘아니에요’가 맞습니다. ‘아니예요’는 옳지 않습니다. ‘아니에요’는 ‘아니-’라는 형용사의 어간에 ‘-에요’라는 어미가 결합한 것입니다.
종결 어미 ‘-어요’는 ‘아니다’와 ‘-이다’ 뒤에 붙을 때는 ‘-에요’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그 쓰임은 다음과 같습니다.
먹 - + -어요 → 먹어요
아니- + -어요 → 아니어요, 아니- + -에요 → 아니에요
장남이- + -어요 → 장남이어요, 장남이- + -에요 → 장남이에요위에서 보듯이 형용사 어간 ‘아니-’와 서술격 조사 ‘이-’ 다음에는 ‘-어요’와 ‘-에요’가 결합하어 씁니다. 이때 ‘아니어요, 아니에요’는 ‘아녀요, 아녜요’로 줄어들 수 있습니다.
아니어요 → 아녀요, 아니에요 → 아녜요
장남이어요 → 장남여요(x), 장남이에요 → 장남예요(x)그러나 ‘장남이어요, 장남이에요’는 ‘장남여요, 장남예요’로 줄어들지 않습니다. 한편 선행 명사가 받침이 없고, 서술격 조사 ‘이-’에 ‘-어요/-에요’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형태는 쓰이지 않고, 줄어든 형태만 씁니다.
철수이어요(x) → 철수여요, 철수이에요(x) → 철수예요그러므로 종결 어미 ‘-어요, -에요’가 붙는 ‘아니다, 이다’의 쓰임을 종합하여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받침이 없을 때:-예요, 여요
받침이 있을 때:-이에요/-이어요
아니다: 아니에요,아녜요/아니어요, 아녀요

<KBS아나운서실>
‘아니예요’와 ‘아니에요’중에서 맞는 게 뭐예요? 뭐에요? 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

‘이에요’와 ‘예요’는 방송 자막 중 가장 자주 틀리는 보기 가운데 하나이며, 또한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회에 가장 많이 질의해오는 질문 중 첫 번째이다.
종결어미 ‘이에요’와 ‘예요’의 쓰임은 앞의 말이 모음으로 끝난 것인가 자음으로 끝난 것인가에 따라 달라진다.
먼저 ‘이에요’는 ‘책이에요’, ‘사랑이에요’와 같이 앞의 말이 자음으로 끝난 경우 즉, 받침이 있는 경우에 사용한다. 또 위의 예문 ‘아니에요’와 같이 앞말이 ‘이’모음으로 끝난 경우에도 ‘예요’가 아닌 ‘에요’로 쓰고 있다.
반대로 ‘이’모음으로 끝나는 말을 제외하고 앞의 말이 모음으로 끝날 때 즉, 받침이 없을 경우에는 ‘이에요’의 줄임말인 ‘예요’로 표기해야 한다. 예를 들면, ‘저에요’가 아닌 ‘저예요’가 옳은 표기로 ‘저이에요’에서 ‘이’와 ‘에’가 합쳐져서 ‘예’가 된 것이다.
요약하면, 받침이 있을 때는 ‘이에요’를 받침이 없으면 ‘예요’를 쓰면 된다.
보기) 받침이 있을 때 : ‘책이에요’, ‘사랑이에요’, ‘현선이에요’
받침이 없을 때 : ‘저예요’, ‘전화예요’, ‘영서예요’

오늘도 날씨가 참 좋네요.
행복한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3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39
1176 [2008/12/12] 우리말) 거북하다와 보깨다 id: moneyplan 2008-12-12 3720
1175 [2008/12/26] 우리말) 흥청거리다와 흔전거리다 id: moneyplan 2008-12-26 3720
1174 [2009/02/20] 우리말) 계란말이/달걀말이/두루마리 id: moneyplan 2009-02-20 3720
1173 [2012/12/05] 우리말) 거슬르다 -> 거스르다 머니북 2012-12-05 3720
1172 [2010/11/23] 우리말) 골덴과 코르텐 moneybook 2010-11-23 3721
1171 [2015/01/22] 우리말) 들뜨다와 달뜨다 머니북 2015-01-22 3722
1170 [2009/04/20] 우리말) 탈크와 탤크 id: moneyplan 2009-04-20 3723
1169 [2009/10/22] 우리말) 활개 치다와 활개 펴다 id: moneyplan 2009-10-22 3724
1168 [2013/10/23] 우리말) 속알딱지 -> 소갈딱지 머니북 2013-10-23 3724
1167 [2011/01/14] 우리말) 단추를 끼다와 꿰다 moneybook 2011-01-14 3725
1166 [2007/07/10] 우리말) 금자탑 id: moneyplan 2007-07-10 3726
1165 [2017/02/09] 우리말) 안갚음과 앙갚음 머니북 2017-02-10 3726
1164 [2007/12/12] 우리말) 김치 냉장고를 샀습니다 ^^* id: moneyplan 2007-12-12 3727
1163 [2008/10/15] 우리말) 수군수군과 소곤소곤 id: moneyplan 2008-10-15 3727
1162 [2011/08/16] 우리말) 착하다 머니북 2011-08-16 3727
1161 [2007/04/24] 우리말) 대충 잘하라는 게 어때서? id: moneyplan 2007-04-24 3728
1160 [2008/10/28] 우리말) 명함 만들기 id: moneyplan 2008-10-28 3728
1159 [2011/02/24] 우리말) 째, 체, 채 moneybook 2011-02-24 3728
1158 [2011/08/10] 우리말) 배럴당 80달러 머니북 2011-08-10 3728
1157 [2013/07/24] 우리말) 영계로 복달임 머니북 2013-07-24 3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