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1/21] 우리말) 늦장과 늑장

조회 수 3186 추천 수 11 2011.01.21 11:41:40
늦장과 늑장 모두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 있는 표준말입니다.



안녕하세요.

오전에 회의가 있었고,
또 제가 늦장 부리다 보니 이제야 편지를 보냅니다.

'늦장'은 "어떤 동작을 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다."는 뜻의 '느리다'에서 온 것 같습니다.
늦장 부리다처럼 씁니다.

이 '늦장'을 '늑장'이라고도 씁니다.
늑장 대처, 늑장 보도, 늑장을 부리다, 늑장을 피울 시간이 없다처럼 씁니다.

늦장은 느리다에서 온 것 같은데,
늑장은 어디서 왔는지 모르겠습니다.

늦장과 늑장 모두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 있는 표준말입니다.
다만, 제가 알기로,
1980년대 말까지는 '늑장'이라는 말만 있고, '늦장'이라는 낱말은 없었습니다.
'늦장'은 언제인지는 모르지만 최근에 사전에 올라간 낱말입니다.

늑장 부리다 집에 늦게 들어가서 혼나지 마시고,
오늘은 일찍 들어가세요.

주말 잘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따옴표]

새 해가 밝았습니다.
올 한 해도 각자가 원하시는 모든 일 다 성취하시기를 진심으로 빕니다.
저는 1월 2일. 바로 오늘 당직입니다.
새 해 첫날 당직이 아닌 것을 다행으로 생각해야 하는지 원...
오늘은 쉬운 것, 진짜로 쉬운 걸로 할게요. 올 들어 처음 보내는 거니까...

제가 보내는 우리말 편지에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가 많이 나오는데요.
어떻게 구별해서 쓰냐고 묻는 분이 계십니다.
오늘은 그 이야깁니다.

글을 쓰다 보면 강조를 해야 할 경우가 있죠?
예를 들면,
지금 필요한 것은 ‘지식’이 아니라 ‘실천’입니다.
에서처럼 지식과 실천을 강조하고자 할 때,
흔히들 큰따옴표(“ ”)를 쓰시는데요.
이건 잘못된 겁니다.
작은따옴표(‘ ’)를 써야 합니다.

한글맞춤법 문장부호에 보면 따옴표에 대한 규정이 있습니다.
그 내용에 보면,
큰따옴표(“ ”)는,
대화, 인용, 특별 어구 따위를 나타낸다.
(1) 글 가운데서 직접 대화를 표시할 때에 쓴다.
??“전기가 없었을 때는 어떻게 책을 보았을까?”
??“그야 등잔불을 켜고 보았겠지.”
(2) 남의 말을 인용할 경우에 쓴다.
??예로부터 “민심은 천심이다.”라고 하였다.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다.”라고 말한 학자가 있다.

작은따옴표는,
(1) 따온 말 가운데 다시 따온 말이 들어 있을 때에 쓴다.
??“여러분! 침착해야 합니다.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고 합니다.”
(2) 마음속으로 한 말을 적을 때에 쓴다.
??‘만약 내가 이런 모습으로 돌아간다면 모두 깜짝 놀라겠지.’
[붙임] 문장에서 중요한 부분을 두드러지게 하기 위해 드러냄표 대신에 쓰기도 한다.
??지금 필요한 것은 ‘지식’이 아니라 ‘실천’입니다.
‘배부른 돼지’보다는 ‘배고픈 소크라테스’가 되겠다.
라고 나와 있습니다.

이에 따르면,
강조할 때는 “??” 가 아니라 ‘?? ’입니다.

저는 글을 쓸 때,
낱말은 작은따옴표, 낱말 설명은 큰따옴표를 씁니다.
예를 들면,
‘사랑’은, “이성의 상대에게 끌려 열렬히 좋아하는 마음. 또는 그 마음의 상태”를 말합니다처럼 쓰죠.

새 해 첫날부터 사족을 좀 달자면,
앞에 든 보기에서,
예로부터 “민심은 천심이다.”라고 하였다.
라는 게 있죠?
여기서,
“- 천심이다.”라고 하였다.
“- 천심이다.”고 하였다.
중 어떤 게 맞을까요?

간단합니다.
직접인용인 큰따옴표 다음에만 ‘-라고’를 씁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는 그냥 ‘-고’를 씁니다.

다시 한 번,
올 한 해 늘 건강하시고,
이루고자 하시는 모든 일 다 이루시길 진심으로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2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38
1176 [2008/12/12] 우리말) 거북하다와 보깨다 id: moneyplan 2008-12-12 3720
1175 [2008/12/26] 우리말) 흥청거리다와 흔전거리다 id: moneyplan 2008-12-26 3720
1174 [2009/02/20] 우리말) 계란말이/달걀말이/두루마리 id: moneyplan 2009-02-20 3720
1173 [2012/12/05] 우리말) 거슬르다 -> 거스르다 머니북 2012-12-05 3720
1172 [2010/11/23] 우리말) 골덴과 코르텐 moneybook 2010-11-23 3721
1171 [2015/01/22] 우리말) 들뜨다와 달뜨다 머니북 2015-01-22 3722
1170 [2009/04/20] 우리말) 탈크와 탤크 id: moneyplan 2009-04-20 3723
1169 [2009/10/22] 우리말) 활개 치다와 활개 펴다 id: moneyplan 2009-10-22 3724
1168 [2013/10/23] 우리말) 속알딱지 -> 소갈딱지 머니북 2013-10-23 3724
1167 [2011/01/14] 우리말) 단추를 끼다와 꿰다 moneybook 2011-01-14 3725
1166 [2007/07/10] 우리말) 금자탑 id: moneyplan 2007-07-10 3726
1165 [2007/12/12] 우리말) 김치 냉장고를 샀습니다 ^^* id: moneyplan 2007-12-12 3726
1164 [2017/02/09] 우리말) 안갚음과 앙갚음 머니북 2017-02-10 3726
1163 [2008/10/15] 우리말) 수군수군과 소곤소곤 id: moneyplan 2008-10-15 3727
1162 [2011/02/24] 우리말) 째, 체, 채 moneybook 2011-02-24 3727
1161 [2011/08/16] 우리말) 착하다 머니북 2011-08-16 3727
1160 [2007/04/24] 우리말) 대충 잘하라는 게 어때서? id: moneyplan 2007-04-24 3728
1159 [2008/10/28] 우리말) 명함 만들기 id: moneyplan 2008-10-28 3728
1158 [2011/08/10] 우리말) 배럴당 80달러 머니북 2011-08-10 3728
1157 [2013/07/24] 우리말) 영계로 복달임 머니북 2013-07-24 3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