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4/12] 우리말) 예부터

조회 수 3764 추천 수 4 2011.04.12 10:36:04
'옛부터'가 아니라 '예부터'가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카이스트에 여러 문제가 있나 봅니다.
어제 뉴스에서 보니
카이스트의 한 교수님이 모든 강의를 우리말로 하시겠다고 말씀하셨다고 합니다.
모든 강의를 영어로 해야만 공부를 잘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영어가 필요하긴 하지만 꼭 그렇게까지 매달려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오늘 아침 7:09에 KBS2에서 '예부터'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맞습니다. '옛부터'가 아니라 '예부터'가 바릅니다.

아주 먼 과거를 뜻하는 이름씨(명사) '예'뒤에 토씨(조사) '-로부터'나 '-부터'가 붙은 것이므로
'예로부터'와 '예부터'처럼 사이시옷을 넣지 않고 붙여 써야 바릅니다.

'옛'은 "지나간 때의"라는 뜻의 매김씨(관형사)입니다.
옛 자취, 옛 추억, 옛 친구, 옛 모습처럼 띄어 씁니다.
다만, 한 낱말로 굳은
옛일, 옛이야기, 옛적, 옛날, 옛사랑, 옛정, 옛집 따위는 붙여 씁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오이소박이]

점심 먹고
회사 안에 있는 호수를 한 바퀴 돌았더니 기분이 상쾌하네요.

오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를 보시고, 두 분이 답장을 주셨네요.

1. ‘힌 기름덩이가 박힌 고기’니까 당연히
‘차돌박이’죠  에서
‘힌’이 아닌 ‘흰’이 맞겠죠? ㅎ ㅎ ㅎ
>> 예, 맞습니다. ‘힌 기름덩이’가 아니라 ‘흰 기름덩이’죠.
고맙습니다.

2. ‘오이소박이’가 아니라 ‘오이속박이’ 아닌가요? 오타죠?
>> 죄송합니다.
오이소박이가 맞습니다.

‘오이소박이’는 ‘오이소박이김치’의 준말로,
오이의 허리를 서너 갈래로 갈라
그 속에 파, 마늘, 생강, 고춧가루를 섞은 ‘소’를 넣어 담는 김치를 말합니다.

오이 속에 뭔가를 박아 넣었다고 해서 ‘오이속박이’라고 하는 게 아니고,
오이 속에 소(송편이나 만두 따위를 만들 때 맛을 내기 위해 속에 넣는 여러 가지 재료)를 박았다고 해서,
‘오이소박이’입니다.

날씨가 참 좋죠?
유리창 밖을 한 번 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73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250
1616 [2011/02/01] 우리말) 온새미로와 라온 moneybook 2011-02-01 3779
1615 [2008/08/30] 우리말) 토요일이라 좀 널널하죠? id: moneyplan 2008-08-31 3779
1614 [2017/05/02] 우리말) 순식간 머니북 2017-05-06 3778
1613 [2009/12/08] 우리말) 어리숙과 어수룩 id: moneyplan 2009-12-08 3778
1612 [2008/03/12] 우리말) 비게질 id: moneyplan 2008-03-12 3778
1611 [2014/06/27] 우리말) 머니북 2014-06-27 3777
1610 [2013/07/12] 우리말) 마음눈 머니북 2013-07-15 3776
1609 [2015/10/05] 우리말) 살무사와 살모사 머니북 2015-10-05 3775
1608 [2014/02/06] 우리말) 본데없다 머니북 2014-02-06 3775
1607 [2015/08/25] 우리말) 간이 크다와 붓다 머니북 2015-08-25 3773
1606 [2014/12/17] 우리말) 삐지다와 삐치다 머니북 2014-12-17 3773
1605 [2009/02/26] 우리말) 대로와 데로 id: moneyplan 2009-02-26 3773
1604 [2008/07/15] 우리말) 독도가 우리 땅이라는 증거 id: moneyplan 2008-07-15 3773
1603 [2008/04/28] 우리말) 옥수수와 강냉이 id: moneyplan 2008-04-28 3773
1602 [2012/12/10] 우리말) 영어 교육2 머니북 2012-12-10 3772
1601 [2007/08/02] 우리말) '리터당'은 '리터에'로... id: moneyplan 2007-08-02 3771
1600 [2007/07/06] 우리말) 뒷다마와 뒷담화 id: moneyplan 2007-07-06 3771
1599 [2012/10/11] 우리말) 총각 머니북 2012-10-11 3770
1598 [2012/02/02] 우리말) '바' 띄어쓰기 머니북 2012-02-02 3770
1597 [2009/10/05] 우리말) 얼토당토않다 id: moneyplan 2009-10-06 37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