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를
성가실 정도로 은근히 자꾸 귀찮게 구는 것을 '치근거리다'고 합니다. '지근거리다'보다 센 느낌인데요.
이걸 '추근거리다'고 쓰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추태나 추문을 떠올려서 그렇게 쓰시는 것 같습니다.
어쨌든 추근거리다를 많은 분이 쓰셔서 지난 8 31일 표준말로 인정을 받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제가 전철을 타고 일터에 나오는데요.
아침 일찍 나와서 콩나물 시루보다 빡빡한 버스-전철-전철을 타고 출근하는 게 보통 일이 아니더군요.
가끔, 전철에서 추근대는 사람이 있다는 뉴스가 나옵니다.
저는 그런 오해 받지 않으려고 한 손은 위로 들어 손잡이를 잡고, 다른 한 손은 가방을 꼭 쥐고 있습니다.
그리고 되도록 앞쪽에 있는 사람과 붙지 않고요. ^^*

누군가를
성가실 정도로 은근히 자꾸 귀찮게 구는 것을 '치근거리다'고 합니다. '지근거리다'보다 센 느낌인데요.
이걸 '추근거리다'고 쓰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추태나 추문을 떠올려서 그렇게 쓰시는 것 같습니다.
어쨌든 추근거리다를 많은 분이 쓰셔서 지난 8 31일 표준말로 인정을 받았습니다.
지금은 추근거리다나 지근거리다 모두 표준말입니다.

아래는 몇 달 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인데요.
오늘 소개한 치근거리다가 나와서 붙입니다.

고맙습니다.




[
치근대다와 지분거리다]

안녕하세요.

어제 미국에서 IMF 총재가 성폭행 미수 혐의로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사람의 인격은 자리와는 별로 상관이 없나 봅니다.
어쩌다 그런 말도 안 되는 잘못을 했는지 안타깝습니다.

1.
IMF
총재와는 다른 이야기지만,
남자가 여자를 성가실 정도로 자꾸 귀찮게 하는 것을 두고 '추근거리다'고 합니다.
(
여자가 남자를 그렇게 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
그러나 이 말은 '지근거리다'가 맞습니다.
그리고 '지근거리다'보다 느낌이 센 낱말이 '치근거리다'입니다.
어린아이가 가게 안에서 장난감을 사 달라고 엄마에게 계속해서 지근거린다,
그 남학생은 같은 반 여학생을 치근거렸다처럼 씁니다.

2.
'
지근거리다'보다 조금 더 지저분한 낱말이 '지분거리다'입니다.(제 생각이 그렇습니다. ^^*)
"
짓궂은 말이나 행동 따위로 자꾸 남을 귀찮게 하다"는 뜻으로
아내는 딸한테 지분거리는 사내를 경찰에 신고했다처럼 씁니다.
'
치근거리다'는 애들이 부모에게 하는 것이나, 남녀 사이에도 쓰지만,
'
지분거리다'는 주로 남녀 사이에 쓰는 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
성 문제에서는 여자보다 남자가 반성할 일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늘 조심하고 삽시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
넓이/너비]

여기저기 돌아다니다 보니 우리나라 땅도 무척 넓다는 것을 새삼 느낍니다.

오늘은 드넓은(?) 우리나라 땅을 생각하면서,
‘넓이’와 ‘너비’를 구별해 보겠습니다.

‘넓이’는,
“어디에 둘러싸인 평면의 크기”를 말합니다.
넓이가 넓다, 책상 넓이만 한 지도,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다처럼 쓰죠.

반면, ‘너비’는,
“평면이나 넓은 물체의 가로로 건너지른 거리”를 말합니다.
강의 너비, 도로의 너비를 재다처럼 씁니다.

정리하면,
‘넓이’는 평면의 크기고,
‘너비’는 물체를 가로지지는 거리입니다.

우리나라 참 아름다운 나라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9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15
1356 [2007/10/01] 우리말) 전어 이야기 id: moneyplan 2007-10-01 3565
1355 [2016/08/11] 우리말) 철다툼 머니북 2016-08-17 3564
1354 [2008/10/27] 우리말) 말 줄이기 id: moneyplan 2008-10-27 3563
1353 [2016/12/01] 우리말) 붴 머니북 2016-12-05 3562
1352 [2012/04/09] 우리말) 낼모레 머니북 2012-04-09 3562
1351 [2009/12/23] 우리말) 슬겁다 id: moneyplan 2009-12-23 3562
1350 [2015/08/05] 우리말) 밤을 지새우다 머니북 2015-08-05 3561
1349 [2015/01/08] 우리말) 많다와 잦다(2) 머니북 2015-01-09 3561
1348 [2009/01/19] 우리말) 엉터리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1-19 3561
1347 [2007/08/11] 우리말) 뉘 id: moneyplan 2007-08-13 3561
1346 [2014/07/17] 우리말) 까대기 머니북 2014-07-17 3560
1345 [2008/11/03] 우리말) 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 id: moneyplan 2008-11-03 3560
1344 [2007/11/12] 우리말) 꽃내음 풀내음 id: moneyplan 2007-11-12 3560
1343 [2007/08/27] 우리말) 밀월여행 id: moneyplan 2007-08-27 3560
1342 [2013/05/23] 우리말) 때마침과 하필 머니북 2013-05-23 3559
1341 [2012/11/15] 우리말) 올겨울과 이번겨울(2) 머니북 2012-11-15 3559
1340 [2007/05/08] 우리말) 튼실, 걀걍걀걍, 발싸심 id: moneyplan 2007-05-08 3559
1339 [2017/03/10] 우리말) 교보문고 머니북 2017-03-10 3558
1338 [2013/05/24] 우리말) 서식과 자생 머니북 2013-05-24 3558
1337 [2011/08/19] 우리말) 공공언어 이대로 둘것인가 2 머니북 2011-08-19 3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