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2/19] 우리말) 종군위안부

조회 수 17194 추천 수 0 2011.12.19 13:04:13

을사보호조약이 아니라 을사늑약이 맞듯 '위안부'도 하루빨리 제대로 된 낱말로 바로 잡아야 할 겁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춥네요.
아침 6:30쯤 MBC뉴스에서 "꽤 춥다"고 말했습니다.
춥고 더운 것은 많이를 쓰지 않고 꽤나 무척을 써야 바릅니다.

교수신문에서 올 한해를 정리하는 사자성어로 掩耳盜鐘(엄이도종)을 골랐네요.
귀를 막고 종을 훔친다라는 뜻으로, 
자기만 듣지 않으면 남도 듣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어리석은 행동을 뜻한다고 합니다.
우리말 속담에도 그런 비슷한 뜻이 있을 텐데 굳이 한자에서 골라오는 까닭을 모르겠습니다.

요즘 뉴스에 위안부라는 말이 자주 나옵니다.
위안부는 '종군위안부'를 뜻할 텐데요.
종군위안부는 전쟁 시에 군인들을 성적으로 위로하기 위해 종군하는 여자를 뜻합니다.
우리가 일제시대 때 일본군을 성적으로 위로하려고 일부러 간 게 아니잖아요.
그렇다면 종군위안부가 아니라 일본군위안부가 맞을 겁니다.

을사보호조약이 아니라 을사늑약이 맞듯 '위안부'도 하루빨리 제대로 된 낱말로 바로 잡아야 할 겁니다.

오늘은 우리 정신을 바로 세우는 여행 두 가지를 소개하겠습니다.

먼저,
'중국 안 임시정부 사적지 순례'입니다. 
중국에 있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사적지와 27년 노정' 순례를 떠난다고 합니다.
(2012년 1월 5일부터 15일까지 10박 11일) 
관심이 있는 분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사적지 연구회를 방문해 보시면 됩니다.
http://cafe.daum.net/kpgs27


다음은 
'신 일본 속의 한국문화 답사'입니다.
교토ㆍ오사카ㆍ나라의 한반도 유적지를 가본다고 합니다. 
신청 마감은 내일(12월 20일(화요일))입니다.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로 물어보시면 됩니다.
pine9969@hanmail.net, 02-733-5027(010-4808-9969)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얼룩이 --> 얼루기]

지난 주말에 해남에 다녀왔습니다.
설에는 차가 밀릴 것 같아 애들과 함께 고향에 가지 못하고 저만 다녀왔거든요.
그래서 지난 주말에 아내와 함께 애들을 데리고 가서 어머니 앞에서 재롱 좀 떨다 왔습니다. 

고향집에는 얼루기 강아지가 한 마리 있습니다.
딸내미가 겁도 없이 그 강아지와 잘도 놀더군요. 

흔히,
"얼룩얼룩한 점이나 무늬. 또는 그런 점이나 무늬가 있는 짐승이나 물건"을
'얼룩이'라고 하는데요. 
표준어는 '얼루기'입니다.
흰 점이 듬성듬성 박힌 얼루기는 형이 좋아하는 말이다. 우리 집 강아지 중에 얼루기가 제일 영리하다처럼 씁니다.
'얼룩이'라는 낱말은 대한민국 국어사전에 없습니다. 

강원도 지방에서는, 
"곡식 단을 말리기 위하여 만들어 놓은 시렁 장치"를
'얼루기'라고 합니다.
콩을 베어서 얼루기에 걸쳐 놓고 집에 들어왔다처럼 쓰죠.

벌써 입춘이 지났는데,
오늘부터 또 눈이 온다는군요.
아침에 어머니에게 전화 드렸더니 장독대에 눈이 수북하게 쌓여있다네요. 
눈길 조심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9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11
1396 [2013/10/07] 우리말) 책 '어이없이 틀리는 우리말 500' 머니북 2013-10-07 3580
1395 [2007/06/30] 우리말) 계란보다는 달걀을... id: moneyplan 2007-07-02 3580
1394 [2016/06/14] 우리말) 몹쓸 머니북 2016-06-15 3579
1393 [2012/05/14] 우리말) 남의나이와 남의눈 머니북 2012-05-14 3579
1392 [2009/05/04] 우리말) 동무와 벗 id: moneyplan 2009-05-06 3579
1391 [2007/09/10] 우리말) 파란하늘 id: moneyplan 2007-09-10 3579
1390 [2016/02/24] 우리말) 우황청심환 머니북 2016-02-25 3578
1389 [2014/10/16] 우리말) 따뜻한 편지 머니북 2014-10-16 3578
1388 [2012/07/02] 우리말) 천장과 천정 머니북 2012-07-02 3578
1387 [2010/03/15] 우리말) 세단기와 세절기 id: moneyplan 2010-03-15 3577
1386 [2015/11/10] 우리말) 개비/피우다 머니북 2015-11-10 3576
1385 [2011/05/24] 우리말) 갑시다 moneybook 2011-05-24 3576
1384 [2017/08/11] 우리말) 갑질에 대한 짧은 생각 머니북 2017-08-16 3575
1383 [2013/07/02] 우리말) 눈썹과 눈썰미 머니북 2013-07-02 3575
1382 [2012/10/31] 우리말) 되는대로 머니북 2012-10-31 3575
1381 [2009/08/28] 우리말) 신문 기사 연결 [1] id: moneyplan 2009-08-28 3574
1380 [2008/02/11] 우리말) 조문기 선생님의 빈소 id: moneyplan 2008-02-11 3574
1379 [2007/05/01] 우리말) 두남두다 id: moneyplan 2007-05-02 3574
1378 [2014/11/11] 우리말) 다리다/달이다 머니북 2014-11-11 3573
1377 [2012/05/08] 우리말) 안갚음과 치사랑 머니북 2012-05-08 35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