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2/14] 우리말) 최선을 다하다

조회 수 3892 추천 수 0 2012.02.14 09:24:11

'최선'은 '온 힘을 다해'로
'혼신'은 '온몸'으로 쓰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편지에서 
'그저 지금에 온 힘을 기울여(최선을 다 하며) 사는 수 밖에 없겠죠.'라고 썼습니다.

'최선'은 일본말 最善(さいぜん[세이젠])에서 왔다고 합니다.
영어 best를 일본말로 번역하면서 '가장 좋고 훌륭함'이라는 뜻으로 썼다고 합니다.
'혼신의 힘'에서 '혼신'도 일본말에서 왔다고 합니다.
(부산대학교 한국어맞춤법검사기, 한겨레신문 자료)

'최선'은 '온 힘을 다해'로
'혼신'은 '온몸'으로 쓰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벌써 2월도 반이 지나갑니다.
하루하루를 온 힘을 다해 열심히 살 일입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좀더’ 띄어쓰기]

한글 맞춤법 제46항에 보면,
'단음절로 된 낱말이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붙여 쓸 수 있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그때, 그곳, 좀더, 큰것, 이말, 저말, 한잎, 두잎 따위는,
본래는 띄어 쓰는데, 붙여 써도 되는 겁니다.

따라서,
'좀 더 큰 새 것'은 '좀더 큰 새것'으로 쓸 수 있고,
'그 때 한 잎 두 잎 떨어졌다'는 '그때 한잎 두잎 떨어졌다'로 쓸 수 있으며,
'이 곳 저 곳'은 '이곳 저곳'으로,
'이 말 저 말'은 '이말 저말'로 쓸 수 있습니다.

며칠 전 보내드린 편지에서, 이때, 그때 말씀드렸었죠?
'때'가 '시간의 어떤 순간이나 부분'을 뜻하는 명사로 쓰이면 띄어 써야 하지만,
일부 낱말과 결합하여 의미가 굳어지면 이때, 그대는 한 낱말로 봐서 붙여 쓴다고 말씀드렸었습니다.

이때, 그때가 한 낱말이라서 붙여 쓴다고 봐도 되고,
맞춤법 제46항에 따라 붙여 쓴다고 봐도 됩니다. 

이제 슬슬 띄어쓰기가 지겹죠? 


보태기)
'이곳저곳'은
''여기저기'를 문어적으로 이르는 말'로 '하루 종일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다.'처럼 붙여 써도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6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91
1416 [2007/07/31] 우리말) 탈레반, 정말 밉네요 id: moneyplan 2007-07-31 3598
1415 [2017/03/07] 우리말) 혹은과 또는 머니북 2017-03-08 3597
1414 [2007/05/30] 우리말) 세리머니가 아니라 뒤풀이입니다 id: moneyplan 2007-05-30 3597
1413 [2014/11/11] 우리말) 다리다/달이다 머니북 2014-11-11 3596
1412 [2013/11/13] 우리말) '계란 껍질' 머니북 2013-11-13 3595
1411 [2008/12/24] 우리말) 내년과 이듬해 id: moneyplan 2008-12-24 3595
1410 [2011/12/29] 우리말) 누룽지와 눌은밥 머니북 2011-12-29 3594
1409 [2009/12/03] 우리말) 때마침 id: moneyplan 2009-12-03 3594
1408 [2007/07/25] 우리말) 공멸은 피해야 합니다 id: moneyplan 2007-07-25 3593
1407 [2008/10/01] 우리말) '안되다'와 '안 되다' id: moneyplan 2008-10-01 3592
1406 [2007/06/30] 우리말) 계란보다는 달걀을... id: moneyplan 2007-07-02 3592
1405 [2015/02/16] 우리말) 새털과 쇠털 머니북 2015-02-16 3591
1404 [2014/11/12] 우리말) 핏줄 쓰이다 머니북 2014-11-12 3591
1403 [2013/07/02] 우리말) 눈썹과 눈썰미 머니북 2013-07-02 3591
1402 [2013/03/29] 우리말) 셋째 태어나고 아내에게 쓴 편지 머니북 2013-03-29 3591
1401 [2008/07/22] 우리말) 나지막하다 id: moneyplan 2008-07-22 3591
1400 [2016/10/21] 우리말) 받침소리의 혼란 머니북 2016-11-01 3590
1399 [2014/09/02] 우리말) 씽크홀 머니북 2014-09-02 3590
1398 [2010/02/19] 우리말) 커텐과 커튼 id: moneyplan 2010-02-19 3590
1397 [2008/04/07] 우리말) 꽃보라 id: moneyplan 2008-04-07 35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