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4/26] 우리말) 광화문 안내판

조회 수 3106 추천 수 0 2012.04.27 09:49:54

오늘도 여러분이 보내주신 편지를 같이 읽고자 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여러분이 보내주신 편지를 같이 읽고자 합니다.

1) 
숭례문과 남대문
어저께 서울 시청앞 네거리에서 버스를 기다리는데외국 관광객 두 명이 다가와서 영어로 길을 물었습니다. "남대문을 가려합니다어느 쪽입니까 ?" 질문을 받은 자리가 서소문동 쪽이어서 건너편을 가르키면서저 건물 뒤쪽 길로 약 2백미터 가면 남대문이 있습니다." 라고 알려주었습니다.
그러고 나서 건너편에 있는 크다란 안내판을 보면서왜 외국인이 저 안내판을 보고서도 남대문을 가는 방향을 알 수 없었을까 보았습니다
불행히도 그 안내판에는 영어 표기로 숭례문은 있었으나남대문은 없었습니다.
모든 외국인심지어 한국인에게도 남대문으로 대부분 알려져 있다면숭례문과 남대문이 같은 문화재란 사실에 바탕을 두고 안내하는 표시가 들어있는 안내판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안타까운 마음이 들어서 핸드폰으로 안내판을 찍어서 여기 올립니다.
어디다 건의를 하여야 할까생각 중입니다.

2) 
스크린 도어
서울 지하철을 타면객실칸의 문이 열릴 때, "스크린 도어가 열립니다. ---" 라는 안내 방송이 나옵니다왜 허구하게 많은 말들을 두고 "스크린 도어"라는 말을 사용하여야만 할까 섭섭하게 느껴집니다그냥 "출입문", "안전문", "이중문등 얼마든지 좋은 말 가운데 한 개를 가려서 쓰면 될터인데하는 안타까운 맘이 듭니다.
서울지하철 공사에 건의를 하려는데 ---. 

3) "
아들아 눈이 훨씬 잘 보인다."
오는 년말까지 TV 방송의 송출 방식을 HD 방식으로 전환하는 사업을 앞두고 당국에서 이의 전환을 권장하는 공익광고가 요즘 방송마다시간마다 나오고 있습니다.
이 광고의 스토리는 도시에 살고있는 아들이 시골 집의 TV 수신 방식을 HD 방식으로 전환하여주었는데이에 따라 TV 화면이 선명한 것을 시골 노인은 아들이 보내준 보약을 먹고 한결 잘보인다고 생각하여 고맙다는 말을 전하는 전화 내용이 골자입니다
이 광고의 내용을 그냥 적당히 받아들일 수도 있겠지만저는 이 광고를 볼 때마다노인은 상식이 부족하고 첨단 문명에는 뒤떨어지고어리석다는 것에 바탕을 두고 제작한 것같아썩 기분이 좋지 않게 받아들여집니다.
일반적으로 노년층에 그러한 현상이 있다고 하여서 이를 강조하는 것은 올바른 방향이 아니라고 생각됩니다나이를 먹는다는 것이 상식과 문명에 뒤떨어지는 것이 아니라오히려 이를 년륜으로 쌓아올리도록개인과 사회가 노력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아마 이 광고를 년말까지 계속할 것으로 예상하는데광고를 하고 있는 당국과 Sky Life 회사측에 시정 건의를 하고 싶습니다.
제 생각이 좀 예민한게 아닌가 자문하여 보기도 합니다.



고맙습니다.

이렇게 같이 읽고자 하는 글이 있으시면 저에게 보내주십시오.
언제든지 우리말 편지에서 소개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
시합 -->> 경기]

월드컵 기간에 되도록이면 축구와 관련된 편지를 보내드린다고 했는데,
조금 부담이 되네요
어쨌든 오늘 처음이니까 쉬운 것부터 시작하죠.

축구는 두 편으로 나뉜 11명의 선수가 
'
주로 발로 공을 차서 상대편의 골에 공을 많이 넣는 것으로 승부를 겨루는 경기'입니다.

오늘은,
경기와 시합의 차이를 알아볼게요.

경기(競技),
'
일정한 규칙에 따라 기량과 기술을 겨룸또는 그런 일.'을 뜻하고,
시합(試合),
'
운동이나 그 밖의 경기 따위에서 서로 재주를 부려 승부를 겨루는 일'을 뜻합니다.

뜻은 거의 비슷하죠?
그러나 태생은 다릅니다.
시합은 しあい[시아이]라는 일본어에서 온 말입니다.
국립국어원에서도 '겨루기'로 바꿔서 쓰도록 권하는 말이죠.

'
시합'보다는 '경기'라는 말이 더 좋습니다.
그러나 그보다 더 좋은 말은,
'
겨룸'이나 '견줌'이라는 낱말입니다.
겨룸은,
'
서로 버티어 힘이나 승부를 다투는 일'이고,
'
둘 이상의 사물을 질이나 양 따위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서로 대어 보다'는 낱말이,
'
견주다'잖아요
동사 '견주다'의 명사형이 '견줌'입니다.

우리나라 국가대표 선수들과 견주는 프랑스 선수들...
별 볼일 없죠?
이번에는 몇 대 몇으로 이길까요

우리말123 

보태기)
경기/시합처럼 뜻은 비슷하지만 하나는 일본에서 온 낱말인 경우가,
계좌/구좌입니다.
구좌는 こう-[고우자]라는 일본어에서 온 말입니다.
국립국어원에서도 '계좌'로 바꿨습니다.

제 계좌 알려드리면 누가 돈 좀 넣어주시려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5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25
2356 [2008/05/14] 우리말) 저승꽃과 검버섯 id: moneyplan 2008-05-15 3128
2355 [2008/06/17] 우리말) 엉터리 자막 두 개 id: moneyplan 2008-06-17 3129
2354 [2014/09/16] 우리말) 매다와 메다 머니북 2014-09-16 3129
2353 [2013/06/18] 우리말) 개문냉방 머니북 2013-06-18 3130
2352 [2016/02/18] 우리말) 핑크빛과 핑큿빛 머니북 2016-02-19 3130
2351 [2015/03/13] 우리말) 쑥되고 말았다 머니북 2015-03-13 3131
2350 [2017/06/14] 우리말) 우둥우둥 머니북 2017-06-14 3131
2349 [2008/05/29] 우리말) 어겹되다 id: moneyplan 2008-06-03 3132
2348 [2010/01/21] 우리말) 미닫이와 빼닫이 id: moneyplan 2010-01-21 3134
2347 [2010/10/20] 우리말) 틀린 말 몇 가지 moneybook 2010-10-20 3134
2346 [2015/01/20] 우리말) 올바른 방법으로 사랑해야 합니다 머니북 2015-01-20 3134
2345 [2008/07/30] 우리말) 에너지를 아끼는 데 함께하고자... id: moneyplan 2008-07-31 3135
2344 [2012/04/12] 우리말) 농업 속 우리말 머니북 2012-04-12 3136
2343 [2012/02/28] 우리말) 투잡은 겹벌이로 다듬어 씁시다 file 머니북 2012-02-28 3137
2342 [2014/04/08] 우리말) 구름다리와 섬다리 머니북 2014-04-08 3137
2341 [2007/12/28] 우리말) 아구탕과 아귀탕 id: moneyplan 2007-12-28 3138
2340 [2014/07/25] 우리말) 안전하지 않은 안전사고 머니북 2014-07-25 3138
2339 [2009/03/25]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3-25 3139
2338 [2010/02/02] 우리말) 쌍동이와 쌍둥이 id: moneyplan 2010-02-02 3139
2337 [2009/06/29] 우리말) 꿰맞추다 id: moneyplan 2009-06-29 3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