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8/03] 우리말) 신기록 갱신과 경신

조회 수 3740 추천 수 0 2012.08.03 10:32:19

갱신이나 경신도
새로 쓰거나 다시 쓰는 것으로 바꿔서 쓰면 헷갈릴 일도 없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아무리 더워도 시간은 흘러 벌써 금요일입니다. ^^*

요즘 올림픽 보느라 가끔은 더위도 잊고 지냅니다.
어제 본 양궁 금메달 딴 것도 참 재밌게 봤습니다.

운동에는 언제나 새로운 기록이 따르고, 늘 신기록 경신이나 신기록 갱신이라는 말을 덧붙입니다.
오늘은 경신과 갱신을 갈라 보겠습니다. 예전에 몇 번 편지를 보낸 기억이 있습니다. ^^*

'경신'과 '갱신'은 모두 한자 更新입니다.
같은 한자를 어떻게 읽는가에 따라 뜻이 달라집니다.
更 자는 '다시 갱'과 '고칠 경'으로 읽는데, 
更 자를 '고칠 경'으로 읽어
'경신'이라고 하면
"이미 있던 것을 고쳐 새롭게 함"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운동 경기의 기록을 '경신'한다고 하는 게 바릅니다.

更 자를 '다시 갱'으로 읽어
'갱신'이라고 하면
"법률관계의 존속 기간이 끝났을 때 그 기간을 연장하는 일"과
"기존의 내용을 변동된 사실에 따라 변경˙추가˙삭제하는 일"을 말합니다.
계약 갱신, 비자 갱신, 면허 갱신, 시스템의 갱신 따위로 쓰입니다.

정리하면,
'경신'은 내용을 새로 바꾸는, 한 단계 올라가는, 신기록 경신에 쓰이고,
'갱신'은 계약 기간을 연장하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데 쓴다고 기억하시면 됩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경신'은 '고침'으로
'갱신'은 '새로 고침'으로 바꿔 쓰자고 권했습니다.

지난번에 보내드린 '연패'에서도 말씀드렸듯이,
한문 없이 한자말을 쓰면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연패'를 '내리 짐'이나 '내리 이김'으로 바꾸자는 말씀을 드렸던 것이고요.

갱신이나 경신도
새로 쓰거나 다시 쓰는 것으로 바꿔서 쓰면 헷갈릴 일도 없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번 올림픽에서
우리나라 선수가 열심히 해서 새로운 기록을 많이 내기를 빕니다.

고맙습니다.


보태기)
'신기록 경신'은 새로운 기록으로 고쳐 쓴다는 뜻이 되므로 '신기록 달성'이나 '신기록 작성'이라고 하는 게 옳을 것 같습니다.
신기록에 이미 새로운 기록이라는 의미가 있기에 '신기록 경신'은 새로운 기록을 새롭게 하다는 중복적인 표현으로 보일 수도 있잖아요. ^^*

오늘은 예전에 보낸 편지를 쉽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73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256
1616 [2014/06/27] 우리말) 머니북 2014-06-27 3779
1615 [2014/05/22] 우리말) '지' 띄어쓰기 머니북 2014-05-22 3779
1614 [2011/02/01] 우리말) 온새미로와 라온 moneybook 2011-02-01 3779
1613 [2017/05/02] 우리말) 순식간 머니북 2017-05-06 3778
1612 [2009/12/08] 우리말) 어리숙과 어수룩 id: moneyplan 2009-12-08 3778
1611 [2008/03/12] 우리말) 비게질 id: moneyplan 2008-03-12 3778
1610 [2015/10/05] 우리말) 살무사와 살모사 머니북 2015-10-05 3776
1609 [2013/07/12] 우리말) 마음눈 머니북 2013-07-15 3776
1608 [2014/02/06] 우리말) 본데없다 머니북 2014-02-06 3775
1607 [2012/12/10] 우리말) 영어 교육2 머니북 2012-12-10 3774
1606 [2008/04/28] 우리말) 옥수수와 강냉이 id: moneyplan 2008-04-28 3774
1605 [2015/08/25] 우리말) 간이 크다와 붓다 머니북 2015-08-25 3773
1604 [2014/12/17] 우리말) 삐지다와 삐치다 머니북 2014-12-17 3773
1603 [2009/02/26] 우리말) 대로와 데로 id: moneyplan 2009-02-26 3773
1602 [2008/07/15] 우리말) 독도가 우리 땅이라는 증거 id: moneyplan 2008-07-15 3773
1601 [2007/08/02] 우리말) '리터당'은 '리터에'로... id: moneyplan 2007-08-02 3771
1600 [2007/07/06] 우리말) 뒷다마와 뒷담화 id: moneyplan 2007-07-06 3771
1599 [2012/10/11] 우리말) 총각 머니북 2012-10-11 3770
1598 [2012/02/02] 우리말) '바' 띄어쓰기 머니북 2012-02-02 3770
1597 [2009/10/05] 우리말) 얼토당토않다 id: moneyplan 2009-10-06 37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