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10/09] 우리말) 오늘은 한글날

조회 수 6298 추천 수 0 2012.10.09 09:16:25

오늘은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한 지 566돌, 창제한 지는 569돌이 되는 날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이 한글날입니다.

1. 
오늘은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한 지 566돌, 창제한 지는 569돌이 되는 날입니다.

2.
한글은 세종대왕이 만들 때는 '훈민정음'이라 했지만, 많은 양반이 언문, 반절, 암클, 아랫글이라고 깎아내렸습니다.
그렇게 수백 년 넘게 이어오다 주시경 선생님께서 1913년에 '언문'을 '한글'이고 고쳐서 불렀습니다.
그 뒤 1927년 '한글'이란 잡지가 세상에 나오면서 한글이 널리 쓰이게 됐습니다.

3.
'한글날'은
조선어학회에서 1926년 11월 4일을 한글 반포 기념일로 정하여 처음에는 '가갸날'이라고 부르다가 1928년에 '한글날'이라고 고쳐 부르면서 한글날이 자리를 잡게 됩니다.
1946년부터 양력 10월 9일을 한글날로 지냈습니다. 
이후 한글날은 1970년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라 공휴일이 되었다가 1990년에 일반기념일로 바뀌게 됩니다. 공휴일에서 빠진 것이죠.
그때 대통령이 노태우 대통령입니다.
많은 분의 노력으로 2005년에 다시 국경일이 되긴 했지만, 공휴일은 아닙니다.
그래서 요즘 많은 분이 세계 으뜸 글자인 한글을 우러르고자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들는 데 힘을 쏟고 있습니다.

4.
올해도 여전히 한글날만 한글과 우리말에 관한 기사가 많고, 내일부터는 언제 그랬냐는 듯이 조용하겠죠? ^^*
오늘 아침에 인터넷에 뜬 기사 몇 개 이어봅니다.

세계문자올림픽서 한글 '금메달'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2/10/08/0200000000AKR20121008206100004.HTML?did=1179m

한글날 566돌, 한글 현주소는?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15207

두 번째 '한글 수출'…한글 과학성ㆍ우수성 주목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2/10/08/0200000000AKR20121008168600004.HTML?did=1179m

"'한글의 세계화' 보편적 시각 연구 필요"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2/10/09/0200000000AKR20121009023900005.HTML?did=1179m

[이대로 한글]"세계 최상 알파벳"…지구촌 증언들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21008_0011504364&cID=10201&pID=10200

맞춤법도 법, '법률가는 한글맞춤법 지키고 있는가!' 
http://www.shinmoongo.net/sub_read.html?uid=37474 

한글의 재인식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590411

`한글 우수성` 스마트시대 더 빛났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2100902010151746002

"한글 아직 독립 못했나"…한국에선 찬밥 신세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21005_0011499651&cID=10201&pID=10200

오늘은
우리말을 어떻게 하면 깨끗하게 보존하고, 잘 다듬어 쓸 수 있을지를 고민하며 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오늘은 예전에 보낸 편지를 붙이지 않겠습니다.
위에 연결한 한글 관련 기사를 좀 읽어보시라고...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20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751
136 [2007/01/23] 우리말) 들러리 id: moneyplan 2007-01-23 4202
135 [2007/01/22] 우리말) 쉼표와 마침표 id: moneyplan 2007-01-22 4528
134 [2007/01/19] 우리말) 외교부가 하는 꼬라지 하고는... id: moneyplan 2007-01-19 4716
133 [2007/01/18] 우리말) 두루말이 화장지/두루마리 화장지 id: moneyplan 2007-01-19 5308
132 [2007/01/17] 우리말) 졸가리/줄거리 id: moneyplan 2007-01-17 5728
131 [2007/01/16] 우리말) 낫잡다/낮잡다 id: moneyplan 2007-01-16 4539
130 [2007/01/15] 우리말) 책거리/책걸이/출판기념회 id: moneyplan 2007-01-15 4209
129 [2007/01/13] 우리말) 싸다/저렴하다, 이르다/빠르다, 접수/제출 id: moneyplan 2007-01-15 4324
128 [2007/01/12] 우리말) '들쳐메다'가 아니라 '둘러메다'입니다 id: moneyplan 2007-01-12 6135
127 [2007/01/10] 우리말) 집가심 id: moneyplan 2007-01-12 4394
126 [2007/01/09] 우리말) 동지나해 id: moneyplan 2007-01-10 4231
125 [2007/01/09] 우리말) 눈 덮인 산 id: moneyplan 2007-01-09 4322
124 [2007/01/08] 우리말) 카드사 수수료 인하 거부 id: moneyplan 2007-01-08 3995
123 [2007/01/06] 우리말) 단출, 차지다, 더 이상 id: moneyplan 2007-01-08 4367
122 [2007/01/05] 우리말) 황당/당황/깜짝 놀라다 id: moneyplan 2007-01-05 4738
121 [2007/01/04] 우리말) 두껍다와 두텁다 id: moneyplan 2007-01-04 5010
120 [2007/01/03] 우리말) 어제 시무식에서 들은 말 id: moneyplan 2007-01-03 5012
119 [2007/01/02] 우리말) 담배를 꼭 끊어보겠다는 큰 보짱이 있습니다 id: moneyplan 2007-01-02 4560
118 [2006/12/31] 우리말) 올 한 해를 뒤돌아볼까요 되돌아볼까요? id: moneyplan 2007-01-02 4173
117 [2006/12/29] 우리말) 하일라이트가 아니라 하이라이트 id: moneyplan 2006-12-29 5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