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5/29] 우리말) 필자

조회 수 3478 추천 수 0 2013.05.29 09:53:43

필자(筆者)는 "글을 쓴 사람. 또는 쓰고 있거나 쓸 사람."을 뜻하는데요.
제3자가 글을 쓴 사람을 이를 때 씁니다.
곧, 글쓴이가 자신을 이르는 낱말이 아니라는 거죠.

안녕하세요.

그리 덥지도 않고 기분 좋은 아침입니다. ^^*
날씨는 이렇게 좋은데, 저는 정신없이 바쁘네요.

신문을 보다 보면 가끔 '필자 사정으로 오늘 하루 쉽니다.'라는 것을 보게 됩니다.
필자(筆者)는 "글을 쓴 사람. 또는 쓰고 있거나 쓸 사람."을 뜻하는데요.
제3자가 글을 쓴 사람을 이를 때 씁니다.
곧, 글쓴이가 자신을 이르는 낱말이 아니라는 거죠.
필자 소개, 필자가 밝혀지지 않을 글처럼 씁니다.

글쓴이가 자신을 이를 때는
그냥 '내가'나 '제가'를 쓰면 됩니다.

오늘은
우리말 편지를 쓰는 필자가 바빠서...
아니, 다시 할게요.
오늘은 제가 바빠서 우리말 편지를 하루 쉽니다. 이렇게 쓰면 됩니다.

이렇게 깨끗한 우리말을 쓰면 얼마나 쉽고 좋은지요.
필자를 써서 무언가 무게 있게 보이려는 것보다
있는 그대로 쉽고 짧게 쓰는 글이 훨씬 좋다고 봅니다.

고맙습니다.

보태기)
'필자'보다는 '글쓴이'가 훨씬 좋습니다.
오늘 편지는 '필자'는 제3자가 글쓴이를 이를 때 쓴다는 것을 말씀드리고자 쓴 겁니다.
거듭 말씀드리지만, 
'필자'보다는 '글쓴이'가 훨씬 좋습니다. ^^*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몽골어'와 '몽골 어']
지난달 21일, 
보라색의 보라가 몽골어에서 왔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 편지를 읽으시고 dogani??님이
'몽골 어'처럼 띄어 써야 하지 않느냐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맞습니다.

'-어(語)'는 일부 이름씨(명사) 뒤에 붙어
'말'이나 '낱말'의 뜻을 더하는 뒷가지(접미사)입니다.
이 '어'는 뒷가지이긴 하지만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외래어 다음에서는 띄어 쓰거나 붙여 쓸 수 있습니다. 

한국어, 중국어, 한자어, 고유어, 외래어처럼 붙여 쓰고,
그리스 어, 프랑스 어, 몽골 어처럼 띄어 쓸 수 있습니다.

어떤 때는 붙여 쓰고 어떤 때는 띄어 쓰는지 헷갈리시죠?
아주 쉬운 방법이 있습니다.
'한자' 다음에 뒷가지 '-어'가 오면 붙여 쓰고,
'영어' 다음에 뒷가지 '-어'가 오면 띄어 쓰시면 됩니다.

따라서
한국어(韓國語), 중국어(中國語), 일본어(日本語), 독일어(獨逸語)는 붙이고,
'라틴 어(Latin語), 스웨덴 어(Sweden語), 프랑스 어(France語), 그리스 어(Greece語), 몽골 어(Mongol語)는 띄어 씁니다.

쉽죠?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07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624
956 [2013/05/28] 우리말) 민들레 2 머니북 2013-05-28 3249
» [2013/05/29] 우리말) 필자 머니북 2013-05-29 3478
954 [2013/05/30] 우리말) 시늉과 흉내 머니북 2013-05-30 3465
953 [2013/05/31] 우리말) 뒷좌석과 뒷번호 머니북 2013-06-03 3192
952 [2013/06/03] 우리말) 띠다와 띠우다 머니북 2013-06-04 3762
951 [2013/06/04] 우리말) 후순위와 차순위 머니북 2013-06-04 3873
950 [2013/06/05] 우리말) 랍스터와 로브스터 머니북 2013-06-05 3698
949 [2013/06/10] 우리말) 말길이 바로잡혀야 한다 머니북 2013-06-10 3826
948 [2013/06/11] 우리말) 압존법 머니북 2013-06-11 3512
947 [2013/06/12] 우리말) 압존법(2) 머니북 2013-06-12 3723
946 [2013/06/13] 우리말) 사름 머니북 2013-06-13 4576
945 [2013/06/14] 우리말) 자장면과 짜장면 머니북 2013-06-14 3523
944 [2013/06/17] 우리말) 자장면과 짜장면(2) 머니북 2013-06-17 3350
943 [2013/06/18] 우리말) 개문냉방 머니북 2013-06-18 3204
942 [2013/06/19] 우리말) 버벅거리다 머니북 2013-06-19 3332
941 [2013/06/20] 우리말) 99일 뒤... 머니북 2013-06-20 2989
940 [2013/06/21] 우리말) 서울시장 페이스북에 뜬 글 머니북 2013-06-21 3245
939 [2013/06/24] 우리말) 혼신 머니북 2013-06-24 3105
938 [2013/06/25] 우리말) 슈퍼문 머니북 2013-06-25 2984
937 [2013/06/26] 우리말) 사회복지사, 불임/난임 머니북 2013-06-26 3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