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8/29] 우리말) 점잔과 점잖

조회 수 6028 추천 수 0 2013.08.29 09:42:44

우리말에는 
'점잔'이라는 이름씨(명사)도 있습니다.
점잔을 빼다, 점잔을 부리다, 점잔을 피우다처럼 씁니다.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에는 수원에서 출근했습니다.
새벽에 집을 나서는데 제법 서늘한 기운이 있더군요.
그리 용을 쓰던 더위도 이제는 물러갔나 봅니다. ^^*

그제 보낸 편지에서 '넘늘이'라는 낱말을 소개했습니다.
"점잔을 지키면서도 말이나 행동을 흥취 있게 하여 즐겁게 하는 일."을 뜻한다고 말씀드렸는데요.
몇 분이 '점잔'이 오타인 것 같다는 댓글을 주셨습니다.

우리말에는 
'점잖다'라는 그림씨(형용사)가 있습니다.
"언행이나 태도가 의젓하고 신중하다.", "품격이 꽤 높고 고상하다."는 뜻입니다.

'점잔'이라는 이름씨(명사)도 있습니다.
"점잖은 태도."를 뜻합니다.
점잔을 빼다, 점잔을 부리다, 점잔을 피우다처럼 씁니다.

따라서,
넘늘이를 설명하면서 쓴
'점잔을 지키면서도...'는 틀린 게 아닙니다.

어떤 자리에서건 너무 점잔을 빼는 것도 좀 그렇지만,
그렇다고 너무 나서는 것도 별로 좋게 보이지는 않겠죠? ^^*

그저 점잖게 말하고, 점잖게 움직이며
넘늘이한 삶을 살고 싶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싸 군과 국제전화]

어젯밤에 늦게 들어가서 잠이 오지 않아 텔레비전을 틀어놓고 뒹굴다 보니
재밌는 광고가 하나 보이네요.
차범근 감독과 가수 싸이가 나와서 국제전화를 이야기하는 것인데,
차범근 감독이 싸이 씨더러 '싸 군!'이라고 합니다.
여러분은 그 광고를 보시면서 무슨 생각을 하셨나요?
저는 온도가 생각났습니다.
무슨 뚱딴지같이 온도냐고요? ^^*

온도를 나타내는 단위에 섭씨가 있습니다. 흔히 우리가 보는 C로 나타내는 단위죠.
그 C는 Celsius에서 왔고, F는 Fahrenheit에서 왔다는 것은 물리 시간에 다 배우셨죠?

그 Celsius에서 섭씨라는 이름씨(명사)가 만들어졌는데,
그 단위를 처음 제안한 Celsius를 중국 사람들이 攝氏(섭씨)로 부른 데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습니다.
비슷한 단위인 화씨는
Fahrenheit를 華氏(화씨)라고 부르면서 붙은 이름입니다.
만약에 제가 그 온도 체계를 만들었다면, 
지금은 온도를 '성씨'라고 부를지도 모릅니다. ^^*

절대 그럴 리 없겠지만,
미국 대통령 부시가 세계적으로 존경받는 어떤 정책을 만들면 아마도 '부씨정책'이라고 이름이 붙을 겁니다.

그냥 웃자고 해본 소립니다. 
오늘도 많이 웃고 살자고요.
웃으면 복이 온다잖아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27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829
156 [2006/10/30] 우리말) '한목'과 '한몫' id: moneyplan 2006-10-30 5951
155 [2006/11/17] 우리말) '폼' 버리고 '품' 잡게요 id: moneyplan 2006-11-17 5951
154 [2006/09/13] 우리말) 고개를 숙이고 땅을 쳐다봐? id: moneyplan 2006-09-13 5972
153 [2006/09/07] 우리말) 휭하니 >> 힁허케 id: moneyplan 2006-09-07 5980
152 [2006/09/08] 우리말) 자세한 내역? 자세한 내용? 자세하게? id: moneyplan 2006-09-08 5983
151 [2006/09/19] 우리말) 고랭지, 고냉지, 고령지 id: moneyplan 2006-09-19 5990
150 [2011/09/19] 우리말) 날개/나래, 냄새/내음 머니북 2011-09-19 5993
149 [2017/10/30] 우리말) 문안 인사 머니북 2017-11-06 5994
148 [2006/09/06] 우리말) 코스모스꽃? 살사리꽃! id: moneyplan 2006-09-06 5999
147 [2006/10/16] 우리말) 아싸리 말해서 이거 똔똔입니다 id: moneyplan 2006-10-16 6014
146 [2008/11/06] 우리말) 관용구란? id: moneyplan 2008-11-06 6019
145 [2007/03/22] 우리말) 미역 서식지? id: moneyplan 2007-03-22 6020
144 [2006/11/14] 우리말) 사의 표명! 반려? id: moneyplan 2006-11-14 6023
143 [2008/09/04] 우리말) 알켜주다와 갈켜주다 id: moneyplan 2008-09-04 6024
142 [2006/12/18] 우리말) 암캐도 복제 성공했다 id: moneyplan 2006-12-19 6026
141 [2013/05/16] 우리말) 불초소생 머니북 2013-05-16 6026
» [2013/08/29] 우리말) 점잔과 점잖 머니북 2013-08-29 6028
139 [2006/10/14] 우리말) 가을이 오는 속도 id: moneyplan 2006-10-14 6045
138 [2006/11/16] 우리말) 난이도가 있다? 난이도가 높다? id: moneyplan 2006-11-16 6066
137 [2006/09/20] 우리말) 살사리꽃이 하늘거릴까 하늘댈까? id: moneyplan 2006-09-20 60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