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10/16] 우리말) 비거스렁이

조회 수 3361 추천 수 0 2013.10.16 08:11:52

이렇게 비가 갠 뒤에 바람이 불고 기온이 낮아지는 현상을 '비거스렁이'라고 합니다.
비가 그치고 난 뒤비거스렁이를 하느라고 바람이 몹시 매서웠다처럼 쓰죠.

안녕하세요.

어제 비가 와서 그런지 날씨가 갑자기 쌀쌀해졌습니다.
우리말 편지에서 몇 번 소개한 적이 있는데요.
이렇게 비가 갠 뒤에 바람이 불고 기온이 낮아지는 현상을 '비거스렁이'라고 합니다.
비가 그치고 난 뒤비거스렁이를 하느라고 바람이 몹시 매서웠다처럼 쓰죠.

오늘이 바로 그런 날씨네요.
어제 비가 온 뒤라 오늘 날씨가 무척 쌀쌀할 것 같습니다.
옷 잘 챙겨입고 나가시기 바랍니다.
저는 오늘 농촌진흥청 국정감사 현장감사 준비 때문에 운동장에서 농기계를 전시해야 하는데 걱정입니다

비거스렁이 하는 날씨에 맞춰 저도 옷 잘 입고 나가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
반죽과 변죽]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 고향 친구 이야기를 좀 할게요.
수원에서 빵집을 하는 친구인데,
날마다 새벽 여섯 시에 나가서 자정에 들어올 정도로 고생을 많이 합니다.
그러면서도 암으로 고생하시는 장인어른을 모시고 있습니다.
게다가 그 친구는 언제나 웃고 삽니다.
저와 함께 있을 때만 웃는 게 아니라,
기쁠 때도 웃고 슬플 때도 웃습니다.
심지어는 잘못을 해 놓고도 웃습니다. ^^*
그래서 그 친구에게는 곧 복이 따라다닐 겁니다.

흔히
"
부끄러워하는 느낌이나 마음" '부끄러움이라고 합니다.
그런 부끄러움을 타지 않는 것을 반죽이 좋다고 합니다.
제 친구처럼...

'
반죽'
"
가루에 물을 부어 이겨 갬"이라는 뜻의 이름씨입니다.
쌀가루나 밀가루에 물을 부어 이겨 놓은 것이죠.
이 반죽이 잘 되면 뜻하는 음식을 만들기가 쉽기에,
마음먹은 대로 원하는 물건에 쓸 수 있는 상태를 반죽이 좋다고 합니다.
이 뜻이 변해,
지금은 쉽사리 노여움이나 부끄러움을 타지 아니하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이 반죽과 자주 헷갈리는 낱말이 변죽입니다.
'
변죽'
"
그릇이나 세간과녁 따위의 가장자리."를 뜻합니다.
한가운데가 아닌 가장자리입니다.
여기서 나온 말이
변죽을 울리다인데,
"
바로 집어 말을 하지 않고 둘러서 말을 하다."는 뜻입니다.

변죽과 반죽은 발음이 비슷할 뿐
뜻은 전혀 다릅니다.

반죽이 좋지 변죽이 좋은 게 아니고,
변죽을 치지 반죽을 치지는 않습니다.

제 친구는 지금 인생의 변죽을 울리고 있지만
반죽이 좋으니 곧 크게 웃을 날이 있을 겁니다.

오늘은 오랜만에 그 친구와 만나고 싶네요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84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61
776 [2009/10/26] 우리말) 희아리가 뭔지 아세요? id: moneyplan 2009-10-26 3356
775 [2013/12/23] 우리말) 감기는 들고 몸살은 나고 머니북 2013-12-23 3355
774 [2010/06/16] 우리말) 16강은 떼 논 당상 moneybook 2010-06-16 3355
773 [2009/07/31]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7-31 3355
772 [2009/03/20] 우리말) 칠 대 일 id: moneyplan 2009-03-23 3354
771 [2010/01/29] 우리말) 여ㄷ아홉 id: moneyplan 2010-01-29 3352
770 [2013/04/25] 우리말) 우리말 편지 다듬기 머니북 2013-04-25 3351
769 [2014/07/07] 우리말) 사리 머니북 2014-07-07 3350
768 [2013/11/27] 우리말) 저녁과 저물녘 머니북 2013-11-28 3350
767 [2010/08/24] 우리말) 아무게 => 아무개 moneybook 2010-08-24 3350
766 [2011/03/22] 우리말) 뭘로와 뭐로 moneybook 2011-03-22 3349
765 [2011/02/28] 우리말) 돋우다와 돋구다 moneybook 2011-02-28 3349
764 [2010/09/07] 우리말) 속도 단위 moneybook 2010-09-07 3349
763 [2012/03/07] 우리말) 충돌과 추돌조회 머니북 2012-03-08 3348
762 [2009/07/29] 우리말) 감기다 id: moneyplan 2009-07-29 3348
761 [2008/12/16] 우리말) 부룩이 뭔지 아세요? id: moneyplan 2008-12-16 3348
760 [2014/06/26] 우리말) 탄하다와 탓하다 머니북 2014-06-26 3347
759 [2013/01/02] 우리말) 제야 머니북 2013-01-02 3347
758 [2010/09/30] 우리말) 돕다와 거들다 moneybook 2010-09-30 3347
757 [2009/02/11] 우리말) 두껍다와 얇다 id: moneyplan 2009-02-12 3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