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12/03] 우리말) 채신머리

조회 수 3708 추천 수 0 2013.12.04 07:59:25

이 처신을 낮잡아 이르는 말이 '채신'이나 '채신머리'입니다.
한자가 아닌 순우리말입니다.
이를 體身으로 생각해서 '체신'이나 '체신머리'라고 쓰시면 안 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좀 포근하네요.
이렇게 포근한 날씨처럼 기분 좋은 일이 자주 일어나길 빕니다.

요즘 제 일터에는 올 한 해 수행한 과제를 평가하고자 외부 손님들이 많이 오십니다.
직원들은 평가를 받는 거라서 몸가짐이나 행동을 조심스럽게 하고 있습니다. ^^*

처신(處身)은 
"세상을 살아가는 데 가져야 할 몸가짐이나 행동"을 뜻합니다.
처신이 바르다, 처신을 잘해야 남에게 귀염을 받는다처럼 씁니다.

이 처신을 낮잡아 이르는 말이 '채신'이나 '채신머리'입니다.
한자가 아닌 순우리말입니다.
이를 體身으로 생각해서 '체신'이나 '체신머리'라고 쓰시면 안 됩니다.

손님 앞에서 채신머리없이 구는 것도 문제지만,
속 빈 강정이면서 억지로 채신머리를 세우려고 하는 것도 문제라고 봅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쉼표와 마침표]

어제는
오랜만에 집에서 쉬면서 
동료 식구를 저희 집으로 불러 재밌게 놀았습니다.

잡채로 일단 입을 좀 푼 뒤,
매운탕과 낙지볶음으로 속을 채웠습니다.
마땅히 곡차도 곁들여서...^^*

저는 어제 잡채, 매운탕, 낙지볶음 따위를 먹었는데요.
'잡채, 매운탕, 낙지볶음'이 맞을까요, '잡채?매운탕?낙지볶음'이 맞을까요?
오늘은 가운뎃점과 쉼표의 쓰임을 갈라볼게요.
한글 맞춤법에 따르면 가운뎃점을 다음과 같은 때 쓰도록 하고 있습니다.
1. 쉼표로 열거된 어구가 다시 여러 단위로 나누어질 때 
(보기) 철수·영희, 영수·순이가 서로 짝이 되어 윷놀이를 하였다. 
2. 특정한 의미가 있는 날을 나타내는 숫자에 
(보기) 3·1 운동, 8·15 광복 
3. 같은 계열의 단어 사이에 
(보기) 충북·충남 두 도를 합하여 충청도라고 한다. 
위와 같은 경우에는 가운뎃점을 씁니다.

그리고 쉼표는 같은 자격의 어구가 열거될 때에 씁니다. 
(보기) 근면, 검소, 협동은 우리 겨레의 미덕이다. 

어제 저는
잡채, 매운탕, 낙지볶음을 안주로 먹었고,
소주·맥주 같은 곡차를 마셨습니다.
(실은 복분자술을 마셨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맞춤법 규정에 따르면,
'.'은 온점, ','은 반점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온점, 반점보다는
마침표, 쉼표가 더 낫지 않나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5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60
1216 [2008/11/28] 우리말) 발품과 손품 id: moneyplan 2008-12-01 3586
1215 [2007/10/23] 우리말) 도저를 살려 쓰자고요? id: moneyplan 2007-10-23 3586
1214 [2014/01/17] 우리말) 메모와 적바림 머니북 2014-01-17 3585
1213 [2010/04/08] 우리말) 개나릿길 id: moneyplan 2010-04-08 3585
1212 [2008/12/17] 우리말) 땅보탬 id: moneyplan 2008-12-17 3585
1211 [2017/10/16] 우리말) 조쌀하다 머니북 2017-11-06 3584
1210 [2017/04/18] 우리말) 엿먹다 머니북 2017-04-18 3584
1209 [2013/07/29] 우리말) 두남두다 머니북 2013-07-29 3584
1208 [2016/09/09] 우리말) 반죽. 변죽, 딴죽 머니북 2016-09-16 3583
1207 [2015/04/22] 우리말) 혼인과 결혼 머니북 2015-04-22 3583
1206 [2014/11/26] 우리말) 머지 않다와 멀지않다 머니북 2014-11-26 3583
1205 [2007/04/25] 우리말) 잘과 잘못 id: moneyplan 2007-04-25 3583
1204 [2014/11/21] 우리말) 발밭다 머니북 2014-11-21 3581
1203 [2014/10/29] 우리말) 찌게와 찌개 머니북 2014-10-29 3581
1202 [2007/12/27] 우리말) 맥쩍다와 맛적다 id: moneyplan 2007-12-27 3581
1201 [2017/01/24] 우리말) 서덜/서더리 머니북 2017-01-24 3580
1200 [2014/07/23] 우리말) 무등/목마/목말 머니북 2014-07-23 3580
1199 [2013/04/22] 우리말) 보니 -> 천생 머니북 2013-04-22 3580
1198 [2010/03/19] 우리말) 훈민정음이 세계문화유산? id: moneyplan 2010-03-19 3580
1197 [2008/06/05] 우리말) 오늘은 망종입니다 id: moneyplan 2008-06-05 3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