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2/13] 우리말) 막연하다/막역하다

조회 수 4181 추천 수 0 2014.02.13 11:42:33

'막연하다'는 그림씨(형용사)로 갈피를 잡을 수 없게 아득하다, 뚜렷하지 못하고 어렴풋하다는 뜻입니다.
'막역하다'도 그림씨로 "허물이 없이 아주 친하다."는 뜻입니다.

안녕하세요.

1. 어제 편지를 보시고 여러분이 전화나 이메일을 주셨습니다.
끌려가면 안 된다고 하시는 분, 제 입장을 확실하게 밝히라는 분 등….

저는 한자보다는 순우리말을 써야 한다고 봅니다. 그것도 일부러 찾아서 쓰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봅니다.
제가 아는 게 많지 않아 모든 한자 낱말을 그 뜻에 어울리는 순우리말로 바꿀 수 없고,
어떤 한자가 일본에서 만든 것인지 중국에서 만든 것인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될 수 있으면 한자를 가름할 우리말을 찾으려는 노력은 해야 한다고 봅니다.
그래야 잊혀가는 우리 말을 살려쓸 수 있다고 생각하니까요.

2. 어제저녁에 친구를 만났습니다. 여러 명 모이는 자리에 늦게 연락받고 함께 자리하게 되었습니다.
어떤 분이 저를 소개하면서, 자기와 저는 '막연한 사이'라고 하더군요.
'막역한 사이'라고 해야 하는데, 반가운 마음에 말이 헛나온 것 같습니다. ^^*

'막연하다'는 그림씨(형용사)로 갈피를 잡을 수 없게 아득하다, 뚜렷하지 못하고 어렴풋하다는 뜻입니다.
'막역하다'도 그림씨로 "허물이 없이 아주 친하다."는 뜻입니다.
막역한 관계, 막역한 친구, 이 친구와 나는 아주 막역한 사이이다처럼 씁니다.

친구는
언제 어디에서 어떻게 만나도 반갑습니다.
특히나 허물없는 친구를 만나면 더더욱 기쁩니다.

오늘은
자주 보지 못하는 막역한 친구에게 전화 한번 해보시는 게 어때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저축하다'는 뜻의 순우리말은 '여투다'입니다]

연휴 잘 보내셨나요?
저는 해남, 광주, 담양, 구례 등지를 식구와 함께 싸돌아 다니다 왔습니다.
무려 1,000km를 달렸네요. ^^*

해남에 어머니를 모셔다 드리고 올라오는 길에,
고향 선배님이 진찰을 받고 계신다는 병원에 들렀습니다.
식구와 함께 갔더니 그 불편하신 몸에도 애들에게 만 원짜리 한 장씩을 쥐여주시더군요.
하루빨리 그 선배님이 일어나시길 빕니다.

저희 집 애들은 이제 두 살과 네 살이라서 돈을 모릅니다.
그 선배님이 주신 돈은 아내가 애들 이름으로 만든 통장에 저축하겠죠.
오늘은 그 '저축'을 알아볼게요.
저축은 '절약하여 모아 둠'이라는 뜻의 이름씨(명사)입니다.
이를 움직씨(동사)로 바꾸면 '저축하다'가 되겠죠.
저축의 뜻은 좋은데 한자네요.

이와 딱 떨어지는 우리말이 있습니다.
바로 '여투다'입니다.
'돈이나 물건을 아껴 쓰고 나머지를 모아 두다.'는 뜻의 움직씨로,
용돈을 여투다/할머니는 쌀을 여투어 두었다가 불쌍한 사람에게 주셨다처럼 씁니다.

선배님!
선배님이 주신 돈은 잘 여투어 두었다가 애들에게 쓰겠습니다.
그 애들이 무럭무럭 자라는 것을 보시려면,
하루빨리 병을 털고 일어나세요.
이제 겨우 40대 중반이시잖아요.
선배님 힘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81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42
1896 [2011/08/24] 우리말) 잘코사니 머니북 2011-08-24 3854
1895 [2007/02/27] 우리말) 불이 아니라 달러입니다 id: moneyplan 2007-02-27 3854
1894 [2013/06/04] 우리말) 후순위와 차순위 머니북 2013-06-04 3852
1893 [2012/09/10] 우리말) 차칸남자 머니북 2012-09-10 3851
1892 [2017/07/11] 우리말) 부처님 오신 날 머니북 2017-07-11 3850
1891 [2016/02/15] 우리말) 으름장/어름장 머니북 2016-02-15 3850
1890 [2007/03/08] 우리말) 껄쩍지근한 CNN id: moneyplan 2007-03-09 3849
1889 [2013/02/27] 우리말) 진돗개와 진도견 머니북 2013-02-27 3848
1888 [2013/01/22] 우리말) 사거리와 네거리 머니북 2013-01-22 3848
1887 [2014/01/24] 우리말) 사람을 제대로 높일 때 나도 존중받습니다 머니북 2014-01-24 3847
1886 [2009/03/11] 우리말) 노란자와 노른자 id: moneyplan 2009-03-11 3847
1885 [2008/12/31] 우리말) 중동무이 id: moneyplan 2008-12-31 3846
1884 [2007/07/28] 우리말) 가위표와 가새표 id: moneyplan 2007-07-31 3846
1883 [2008/06/09] 우리말) 능놀다 id: moneyplan 2008-06-09 3845
1882 [2017/10/26] 우리말) 제비 머니북 2017-11-06 3844
1881 [2012/08/20] 우리말) 자빡 머니북 2012-08-20 3844
1880 [2008/09/01] 우리말) 선탠을 우리말로 하면? id: moneyplan 2008-09-01 3844
1879 [2007/02/08] 우리말) 아빠, 똥 드세요. id: moneyplan 2007-02-08 3843
1878 [2007/03/05] 우리말) 노총을 아세요? id: moneyplan 2007-03-05 3840
1877 [2007/04/11] 우리말) 비빔밥을 버무리다 id: moneyplan 2007-04-11 3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