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3/28] 우리말) 뜨게부부와 새들꾼

조회 수 2956 추천 수 0 2014.03.28 08:36:30

남녀를 서로 맺어주는 일을 ‘중신하다’, ‘중매하다’고 말하는데, 이때에 쓰는 토박이말이 ‘새들다’라는 말이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이 쓰신 글을 함께 읽겠습니다.


봄이 되니 혼인을 알리는 청첩장이 부쩍 늘었다. 일가친지와 벗들 앞에서 가장 아름답게 혼인 예식을 치르고 싶은 마음이 청첩장마다 들어 있다. 하지만 사정이 있어 혼례를 치르지 않고 그대로 동거해 버리는 남녀도 있다. 요즘에는 ‘혼전동거’라 하고 ‘동거남’이니 ‘동거녀’니 말하지만, 예전에는 이러한 남녀를 ‘뜨게부부’라 하였다. ‘뜨게’는 ‘본을 뜨다’와 마찬가지로 흉내 낸다는 뜻이므로, ‘뜨게부부’는 정식 부부가 아니라 남녀가 부부 행세를 할 때에 부르던 말이었다. 따라서 혼인 신고를 하지 않고 사실혼 관계에 있는 부부도 ‘뜨게부부’라 부를 수 있다.

남녀를 서로 맺어주는 일을 ‘중신하다’, ‘중매하다’고 말하는데, 이때에 쓰는 토박이말이 ‘새들다’라는 말이다. 그래서 중매하는 사람 곧 ‘중매쟁이’를 ‘새들꾼’이라 하였다. 그러니까 요즘 말하는 커플 매니저는 우리말로 ‘새들꾼’이라 부를 수 있다.

혼인으로 맺어진 ‘부부’의 토박이말은 ‘가시버시’이다. 예전에는 장인, 장모를 ‘가시아버지, 가시어머니’라 불렀다. 아내를 잃고 혼자 사는 남자를 ‘홀아비’라 하고, 마찬가지로 남편을 잃은 여자를 ‘홀어미’라 한다. 배우자가 있는 남녀에 대해서는 유독 한자말로 ‘유부남’, ‘유부녀’라 부르고 있는데, 이 말들에 대한 순우리말은 ‘핫아비’, ‘핫어미’이다. ‘핫아비, 핫어미’는 지금도 북한에서는 쓰이고 있는 우리말이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한목과 한몫]

주말 잘 보내셨어요?
저는 지난 주말에 단양팔경을 보고 왔습니다.
친구 네 집 식구가 모여 재밌게 놀았습니다.
친구들 계모임이었는데, 
이제 곗돈이 좀 모이니 어떻게 하면 한목에 털어먹을까를 걱정(?)하더군요.

여기서 '한목'이 맞을까요, '한몫'이 맞을까요?
둘 다 사전에 있는 낱말입니다.

'한목'과 '한몫'은 발음이 같아 헷갈리는데요.
'한목'은
'한꺼번에 몰아서 함을 나타내는 말'로 
돈 생기면 한목 갚을게, 겨우내 땔 것을 미리 한목에 많이 해다가...처럼 씁니다.

'한몫'은
'한 사람 앞에 돌아가는 배분'을 뜻합니다.
한몫씩 챙기다, 한몫 떼어 주다처럼 씁니다.

정리하면,
'한목'은 '한꺼번에'라는 뜻이고,
'한몫'은 '한 사람 몫'입니다.

제 친구들은
그동안 모은 곗돈을 한몫씩 챙겨 가져갈 생각을 하지 않고,
어디 놀러 가서 한목에 털어먹을 생각을 하고 있는 거죠.

저는 가끔 복권을 삽니다.
한몫 잡으려고 사는데 잘 안 되네요.
용돈 다 털어서 한목에 복권을 몽땅 사야 뭔가 좀 될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19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792
2516 [2006/10/21] 우리말) 고육지책 id: moneyplan 2006-10-23 5815
2515 [2011/07/13] 우리말) 대머리/민머리/맨머리 머니북 2011-07-13 5813
2514 [2006/11/23] 우리말) 머지않아 연말입니다 id: moneyplan 2006-11-23 5808
2513 [2006/10/13] 우리말) 알타리김치,총각김치,홀아비김치 id: moneyplan 2006-10-14 5798
2512 [2008/01/29]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id: moneyplan 2008-01-29 5796
2511 [2006/12/11] 우리말) 벼리를 잘 잡아야합니다 id: moneyplan 2006-12-11 5796
2510 [2017/11/02] 우리말) 차담회 머니북 2017-11-06 5795
2509 [2007/10/09] 우리말) 어린것이 깜찍스럽다는 뜻의 낱말은? id: moneyplan 2007-10-09 5785
2508 [2017/11/24] 우리말) 엄중과 엄정 머니북 2017-11-24 5776
2507 [2006/11/18] 우리말) 구좌가 아니라 계좌/통장 id: moneyplan 2006-11-20 5766
2506 [2017/11/10] 우리말) 곡우와 우전 머니북 2017-11-10 5765
2505 [2017/06/16] 우리말) 기억과 생각의 차이 머니북 2017-06-19 5760
2504 [2011/05/09] 우리말) 매다와 메다 moneybook 2011-05-09 5754
2503 [2013/02/18] 우리말) 간지나다 머니북 2013-02-18 5745
2502 [2006/12/04] 우리말) 간지럽히다가 아니라 간질이다 id: moneyplan 2006-12-04 5740
2501 [2011/11/04] 우리말) 치근거리다와 추근거리다 머니북 2011-11-04 5739
2500 [2012/10/04] 우리말) 밀리는 길과 막히는 길 머니북 2012-10-04 5738
2499 [2006/09/04] 우리말) 들이키다와 들이켜다 id: moneyplan 2006-09-04 5716
2498 [2015/04/13] 우리말) 차출과 착출 머니북 2015-04-13 5693
2497 [2007/01/17] 우리말) 졸가리/줄거리 id: moneyplan 2007-01-17 5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