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10/22] 우리말) 좀이 슬다

조회 수 5830 추천 수 0 2014.10.23 14:33:06

벗개고 웃날드는 것을 보니 오늘은 비가 그칠 것 같습니다. ^^*
(
벗개다 : 안개나 구름이 벗어지고 날이 맑게 개다)
(
웃날 : 흐렸을 때의 날씨를 이르는 말)

안녕하세요.

오늘은 날씨가 좋네요
오늘 치 우리말 편지는 예전에 보낸 편지로 갈음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
좀이 슬다와 좀이 쏠다]

안녕하세요.

며칠 전 애들이 이 층 침대를 사달라고 조르더군요.
아내와 상의해서 침대를 사주기로 했습니다.
어제저녁에는 침대 놓을 자리를 잡느라 소파를 좀 옮겼습니다.
평소에 자주 청소를 한다고 하지만소파 밑에는 여전히 지저분하더군요. ^^*

평소에 자주 안보던 곳을 보면 나무에 좀이 슬거나
심지어 쥐나 좀이 갉아먹은 것도 보일 때가 있습니다저희 집이 그랬다는 게 아니라...
그럴 때 흔히 좀이 슬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건 좀이 슨 게 아니라 좀이 쏠은 겁니다.

'
슬다' 
"
벌레나 물고기 따위가 알을 깔기어 놓다."는 뜻으로
장독에 파리가 쉬를 슬다벌레가 잎에 알을 슬었다처럼 씁니다.
알을 놨다는 뜻이지 나무가 갉아 없어진 게 아닙니다.

'
쏠다'
"
쥐나 좀 따위가 물건을 잘게 물어뜯다."는 뜻으로
누에가 뽕잎을 쏠아 먹다쥐가 문을 쏠았다처럼 씁니다.
나무 따위를 쥐가 갉아 놓은 것에 쓸 수 있는 낱말이 바로 이 '쏠다'입니다.

따라서,
좀이 나무를 갉아 먹은 것을 보고는
좀이 슬었다고 하지 않고좀이 쏠다고 해야 맞습니다.

저 나무는 좀이 쏠아 이제는 쓸 수가 없겠다자주 닦지 않으면 좀이 쏘니 조심해라 처럼 써야 합니다.

슬다나 쏠다나 소리도 비슷하고 쓰임도 비슷하니 아무것이나 써도 된다고 생각하시나요?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우리말을 우리가 아끼고 다듬지 않으면 누가 살펴주겠습니까?
말이 올라야 나라가 오르고,
말이 내리면 나라가 내립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한글문화연대라는 곳이 있습니다.http://www.urimal.org
다른 나라 말에 더럽혀진 우리 말글을 가꾸며 우리 문화와 학문을 발전시키고자 만든 단체입니다.
방송인 정재환 씨가 공동대표를 맡고 있습니다.

어제 그곳에서 온 누리 편지(이메일)에 재밌는 게 있어서 함께 나눌게요.



대개 '메트로'를 영어로 생각하는 분들이 많지만 원래 메트로도 우리말에서 온 것이다
지하철이 땅 밑으로 다닌다고 해서 '밑으로 밑으로하다가 '메트로'가 된 것이다
흔히 휴대전화를 핸드폰이라고 하는데 핸드폰은 콩글리시이고 영어는 '셀룰러폰'이라고 지적하는 이들이 있다
그런데 그것도 잘못 알려진 것이다. '셀룰러'의 어원 역시 우리말이다
세게 누르라는 우리말 사투리 '쎄리눌러'가 변해 '셀룰러'가 된 것이다믿거나 말거나!
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정재환 씨가 한 농담입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16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719
176 [2006/12/04] 우리말) 간지럽히다가 아니라 간질이다 id: moneyplan 2006-12-04 5766
175 [2012/10/04] 우리말) 밀리는 길과 막히는 길 머니북 2012-10-04 5766
174 [2013/02/18] 우리말) 간지나다 머니북 2013-02-18 5767
173 [2006/11/18] 우리말) 구좌가 아니라 계좌/통장 id: moneyplan 2006-11-20 5789
172 [2017/06/16] 우리말) 기억과 생각의 차이 머니북 2017-06-19 5790
171 [2011/05/09] 우리말) 매다와 메다 moneybook 2011-05-09 5798
170 [2007/10/09] 우리말) 어린것이 깜찍스럽다는 뜻의 낱말은? id: moneyplan 2007-10-09 5808
169 [2008/01/29]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id: moneyplan 2008-01-29 5813
168 [2017/11/10] 우리말) 곡우와 우전 머니북 2017-11-10 5818
167 [2006/12/11] 우리말) 벼리를 잘 잡아야합니다 id: moneyplan 2006-12-11 5821
166 [2017/11/24] 우리말) 엄중과 엄정 머니북 2017-11-24 5826
165 [2006/10/13] 우리말) 알타리김치,총각김치,홀아비김치 id: moneyplan 2006-10-14 5828
» [2014/10/22] 우리말) 좀이 슬다 머니북 2014-10-23 5830
163 [2006/11/23] 우리말) 머지않아 연말입니다 id: moneyplan 2006-11-23 5836
162 [2011/07/13] 우리말) 대머리/민머리/맨머리 머니북 2011-07-13 5840
161 [2006/10/21] 우리말) 고육지책 id: moneyplan 2006-10-23 5842
160 [2017/11/02] 우리말) 차담회 머니북 2017-11-06 5844
159 [2006/11/10] 우리말) '데' 띄어쓰기 id: moneyplan 2006-11-10 5864
158 [2012/03/23] 우리말) 곤달걀 머니북 2012-03-23 5887
157 [2017/05/18] 우리말) 해찰하다/헤찰하다 머니북 2017-05-18 5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