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켜세우다'는 "옷깃이나 눈썹 따위를 위쪽으로 올리다"라는 뜻이고,
'추켜세우다'는 "위로 치올리어 세우다."는 뜻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제저녁에 오랜만에 개그콘서트를 봤습니다.
‘도찐개찐’이라는 소제목을 단 개그가 있더군요.
그건 틀린 말입니다.

흔히, 비슷비슷한 것, 또는 거기서 거기인 것, 도토리 키 재기처럼 별 차이 없는 것을 말할 때,
도찐개찐이나 도길개길이라고 하는데, 
그럴 때는 '도 긴 개 긴'이라고 해야 합니다.

여기서 '긴'은
"윷놀이에서, 자기 말로 남의 말을 쫓아 잡을 수 있는 거리."를 뜻하는 낱말입니다.
긴이 닿다, 모와 윷을 놓으니 걸 긴이 되었다처럼 씁니다.

따라서,
'도 긴 개 긴'이라고 하면 
도로 가는 길이나 개로 가는 길이나 그게 그거다는 뜻으로
거기서 거기, 도토리 키 재기, 오십보백보라는 뜻이 됩니다.

개그를 개그로 봐야지 거기에 맞춤법을 들이대면 안 된다는 분이 계십니다.
맞습니다. 개그는 개그일 뿐입니다.
그러나 그런 개그도 이왕이면 바른 글과 말로 웃길 수 있으면 더 좋다고 봅니다.
개그니까 맞춤법이 틀려도 이해를 해줘야 한다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바른말과 옳은 글로 얼마든지 웃길 수 있고, 무엇보다 깊은 감동을 줄 수도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맨질맨질? 만질만질!]

안녕하세요.

어제는 좀 늦게 집에 들어갔습니다. 그 바람에 아침에 늦게 일어났죠.
아침에 아들 녀석이 손으로 제 볼을 비비면서 저를 깨우더군요.
저도 일어나서 만질만질한 제 아들 볼을 비비면서 살아 있음을 느꼈습니다. ^^*

살갗에 닿는 느낌이 만지거나 주무르기 좋게 연하고 부드러운 것을 뭐라고 하세요?
만질만질? 맨질맨질? 미끈미끈?

'맨질맨질'이라는 낱말은 없고,
'미끈미끈'은 "미끄럽고 번드러워서 자꾸 밀리어 나가는 모양."이며
"만지거나 주무르기 좋게 연하고 보드랍다."는 뜻의 낱말은 '만질만질'입니다.

조금은 낯설지만
깨끗한 우리말을 골라서 잘 부리는 게 
우리말을 아끼고 사랑하는 일이 아닐까 싶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08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631
56 [2013/04/26] 우리말) 군대 간 아들에게 책 소개 머니북 2013-04-26 9069
55 [2007/03/13] 우리말) 숫자 읽기 id: moneyplan 2007-03-13 9113
54 [2010/04/05] 우리말) 박진감 id: moneyplan 2010-04-05 9141
53 [2008/06/18] 우리말) 방귀 뀌다와 방구 끼다 id: moneyplan 2008-06-18 9155
52 [2006/08/21] 우리말) 저는 농촌진흥청에서 일합니다. id: moneyplan 2006-08-21 9252
51 [2012/09/24] 우리말) 착한 남자 머니북 2012-09-24 9359
50 [2006/08/22] 우리말) 잔치는 벌리는 게 아니라 벌이는 겁니다 id: moneyplan 2006-08-22 9371
49 [2006/08/24] 우리말) 그게 희귀병이라고요? id: moneyplan 2006-08-24 9458
48 [2007/09/20] 우리말) 기울이다와 기우리다 id: moneyplan 2007-09-20 9506
47 [2011/08/04] 우리말) 들뜨다와 달뜨다 머니북 2011-08-04 9552
46 [2006/08/15] 우리말) 갈마들다 id: moneyplan 2006-08-17 9559
45 [2006/08/16] 우리말) 고참의 구타 id: moneyplan 2006-08-17 9614
44 [2006/08/17] 우리말) 연루보다는 관련이, 관련보다는 버물다가 낫습니다 id: moneyplan 2006-08-17 9634
43 [2013/03/20] 우리말) '가사 피고가 경락을 경료해'가 무슨 뜻인지 아시나요? 머니북 2013-03-20 9691
42 [2015/05/26] 우리말) 끝물과 맏물 머니북 2015-05-28 9721
41 [2013/02/28] 우리말) 짐벙지다 머니북 2013-02-28 9812
40 [2006/12/21] 우리말) 기여가 아니라 이바지입니다 id: moneyplan 2006-12-21 9910
39 [2006/08/26] 우리말) 공중화장실 ‘여성 변기’ 늘린다 id: moneyplan 2006-08-28 9937
38 [2007/02/09] 우리말) 개조식/서술식 id: moneyplan 2007-02-09 10030
37 [2011/11/22] 우리말) 아름되 머니북 2011-11-22 10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