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4/06] 우리말) 여미다

조회 수 3676 추천 수 0 2015.04.06 09:50:59

이 '여미다'에는 관용적으로 "경건한 마음으로 옷을 가지런하게 해 자세를 바로잡다."는 뜻이 들어 있습니다.
곧, '여미다'는 그냥 옷깃을 세우는 게 아니라 단정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주에는 비도 오지 않고 날씨가 그리 추울 것 같지도 않습니다.
그러나 아침저녁으로는 조금 쌀쌀하네요.
이런 날은 옷을 껴입는 것도 좋지만, 입은 옷의 옷깃을 세우는 것도 좋은 방법이 아닐까요? ^^*

오늘은 옷깃을 여미다를 알아보겠습니다.
'여미다'는 "벌어진 옷깃이나 장막 따위를 바로 합쳐 단정하게 하다."는 뜻을 지닌 움직씨(동사)입니다.
옷깃을 여미다, 코트 자락을 여미다, 병사들은 철모를 고쳐 쓰고, 조심스럽게 짤그락 실탄을 먹고, 방탄조끼를 여미고, 조용히 전투 준비를 했다처럼 씁니다.

이 '여미다'에는 관용적으로 "경건한 마음으로 옷을 가지런하게 해 자세를 바로잡다."는 뜻이 들어 있습니다.
그래서 순국선열들을 생각하며 옷깃을 여미어 묵념했다, 폐허 속에서도 꺾이지 않는 인간의 의지에 사람들은 옷깃을 여미기도 한다처럼 쓰는 게 잘 어울립니다.
곧, '여미다'는 그냥 옷깃을 세우는 게 아니라 단정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럼 추울 때 옷깃을 곧추세우는 것은 뭐라고 하는 게 좋을까요?
그건 그냥 옷깃을 세운다고 하면 됩니다. ^^*

아침저녁으로 쌀쌀합니다.
옷깃을 잘 세우고 다닙시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가꾸로와 거꾸로]

안녕하세요.

한가위가 얼마 남지 않았죠? 어젯밤에 달을 보니 반달을 조금 넘었더군요.

이번 추석은 연휴도 짧고 여러모로 먹고살기도 어려워
고향에 계시는 부모님이 도시로 올라오시는 일이 많을 거라고 합니다.
흔히 말하는 '역귀성'이죠.

역귀성은 "명절 때에 자식이 고향의 부모를 찾아가는 것에 대하여 거꾸로 부모가 객지에 있는 자식들을 찾아가는 일"이라는 뜻으로 사전에 올라 있습니다.
역(逆)을 순 우리말로 하면 거꾸로가 될 겁니다.
역은 이름씨이지만 거꾸로는 어찌씨(부사)입니다.

'거꾸로'를 흔히 '가꾸로'라고도 씁니다.
어색하기는 하지만 틀린 말은 아니고 거꾸로의 작은말 정도 됩니다.

그러나 가꿀로나 까꿀로, 꺼꿀로는 틀린 말입니다.
이렇게 된소리로 쓰지 않아도 되는데 세상이 하도 험해 자꾸 소리가 거세지나 봅니다.

이번 한가위에
고향에 가실지 가꾸로 부모님이 올라오실지 모르지만,
모두 넉넉하게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5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66
1196 [2010/03/19] 우리말) 훈민정음이 세계문화유산? id: moneyplan 2010-03-19 3580
1195 [2014/02/07] 우리말) 불임이 아니라 난임 머니북 2014-02-10 3579
1194 [2013/09/04] 우리말) 어제 받은 댓글 머니북 2013-09-04 3578
1193 [2013/10/29] 우리말) 싸다와 쌓다 머니북 2013-10-29 3578
1192 [2009/06/23] 우리말) 까칠하다와 거칫하다 id: moneyplan 2009-06-23 3578
1191 [2009/06/16]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6-16 3578
1190 seernews 운영자의 링크(link)가 있는 이야기 id: moneyplan 2008-11-11 3578
1189 [2007/06/27] 우리말) 선거철이 벌써 시작되었나 봅니다 id: moneyplan 2007-06-27 3578
1188 [2009/10/01] 우리말) 기쁨과 행복이 가득한 한가위로 보내시길 빕니다 id: moneyplan 2009-10-01 3577
1187 [2007/07/24] 우리말) '뱃속'과 '배 속' id: moneyplan 2007-07-24 3576
1186 [2009/02/05] 우리말) 야멸치다와 야멸차다 id: moneyplan 2009-02-05 3575
1185 [2017/04/13] 우리말) 사전 이야기 머니북 2017-04-13 3573
1184 [2017/04/10] 우리말) 우리글 교양을 높이기 위한 시민강좌 머니북 2017-04-11 3573
1183 [2016/08/22] 우리말) 여튼, 여하튼, 여하간 머니북 2016-08-24 3573
1182 [2009/11/06] 우리말) 명조체와 바탕체 id: moneyplan 2009-11-06 3573
1181 [2007/09/03] 우리말) 선글라스 맨 id: moneyplan 2007-09-03 3573
1180 [2017/02/03] 우리말) 조류포비아 머니북 2017-02-03 3572
1179 [2010/10/08] 우리말) 어제 받은 편지 moneybook 2010-10-08 3572
1178 [2010/03/17] 우리말) 찌푸리다 id: moneyplan 2010-03-17 3572
1177 [2007/12/06] 우리말) 가마리 id: moneyplan 2007-12-06 3572